#1 안하무인 뜻
#2 眼下無人
안하무인(눈 안, 아래 하, 없을 무, 사람 인)
‘눈 아래에 사람이 없음’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아래 하(下)
아래 (under, down) 하 (7급 해당)
下자의 부수는 하나 일(一)자이다. 평평한 땅(一)의 아래 (丶)를 나타내는 글자라 기억해두자. 비교하여 윗 상(上)자도 함께 익혀두자.
천상천하유아독존 뜻(天上天下唯我獨尊) ‘하늘 위 하늘 아래 오직 나 홀로 존귀하다’
#1 천상천하유아독존 #2 天上天下唯我獨尊 (하늘 천, 윗 상, 아래 하, 오직 유, 나 아, 홀로 독, 높을 존) ‘하늘 위, 하늘 아래 오직 나 홀로 존귀하다’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윗 상 윗 (up) 상 (7
nmd-pws.tistory.com
* 윗 상(樂) & 천상천하유아독존 참고
활용 ① 하마평 (下馬評, 아래 하, 말 마, 평할 평 : 말에서 내려 평함, 임관될 후보에 대해 떠도는 풍설을 비유)
하마평(下馬評) ‘하마비 앞에서 이루어지는 세평, 관리의 이동, 임명, 승진 등에 관한 풍설을 의
#1 下馬評 #2 하마평 뜻 & 하마평이란 하마평(아래 하, 말 마, 평할 평) ‘하마비 앞에서 이루어지는 세평’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평할 평(評) 평할(COMMENT/REVIEWS) 평 (3급 해당) 評자의 부수는 말
nmd-pws.tistory.com
* 평할 평(樂) & 하마평 뜻과 유래 참고
활용 ② 불치하문 (不恥下問, 아니 불, 부끄러울 치, 아래 하, 물을 문 : 아래 사람에게 물어보는 것을 부끄럽게 여기지 않음)
불치하문(不恥下問) '아랫사람에게 묻는 것을 부끄럽게 여기지 않다'
#1 세살 아이에게도 배울 점이 있다 #2 不恥下問 불치하문(아니 불, 부끄러울 치, 아래 하, 물을 문) '아랫사람에게 묻는 것을 부끄럽게 여기지 아니함.'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 _ 물을 문(問) 問
nmd-pws.tistory.com
* 물을 문(問) & 불치하문(不恥下問) 참고
활용 ③ 이하부정관 (李下不整冠, 오얏 리, 아래 하, 아니 불, 가지런할 정, 갓 관 : 오얏 나무 아래서 갓을 고쳐쓰지 말라)
과전불납리 이하부정관(瓜田不納履 李下不整冠) ‘오이 밭에서는 신을 고쳐신지 말고, (오얏)자
#1 과전불납리 이하부정관 #2 瓜田不納履 李下不整冠 과전불납리(오이 과, 밭 전, 아닐 불, 들일 납, 밟을 리) ‘오이 밭에서는 신을 고쳐 신지 말며’ 이하부정관(오얏 리, 아래 하, 아닐 부, 가지
nmd-pws.tistory.com
* 오얏 리(李) & 과전불납리 이하부정관 참고
#4 안하무인 한자 & 안하무인 뜻
안하무인 한자
眼下無人(안하무인)을 풀어보면
눈 안, 아래 하, 없을 무, 사람 인자이다.
안하무인 뜻
즉 눈 아래에 사람이 없다는 의미로
몹시 거만하고 다른 사람들을 업신여기는
태도를 비유할 때 사용하는 말이다.
참고로 안하무인 이라는 표현은
명 말기 능몽초의 소설인 초각박안경기라는
단편소설에서 등장하는 ‘목중무인(目中無人)이라는 말에서 유래한 듯 하다.
방약무인, 안중무인 등도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5 상용한자와 삶의 지혜 전자책 정리본
상용한자와 삶의 지혜_ 어문회 배정 상용한자 8급부터 2급까지
티스토리 블로그 작업물을 기반으로 전자책을 출간하게 되었습니다. 어문회 8급 배정한자부터 2급배정한자(대학생 교양 수준)까지 한자 낱 글자 하나하나를 그 어원과 생성원리를 함께 고민해
nmd-pws.tistory.com
'상용한자 1800자 _ 삶의 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후래삼배(後來三杯) ‘술자리에 늦게 온 이에게 권하는 석 잔의 술’ & 후래자삼배(後來者三盃) (1) | 2023.01.09 |
---|---|
문외한(門外漢) ‘문 밖의 사람’ & 문외한 의미, 뜻, 한자, 유래 (2) | 2023.01.02 |
계묘년(癸卯年) ‘60간지 중 40번째’ & 2023년 띠, 2023년 해, 2023년 무슨띠 무슨해 (0) | 2022.12.31 |
좌지우지(左之右之) ‘왼쪽으로 돌렸다 오른쪽으로 돌렸다 하다’ & 좌지우지하다 (1) | 2022.12.31 |
사필귀정(事必歸正) ‘(모든) 일은 결국 바른 길로 돌아감’ & 사필귀정 뜻과 한자 (1) | 2022.12.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