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斷末摩
#2 단말마 뜻 & 단말마 한자
단말마(끊을 단, 끝 말, 문지를 마)
‘급소를 자름, 숨이 끊어질 때의 고통 또는 그때의 비명’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끝 말(末)
끝 (END) 말 (4급 해당)
末자의 부수는 나무 목(木)자이다. 나무 목(木) + 한 일(一)자로 이루어졌다. 나무(木)에서 가지(一) 끝(末)으로 길게 나와 있는 부분을 형상화한 글자라고 기억해두자. 아직 아닐 미(未)자와 그 형태를 비교하여 기억해두면 좋다.
활용 ① 덕본재말 (德本財末, 덕 덕, 근본 본, 재물 재, 끝 말 : (세상살이에서) 덕이 근본이고 재물은 사소한 부분임)
* 재물 재(財) & 덕본재말 학습 참고
덕본재말(德本財末) ‘(세상살이에서) 덕이 근본이며 재물은 사소한 부분임’
#1 덕본재말 #2 德本財末 덕본재말(클 덕, 근본 본, 재물 재, 끝 말) ‘덕이 근본이요 재물은 말단임’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재물 재(財) 재물(property) 재 (4급 해당) 財자의 부수는 글자 좌측
nmd-pws.tistory.com
활용 ② 물유본말사유종시 (物有本末事有終始, 물건 물, 있을 유, 근본 본, 끝 말, 일 사, 있을 유, 마칠 종, 비로소 시 : 사물에는 근본과 끝이 있고, 일에는 시작과 끝이 있음)
* 근본 본 (本) & 물유본말사유종시 학습 참고
물유본말 사유종시(物有本末 事有終始) ‘사물에는 근본과 끝이 있고 일에는 처음과 끝이 있음
#1 물유본말 사유종시 #2 物有本末 事有終始 물유본말(물건 물, 있을 유, 근본 본, 끝 말) 사유종시(일 사, 있을 유, 마칠 종, 비로소 시) ‘사물에는 근본과 끝이 있으며, 일에는 처음과 끝이 있음.
nmd-pws.tistory.com
활용 ③ 본말전도 (本末顚倒, 근본 본, 끝 말, 엎드러질 전, 넘어질 도 : 일의 근본과 사소한 부분이 뒤바뀜)
#4 단말마 한자 & 단말마 뜻과 유래
단말마 한자를 풀어보면
斷末摩(끊을 단, 끝 말, 문지를 마)로써
‘끊는다(斷)/ 말마(末摩)를’ 즉 말마를 끊는다는 뜻이다.
이때의 말마(末摩)는 산스크리트어인 ‘마르만’에서 따온 것인데
사람의 급소(急所)를 의미한다고 한다.
급소에 충격이 가해지면
생명에 지장이 있는 것은 누구나가 다 알 것이다.
즉 단말마란, ‘말마(급소)를 자른다’는 의미로
숨이 끊어질 때의 고통 또는
숨이 끊어질 때 짧게 내뱉는 비명을 의미하는 말로 쓰인다.
'상용한자 1800자 _ 삶의 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마불사(大馬不死) ‘(바둑에서) 대마는 (쉽게) 죽지 않는다’ 대마불사 뜻 (0) | 2022.05.01 |
---|---|
하마평(下馬評) ‘하마비 앞에서 이루어지는 세평, 관리의 이동, 임명, 승진 등에 관한 풍설을 의미’ 하마평 뜻, 하마평이란, 하마평 유래 (0) | 2022.04.30 |
존망지추(存亡之秋) ‘존속하느냐 멸망하느냐의 절박한 때’ 위급존망지추, 제갈량 출사표 (0) | 2022.04.30 |
박리다매(薄利多賣) ‘적은 이익을 보되 많이 팔다’ 박리다매 뜻, 박리다매 반대말 (0) | 2022.04.30 |
환매권(還買權) ‘도로 살 수 있는 즉 환매할 수 있는 권리’ 환매권 뜻 (0) | 2022.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