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오리무중
#2 五里霧中
(다섯 오, 마을 리, 안개 무, 가운데 중)
‘오 리나 되는 (짙은) 안개 속’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다섯 오(五)
다섯 (five) 오 (6급2/ 해당)
五자의 부수는 두 이(二)자이다. 나뭇가지를 五와 같은 모양으로 5가지를 바닥에 깔아놓았다고 생각하고 기억하도록하자. 한 일(一)*, 두 이(二), 석 삼(三), 넉 사(四)**와 함께 익혀두자.
독서삼도(讀書三到) ‘(송나라의 주희가 주창한) 책을 읽을 때의 3가지 방법’ & 구도, 안도, 심도
#1 독서삼도 #2 讀書三到 독서삼도(읽을 독, 글 서, 석 삼, 이를 도) ‘독서의 3가지 법’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한 일(一)/ 두 이(二)/ 석 삼(三) 한/ 두/ 석 (one/two/three) 일/ 이/ 삼 (6급2 해당) 한..
nmd-pws.tistory.com
* 한 일/두 이/석 삼 & 독서삼도(讀書三到) 참고
조삼모사 (朝三暮四) ‘(원숭이에게) 아침에는 3개, 저녁에는 4개(의 도토리를 주다)’
#1 조삼모사 뜻 #2 朝三暮四 (아침 조, 석 삼, 저물 모, 넉 사) ‘아침에는 3개, 저녁에는 4개’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넉 사(四) 넉 (four) 사 (6급2 해당) 四자의 부수는 큰입구몸(囗)이다. 큰 입구
nmd-pws.tistory.com
* 넉 사(四) & 조삼모사(朝三暮四) 참고
활용 ① 남아수독오거서 (男兒須讀五車書, 사내 남, 아이 아, 모름지기 수, 읽을 독, 다섯 오, 수레 거, 글 서 : 사내는 모름지기 다섯 수레의 책을 읽어야 함)
남아수독오거서(男兒須讀五車書) ‘남자는 무릇 다섯 수레의 책을 읽어야 한다’
#1 남아수독오거서 #2 男兒須讀五車書 남아수독오거서 (사내 남, 아이 아, 모름지기 수, 읽을 독, 다섯 오, 수레 거, 글 서) ‘남자는 무릇 다섯 수레의 책을 읽어야 한다.’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
nmd-pws.tistory.com
* 아이 아(兒) & 남아수독오거서 참고
활용 ② 오십천명 (五十天命, 다섯 오, 열 십, 하늘 천, 목숨 명 : 오십 살이 되어 천명을 앎)
불혹 지천명 이순(不惑 知天命 耳順) ‘불혹 지천명 이순 미혹되지 않는 나이 40, 하늘의 뜻을 아
#1 불혹 지천명 이순 #2 不惑 知天命 耳順 불혹(아니 불, 미혹할 혹) ‘미혹되지 않는 나이 40세’ 지천명(알지, 하늘 천, 목숨 명) ‘하늘의 뜻을 아는 나이 50세’ 이순(귀 이, 순할 순) ‘듣는 대로
nmd-pws.tistory.com
미수(米壽) ‘88세’ 그 외 나이_지학(15) 약관(20) 이립(30) 불혹(40) 지천명(50) 이순(60) 종심(70) 고희
#1 미수 #2 米壽 미수(쌀 미, 목숨 수) ‘88세’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쌀 미(米) 쌀(rice) 미 (5급 해당) 米 자는 글자 자체로 부수이다. 글자 자체로 부수이지만, 더 쪼개어보면 나무 목(木)자와
nmd-pws.tistory.com
* 불혹, 지천명, 이순 등 나이별 이칭 참고
활용 ③ 오십보백보 (五十步百步, 다섯 오, 열 십, 걸음 보, 일백 백 : 오십보 도망간 자가 백 보 도망간 자를 비웃음)
활용 ④ 사마골오백금 (死馬骨五百金, 죽을 사, 말 마, 뼈 골, 다섯 오, 일백 백, 쇠 금 : 죽은 말을 오백금에 산다)
#4 오리무중 뜻 & 오리무중 유래
오리무중 뜻
오리무중(五里霧中)이란
‘오리의 거리가 모두 안개 속이다’라는 뜻으로
어떠한 일에 대해 좀처럼 갈피를 잡을 수 없는 상황을 비유한다.
오리무중 유래
오리무중(五里霧中) 출전은 후한서(後漢書)이다.
후한 시대 장해라는 선비가 있었는데
그는 학식이 매우 뛰어났기에
그 문하생이 100명을 웃돌았다.
그는 도술에도 능하여 사방 오리에
안개를 일으킬 수 있었다는 데에서 유래한다.
원문은 아래와 같다.
性好道術 能作五里霧
(성호도술 능작오리무)
성품이 도술을 좋아하여
능히 5리의 안개를 만들 수 있었다.
오리무중 활용
금리 인상 향방은 여전히 오리무중(五里霧中)
복지부 장관 인선 오리무중(五里霧中)
오리무중(五里霧中) 임대차시장
'상용한자 1800자 _ 삶의 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칠종칠금(七縱七擒) ‘일곱 번 놓아주고 일곱 번 잡음’ (0) | 2022.08.15 |
---|---|
오월비상(五月飛想), 유월비상(六月飛霜) ‘오뉴월에 서리가 내림’ & 오뉴월, 필부함원 유월비상 (여자가 한을 품으면) 오뉴월에도도 서리가 내린다 (0) | 2022.08.15 |
조삼모사 (朝三暮四) ‘(원숭이에게) 아침에는 3개, 저녁에는 4개(의 도토리를 주다)’ (0) | 2022.08.12 |
독서삼도(讀書三到) ‘(송나라의 주희가 주창한) 책을 읽을 때의 3가지 방법’ & 구도, 안도, 심도 (0) | 2022.08.12 |
견지아조 호작자미(堅持雅操 好爵自縻) ‘고아한 지조를 굳게 지키면 좋은 벼슬은 저절로 따라옴’ (0) | 2022.07.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