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독서삼도
#2 讀書三到
독서삼도(읽을 독, 글 서, 석 삼, 이를 도)
‘독서의 3가지 법’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한 일(一)/ 두 이(二)/ 석 삼(三)
한/ 두/ 석 (one/two/three) 일/ 이/ 삼 (6급2 해당)
한 일, 두 이, 석 삼 자는 각각 그 스스로가 부수이다. 각각 나뭇가지를 1개, 2개, 3개 눕혀 놓은 형태를 본뜬 상형문자이다.
활용 ① 입장일단 (一長一短, 한 일, 길 장, 한 일, 짧을 단 : 장점도 있고 단점도 있음)
활용 ② 일체유심조 (一切唯心造, 한 일, 몸 체, 오직 유, 마음 심, 지을 조 : 일체의 것은 마음이 만들어 냄)
* 마음 심(心) &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 참고
활용 ③ 백문(이)불여일견 (百聞不如一見, 일백 백, 들을 문, 아닐 부, 같을 여, 한 일, 볼 견 : 백 번 듣는 것이 한 번 보는 것만 못함)
* 백문불여일견 & 백문이불여일견 참고
활용 ④ 일촌광음불가경 (一寸光陰不可輕, 한 일, 마디 촌, 빛 광, 그늘 음, 아니 불, 옳을 가, 가벼울 경 : 한 마디의 시간도 가벼이 여기지 말라)
* 소년이로학난성/ 일촌광음불가경 참고
활용 ⑤ 충신불사이군 (忠臣不事二君, 충성 충, 신하 신, 아니 불, 두 이, 임금 군 : 충성스러운 신하는 두 임금을 섬기지 않음)
* 임금 군(君 ) & 충신불사이군 참고
활용 ⑥ 일일여삼추 (一日如三秋, 한 일, 날 일, 같을 여, 석 삼, 가을 추 : 하루가 삼 년 같음, 몹시 애태우며 기다리는 것을 비유하는 말)
활용 ⑦ 송도삼절 (松都三絶, 소나무 송, 도읍 도, 석 삼, 끊을 절 : 송도의 빼어난 것 세 가지)
* 송도삼절(松都三絶) 참고
활용 ⑧ 오비삼척 (吾鼻三尺, 나 오, 코 비, 석 삼, 자 척 : 내 코가 석자)
* 오비삼척(吾鼻三尺) & 내 코가 석자 참고
활용 ⑨ 익자삼우 (益者三友, 더할 익, 놈 자, 석 삼, 벗 우 : 이익을 가져다 주는 세 사람의 벗)
* 익자삼우(益者三友) & 손자삼우(損者三友) 참고
활용 ⑩ 맹모삼천지교 (孟母三遷之敎, 맏 맹, 어머니 모, 석 삼, 옮길 천, 갈 지, 가르칠 교 : 맹자의 어머니가 (교육을 위해) 세 번 이사를 한 가르침)
* 맹모삼천지교(孟母三遷之敎) & 자모패자 참고
#4 주희의 독서삼도
책을 읽는 세 가지의 방법
이른바 독서삼도(讀書三到)
이는 중국 송나라의 주희(朱熹)가
훈학재규(訓學齋規)에서
주창한 독서의 3가지 방법을 말한다.
독서삼도에서 말하는 3가지는
구도(口到), 안도(眼到), 심도(心到)인데,
그 원문을 발췌하면 다음과 같다.
讀書有三到 謂心到眼到口到
(독서유삼도 위심도안도구도)
독서에는 3가지 방법이 있다.
이른바 심도, 안도, 구도를 말한다.
心不在此 則眼不看仔細
(심부재차 즉안불간자세)
마음이 여기 있지 않으면
눈은 자세히 볼 수 없다.
心眼旣不專一 却只漫浪誦讀
(심안기불전일 각지만랑송독)
마음과 눈이 한 곳에 집중하지 않으면
그저 되는 대로 외워 읽는 것이다.
決不能記 記亦不能久也
(결불능기 기역불능구야)
결코 기억할 수 없고,
기억한다해도 오래갈 수 없다.
三到之中 心到最急
(삼도지중 심도최급)
삼도 중에서는
심도가 가장 중요하다.
心旣到矣 眼口豈不到乎?
(심기도의 안구기부도호?)
마음이 이미 이르렀다면
눈과 입이 어찌 이르지 않겠는가?
우리는 흔히 말하는 독서삼매(讀書三昧)에
빠진 경지와 유사하지 않을까.
여러번 읽으면 자연스레 그 의미가 드러난다는
독서백편의자현(讀書百篇意自現),
독서는 하되 심오한 뜻은 구하지 않는다는
독서불구심해(讀書不求深解) 역시 참고하기 바란다.
'상용한자 1800자 _ 삶의 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리무중(五里霧中) ‘다섯 리나 되는 (짙은) 안개 속’ (0) | 2022.08.13 |
---|---|
조삼모사 (朝三暮四) ‘(원숭이에게) 아침에는 3개, 저녁에는 4개(의 도토리를 주다)’ (0) | 2022.08.12 |
견지아조 호작자미(堅持雅操 好爵自縻) ‘고아한 지조를 굳게 지키면 좋은 벼슬은 저절로 따라옴’ (0) | 2022.07.30 |
종일불식종야불침(終日不食 終夜不寢) ‘종일 먹지 않고 밤새 자지 않음’ & 무익불여학야 (0) | 2022.07.28 |
석고대죄(席藁待罪) ‘거적을 깔고 (엎드려) 벌 주기를 기다림’ & 뜻과 유래 (0) | 2022.07.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