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조삼모사 뜻
#2 朝三暮四
(아침 조, 석 삼, 저물 모, 넉 사)
‘아침에는 3개, 저녁에는 4개’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넉 사(四)
넉 (four) 사 (6급2 해당)
四자의 부수는 큰입구몸(囗)이다. 큰 입구 몸(囗)과 어진사람인발(儿)이 결합된 형태로 보아, ‘동굴(囗)에서 탈출하기 위해서는 사람(儿)이 4(四)명은 있어야 가능하다’라는 정도로 기억해두자. 숫자 1, 2, 3을 나타내는 한자인 一(한 일), 二(두 이), 三(석 삼) 처럼 갑골문에서는 나뭇가지 네 개를 나열한 것으로 기록되어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그 형태가 四으로 변동된 것으로 이해해도 좋다.
* 한 일/두 이/석 삼 & 독서삼도 참고
활용 ① 장삼이사 (張三李四, 베풀 장, 석 삼, 오얏 리, 넉 사 : 장씨의 셋째 아들, 이씨의 넷째 아들, 평범한 사람을 비유하는 말)
활용 ② 한사군 (漢四郡, 한수 한, 넉 사, 고을 군 : 서기 108년, 한무제가 위만조선을 치고 그 땅에 세운 4개의 군)
* 고을 군(君) & 한사군(漢四郡) 참고
활용 ③ 문방사우 (文房四友, 글월 문, 방 방, 넉 사, 벗 우 : 글방의 네 벗)
* 글월 문(文) & 지필연묵 문방사우 참고
#4 조삼모사 뜻과 유래, 조삼모사 활용
조삼모사 뜻
조삼모사 (朝三暮四)란
한자 그대로 하면
아침에는 3개, 저녁에는 4개라는 뜻이다.
조삼모사 유래
그 출전은 열자(列子) 황제편(黃帝篇)인데
짧게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중국 송나라에 저공(狙公)이란 자가 있었는데
그는 원숭이를 좋아해 기르다보니
집에 원숭이가 무리를 이르는 지경이었다.
그는 많은 원숭이를 기르다보니
결국 가산을 탕진하기에 이르렀고
사람과 원숭이가 먹을 것이라고는 도토리밖에 남지 않았다.
도토리마저 충분치 않자
저공은 원숭이들에게 줄 도토리를 줄이기 위해
원숭이들을 불러 놓고 말했다.
與若芧朝三而暮四足乎?
(여약서조삼이모사족호?)
너희에게 도토리를 주려하는데
아침에 3개, 저녁에 4개면 만족하느냐?
원숭이들은 아침에 하나가 적기 때문에
배가 고프다며 난리를 쳤다.
그러자 저공이 다시 말한다.
與若芧朝四而暮三足乎?
(여약서조사이모삼족호?)
너희에게 도토리를 주려하는데
아침에 4개, 저녁에 3개를 주면 만족하느냐?
원숭이들은 일제히 엎드려 기뻐했다.
아침에 3개, 저녁에 4개와
저녁에 4개 아침에 3개는 결국 같은 것인데
아침에 하나를 더 먹어서 좋아했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잔꾀를 활용하여
상대를 농락하는 상황에서 쓰일 수 있는 말이
바로 조삼모사(朝三暮四)이다.
조삼모사 활용
교부금 개편은 조삼모사(朝三暮四)식 지원에 불과하다.
세부담 완화 정책은 조삼모사(朝三暮四)식 포퓰리즘
강남 그린벨트 대신 태릉 그린벨트, 조삼모사(朝三暮四)
등과 같이 활용가능하다.
'상용한자 1800자 _ 삶의 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월비상(五月飛想), 유월비상(六月飛霜) ‘오뉴월에 서리가 내림’ & 오뉴월, 필부함원 유월비상 (여자가 한을 품으면) 오뉴월에도도 서리가 내린다 (0) | 2022.08.15 |
---|---|
오리무중(五里霧中) ‘다섯 리나 되는 (짙은) 안개 속’ (0) | 2022.08.13 |
독서삼도(讀書三到) ‘(송나라의 주희가 주창한) 책을 읽을 때의 3가지 방법’ & 구도, 안도, 심도 (0) | 2022.08.12 |
견지아조 호작자미(堅持雅操 好爵自縻) ‘고아한 지조를 굳게 지키면 좋은 벼슬은 저절로 따라옴’ (0) | 2022.07.30 |
종일불식종야불침(終日不食 終夜不寢) ‘종일 먹지 않고 밤새 자지 않음’ & 무익불여학야 (0) | 2022.07.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