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적반무치
#2 賊反無恥
적반무치(도적 적, 되돌릴 반, 없을 무, 부끄러울 치)
‘적반하장과 후안무치를 합친 말’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부끄러울 치(恥)
부끄러울(SHAMEFUL) 치 (2급 해당)
恥자의 부수는 글자 우측의 마음 심(心)자이다. 귀 이(耳)*와 마음 심(心)**의 결합으로 귀(耳)가 마음(心)의 바른 소리를 들어 부끄러워(恥) 빨개진다는 의미로 기억해두자.
* 귀 이(耳) & 이현령비현령(耳懸鈴鼻懸鈴) 학습 참고
** 마음 심(心) &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 학습 참고
활용 ① 파렴치 (破廉恥, 깨뜨릴 파, 청렴할 렴, 부끄러울 치 : 염치를 깨뜨림, 염치를 모름, 뻔뻔스러움)
활용 ② 몰염치 (沒廉恥, 빠질 몰, 청렴할 렴, 부끄러울 치 : 염치가 없음)
활용 ③ 경술국치 (庚戌國恥, 별 경, 개 술, 나라 국, 부끄러울 치 : 경술년에 당한 나라의 수치)
활용 ④ 불치하문 (不恥下問, 아니 불, 부끄러울 치, 아래 하, 물을 문 : 아랫사람에게 물어보는 것을 부끄러워하지 않음)
* 물을 문(問) & 불치하문(不恥下問) 학습 참고
활용 ⑤ 태욕근치 (馬耳東風, 말 마, 귀 이, 동녘 동, 바람 풍 : 말의 귀에 부는 동풍, 남의 의견을 귀담아 듣지 않고 흘려버림을 비유)
#4 적반무치 = 적반하장 + 후안무치
적반무치란 말은 본디 존재하지 않는 말이다.
5월 14일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인천 계양을
국회의원 후보가 6.1 지방선거 사무소 개소식에서
국민의 힘을 겨냥하여 한 말이다.
이재명 후보는 국민의 힘에 대해
“국민의 힘에 ‘적반무치당’이라는 이름을 붙이겠다.”고 말한 바 있다.
적반하장과 후안무치를 줄여서 적반무치로 표현한 것이다.
적반하장(賊反荷杖)이란
‘도둑이 도리어 몽둥이를 든다.’는 뜻으로
잘못이 있는 사람이 도리어 잘못이 없는 사람을
나무라는 경우를 빗대어 표현하는 말이다.
또한 후안무치(厚顔無恥)란
‘얼굴이 두껍고 부끄러움이 없다.’는 뜻으로
염치가 없어 뻔뻔한 사람을 빗대는 말로 쓰인다.
'상용한자 1800자 _ 삶의 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횡령(橫領) ‘타인의 물건을 제멋대로 가로챔 또는 불법으로 가짐’ (0) | 2022.05.21 |
---|---|
조령모개/조령석개(朝令暮改/朝令夕改) ‘아침에 명하고 저녁에 다시 바꿈’ (0) | 2022.05.14 |
위자료(慰藉料) ‘불법행위로 인하여 발생한 정신적 고통과 손해에 대하여 지급하는 배상금’ & 위자료 뜻 (0) | 2022.05.12 |
거재두량(車載斗量) ‘수레에 싣고 말로 헤아릴 수 있을 정도’ 거재두량 뜻과 유래 (0) | 2022.05.11 |
대마불사(大馬不死) ‘(바둑에서) 대마는 (쉽게) 죽지 않는다’ 대마불사 뜻 (0) | 2022.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