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오이씨를 심으면

#2 種瓜得瓜 種豆得豆, 天網恢恢 疎而不漏/失
종과득과 종두득두(씨 종, 오이 과, 얻을 득, 오이 과, 씨 종, 콩 두, 얻을 득, 콩 두)
'오이 씨를 심으면 오이가 나고, 콩을 심으면 콩이 난다.'
천망회회 소이불루/실(하늘 천, 그물 망, 넓을 회, 성길 소, 말 이을 이, 아니 불, 샐 루/잃을 실)
'하늘의 그물이 성긴듯 해보이나, 놓치는 바가 없다.'
#3 상용한자 쪼개기_ 콩 두(豆)
豆 자는 글자 자체로 부수이다. 갑골문 상으로는 제사를 지낼 때 쓰는 그릇인 제기 모양을 본뜬 것으로 보인다. 옛날 중국 한나라 때부터 콩을 제기 그릇에 주로 담았기 때문에 콩이라는 뜻을 가지게 되었다는 설이 있다. 유래의 이해가 쉽지 않으니 여러 번 써서 익숙해지도록 하자.
활용 ① 두부 (豆腐, 콩 두, 썩을 부 : 콩으로 만든 음식 중의 하나.)
‘리얼 맛집 가평 잣 두부(豆腐) 전골 ’
#4 하늘의 그물은 결코 새는 법이 없다.
그대가 누구이든지
천망회회(天網恢恢)하여 빠져나갈 구멍이 있다고 느낄지 모르나,
하늘의 그물은 결코 새는 법이 없다.
사람을 속일 수는 있어도,
하늘을 속일 수는 없다.
인과응보(因果應報)
뿌린 대로 거두리라.
반응형
'상용한자 1800자 _ 삶의 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강불식(自强不息) '스스로 힘쓰고 쉬지 않는다' 자강불식 뜻 (0) | 2021.05.18 |
---|---|
복수불수(覆水不收), 복수불반분(覆水不返盆) '엎질러진 물은 다시 주워 담을 수 없다' (0) | 2021.05.17 |
거자불추내자불거(去者不追 來者不拒) '가는 사람 잡지 말고 오는 사람 막지 말라.' (0) | 2021.05.17 |
아복기포불찰노기( 我腹旣飽不察奴飢) '내 배가 이미 부르니 종 배고픈 줄 모른다' (0) | 2021.05.17 |
지성감천(至誠感天) '지극한 정성에 하늘이 감동하다' (0) | 2021.05.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