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종일불식 종야불침
#2 終日不食 終夜不寢
(마칠 종, 날 일, 아니 불, 먹을 식, 밤 야, 잘 침)
‘종일 먹지도 않고 밤새 자지도 않음’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마칠 종(終)
마칠 (finish) 종 (4급 해당)
終자의 부수는 실 사(絲)*자의 부수 변형인 가는 실 멱(糸)이다. 가는 실 멱(糸)과 겨울 동(冬)자의 결합으로 실을(糸) 꼬아 옷을 만드는 일은 추운 겨울(冬)이 오기 전에 끝마쳐(終)야한다는 정도로 기억해두자.
정사원서(情絲怨緖) '애정과 원한이 실처럼 얽힘'
#1 정사원서 #2 情絲怨緖 정사원서(뜻 정, 실 사, 원망할 원, 실마리 서) ‘애정과 원한이 실같이 얼크러짐.’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실 사(絲) 실(thread) 사 (3급 해당) 絲 자는 가는 실 사(糹, 糸)
nmd-pws.tistory.com
* 실 사(絲) & 정사원서(情絲怨緖) 참고
하로동선(夏爐冬扇) '여름의 화로와 겨울의 부채'
#1 여름날의 화로 #2 夏爐冬扇 하로동선(여름 하, 화로 로, 겨울 동, 부채 선) '여름의 화로와 겨울의 부채' 처럼 격에 어울리지 않는 물건을 비유함.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겨울 동(冬) 겨울(wint
nmd-pws.tistory.com
** 겨울 동(冬) & 하로동선(夏爐冬扇) 참고
활용 ① 자초지종 (自初至終, 스스로 자, 처음 초, 이를지, 마칠 종 : 처음부터 끝까지)
활용 ② 미불유초선극유종 (靡不有初 鮮克有終, 쓰러질 미, 아닐 부, 있을 유, 처음 초, 고울 선, 이길 극, 마칠 종 : 처음은 누구나 노력하나 끝까지 계속하는 자는 드물다)
미불유초 선극유종(靡不有初鮮克有終) '처음은 누구나 노력하지만 끝까지 계속하는 사람은 드물
#1 처음이 있지 않은 것은 없지만 #2 靡不有初 鮮克有終 미불유초 선극유종(쓰러질 미, 아닐 불, 있을 유, 처음 초, 고울 선, 이길 극, 마칠 종) '처음이 있지 않는 것은 없으나, 능히 끝이 있는 것은
nmd-pws.tistory.com
* 고울/생선(鮮) & 미불유초선극유종(樹欲靜而風不止) 참고
활용 ③ 시종일관 (始終一貫, 비로소 시, 마칠 종, 한 일, 꿸 관 : 처음부터 끝까지 관철함)
활용 ④ 흉종극말 (凶終隙末, 흉할 흉, 마칠 종, 틈 극, 끝 말 : 흉종이란 자와 극말이란 자의 이야기, 우정을 끝까지 지켜나가지 못함을 비유)
#4 종일불식 종야불침이사 무익 불여학야
논어(論語) 위령공편(衛靈公篇)에서 전한다.
子曰 吾嘗終日不食 終夜不寢以思 無益 不如學也
(자왈 오상종일불식 종야불침이사 무익 불여학야)
공자께서 말씀하시길,
“내 일찍이 종일 먹지도 않고 자지도 않고 생각해봤으나
유익함이 없었다. 배우는 것만 같지 못하였다.”
사색만 하고 학문하지 않음을 경계한 말로 풀이된다.
다만 배우기만 하고 스스로 사색하여 소화함이 없다면
그 또한 경계해야하는 바이다.
'배우되 생각히지 않으면 어둡고,
생각하되 배우지 않으면 위태롭다'는
아래의 위정편 구절을 참고하기 바란다.
학이불사즉망 사이불학즉태(學而不思則罔 思而不學則殆) ‘배워도 생각하지 않으면 사리에 어
#1 학이불사즉망 사이불학즉태 #2 學而不思則罔 思而不學則殆 학이불학즉망(배울 학, 말 이을 이, 아닐 부, 생각 사, 법칙 칙, 그물 망) ‘배우되 생각하지 않으면 사리에 어둡다’ 사이불학즉태(
nmd-pws.tistory.com
'상용한자 1800자 _ 삶의 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서삼도(讀書三到) ‘(송나라의 주희가 주창한) 책을 읽을 때의 3가지 방법’ & 구도, 안도, 심도 (0) | 2022.08.12 |
---|---|
견지아조 호작자미(堅持雅操 好爵自縻) ‘고아한 지조를 굳게 지키면 좋은 벼슬은 저절로 따라옴’ (0) | 2022.07.30 |
석고대죄(席藁待罪) ‘거적을 깔고 (엎드려) 벌 주기를 기다림’ & 뜻과 유래 (0) | 2022.07.28 |
조구지필대시(鳥久止必帶矢) ‘새도 한 곳에 오래 앉아 있으면 화살을 맞음’ (0) | 2022.07.28 |
부창부수(夫唱婦隨) ‘남편이 노래하면 아내가 따라 함’ & 부창부수 뜻과 유래 (0) | 2022.07.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