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편승
#2 便乘
편승(편할 편, 탈 승)
‘편의를 얻어 거마를 얻어 탐’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편할 편/똥 오줌 변
편할(comfortable) 편/똥 오줌(feces and urine) 변 (7급 해당)
便자의 부수는 글자 좌측의 사람인변(人의 부수 변형=亻)이다. 사람인변(亻)과 고칠 경/다시 갱(更)*자의 결합으로 사람(人)이 고장난 물건을 고쳐서 다시(更) 쓰면 생활이 편하다(便)라는 정도로 기억해두자. 참고로 ‘편’으로 발음 될 때에는 ‘편하다, 쉬다, 휴식하다, 소식’ 등의 뜻을 갖지만 ‘변’으로 발음 될 때에는 ‘똥오줌, (부사로) 곧, 문득’의 뜻을 갖는다는 것을 기억하기 바란다.
* 고칠 경/ 다시 갱(別) & 화유중개일 인무갱소년 참고
활용 ① 편지 (便紙, 편할 편, 종이 지 : 소식을 서로 알리는 글)
활용 ② 편의점 (便宜店, 편할 편, 마땅 의, 가게 점 : 소비자들이 살 수 있는 생필품 등을 취급하는 소형 상점)
활용 ③ 변소 (便所, 편할 편, 바 소 : 대소변을 볼 수 있도록 만들어 놓은 장소)
#4 편승하다
편승(便乘)이란
한자 그대로 풀이하면
‘편의(便宜)를 얻어 남이 타고 가는 거마(車馬)의
한 자리에 탑승(搭乘)하다’라는 의미이다.
‘어떠한 세력이나 세태, 흐름을 잘 이용해
자신의 이익을 거두어들이는 것’을 비유하는 말로 쓰인다.
‘챗GPT 열풍에 게임업계도 편승(便乘)’
‘글로벌 증시 훈풍에 편승(便乘)하여 코스피도 상승세’
등으로 활용 가능하다.
#5 한자교육의 필요성 & 상용한자와 삶의 지혜 전자책 정리본
* 앞으로 진행되는 상용한자 교육에 참고하기 바랍니다.
반응형
'상용한자 1800자 _ 삶의 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각살우(矯角殺牛) ‘쇠뿔을 바로 잡으려다 소를 죽임’ & 교각살우 뜻과 유래 (2) | 2023.02.19 |
---|---|
화무십일홍(花無十日紅) ‘열흘 붉은 꽃은 없다’ & 화무십일홍 뜻 & 화무십일홍 유래 (1) | 2023.02.18 |
춘래불사춘(春來不似春) ‘봄이 왔지만 봄 같지가 않음’ & 춘래불사춘 의미 (0) | 2023.02.14 |
부촌(富村) ‘부자가 많이 사는 동네’ & 부촌, 빈촌 (0) | 2023.02.12 |
주야장천(晝夜長川) ‘낮과 밤 쉬지 않고 흐르는 시냇물’ & 주야장천 뜻 (0) | 2023.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