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기초한자1800자 112

현실직시 '현재의 사실을 똑바로 보다'

#1 현실을 직시하라 #2 現實直視 현실직시(나타날 현, 열매 실, 곧을 직, 볼 시) '현재 존재하는 사실을 곧게, 똑바로 보다.'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 _ 나타날 현(現) 現에서 부수는 구슬옥(玉) 변이다. 玉 자가 부수로 좌측에서 쓰이면, 王(임금 왕) 자의 형태로 변하는 것에 유의하자. 글자 우측에는 나타날 견(見) 자가 붙어 음을 따왔다.([견]->[현]) 구슬이 반짝거리며 눈앞에 보여 나타난다는 정도로 생각하면 될 듯하다. 활용 ① 재현 (再現, 다시 재, 나타날 현 : 다시 나타남, 다시 나타내 보임.) ‘진시황이 먹던 우육면 맛을 재현해내다.’ ​ 활용 ② 현실주의 (現實主義, 나타날 현, 열매 실, 주인 주, 뜻의 : 현실을 바탕으로 생각하거나 행동하는 주의.) 초현실주의 화가..

불세출(不世出) '좀처럼 세상에 나타나지 않음'

#1 불세출의 영웅 & 불세출 뜻 #2 不世出 불세출(아니 불, 세상 세, 나갈 출) '좀처럼 세상에 나오지 않는'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나갈 출(出) 出 에서 부수는 위튼 입구 몸(凵)이다. 글자가 단순하니 여러 번 써 보고 익숙해지도록 하자. ​ 활용 ① 출범 (出帆, 나갈 출, 돛 범 : 돛을 달고 떠나다, 새로운 단체가 조직됨.) ​'공수처 출범(出範) 지연되는 이유는?' ​ 활용 ② 두문불출 (杜門不出, 막을 두, 문 문, 아닐 불, 나갈 출 : 문을 닫고 나가지 않음. ) ​'석 달 간 두문불출(杜門不出)하고 원고 작성에 몰두.' ​ #4 불세출의 명장, 불세출의 영웅, 불세출의 노인 사기 회음후전에 나오는 말이다. 鶴髮投竿客 超然不世翁 (학발투간객 초연불세옹) 학과 같은 머리를 ..

도불습유(道不拾遺) '길에 떨어진 것을 줍지 않는다'

#1 길에 떨어진 것을 보고도 #2 道不拾遺 道不拾遺(길 도, 아니 불, 주울 습, 남길 유) '길에 떨어진 것을 줍지 않는다.' 나라가 잘 다스려져 백성의 풍속이 돈후함을 의미하기도 하며, 형벌이 무서워 백성이 법을 어기지 않음을 의미하기도 한다.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길 도(道) 道 자는 책받침(辶)이 부수이다. 해당 부수는 움직임을 나타내는 부수이다. 머리수(首) 자를 넣어 의미를 만들어보면, 머리(首)가 향하려고 하는 곳이 곧 (내가 가야 할) 길이라고 생각하면 어떨까? ​ 활용 ① 보도 (報道, 알릴 보, 길 도 : 소식을 일반에게 알림.) ​'엠바고는 특정 시점까지 보도(報道)를 유예하는 것을 의미한다.' 활용 ② 안빈낙도(安貧樂道, 편알한 안, 가난할 빈, 즐길 락, 길 도) '..

각득기소(各得其所 ) '저마다 그 있어야 할 곳을 얻다'

#1 각득기소_저마다 있어야 할 곳 #2 各得其所 각득기소(각각 각, 얻을 득, 그 기, 바 소) '저마다 그 있어야 할 곳을 얻는다.'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각각 각(各) 各에서 부수는 입 구(口) 자이다. 부수 위로는 뒤져서 올 치(夂) 자가 붙어 있는바, 사람마다 제각각 걷는 속도가 달라, 뒤져서 오는(夂) 사람도 있을 것이므로, 입구(入口)에 다다를 때는 제각각(各) 따로 도착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 활용 ① 각론 (各論, 각각 각, 논할 론 : 각 목에 대한 논설. 총론(總論)의 반대.) ​'행정법 각론(各論) 공부 방법' ​ 활용 ② 각개격파 (各個擊破, 각각 각, 낱 개, 칠 격, 깨뜨릴 파 : 낱낱을 따로따로 격파함.) ​'병력을 분산시켜 각개격파(各個擊破) 작전 돌입' ​ ..

동상이몽(同床異夢) '한 침상에서 서로 다른 꿈을 꾸다'

#1 동상이몽_한 침대에서 다른 꿈을 꾸다 #2 同床異夢 동상이몽(같을 동, 평상 상, 다를 이, 꿈 몽) 같은 침상에서 서로 다른 꿈을 꿈. 겉으로는 같은 행동을 하면서 속으로는 서로 다른 생각을 함을 의미한다.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 _ 평상 상(床) 床 에서 부수는 집을 의미하는 집 엄(广)이다. ‘집 안에서 나무(木)로 만들어진 가장 대표적인 것’은 평상이니, 평상(평평한 상) 상 으로 기억하면 된다. ​ 활용 ① 수라상 (水刺床, 물 수, 수라 라, 평상 상 : 임금에게 올리는 진지 상.) ​​'왕과 왕비의 밥상을 수라상(水刺床)이라 한다.' ​ 활용 ② 침상 (寢床, 누울 침, 평상 상 : 누워 자는 평상.) ​​'군대 침상(寢床) 개인 침대로 바꾼다​.' ​ #4 한 침대를 쓰면서 ..

승당입실(升堂入室) '마루에 올라 방으로 들어가다' & 승당입실 뜻

#1 마루에 올라 방으로 들어가다 #2 升堂入室 승당입실(오를 승, 집 당, 들 입, 집 실) ' 마루에 올라 방으로 들다.'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집 실(室) 室 에서 부수는 이제 쉬이 추론 가능할 것이다. 집 면, 갓머리 면(宀 )이 부수이다. 부수 아래에는 이를지(arrive)(至)가 붙었다. 집에 이르러 있다라는 정도로 해석해 두자. ​ 활용 ① 잠실 (蠶室, 누에 잠, 집 실 : 누에를 치는 방.) ​우리가 아는 2호선 잠실이다. 현재 송파구 잠실동에 있던 마을로, 조선 초에는 뽕나무를 심어 양잠을 장려하기 위해 만든 마을이었다고 한다. ​ 활용 ② 밀실 (密室, 빽빽할 밀, 집 실 : (출입을 금하는) 비밀스러운 방.) ​‘밀실(密室) 살인’의 용의자. 활용 ③ 허실생백(虛室生白...

외유내강(外柔內剛) '겉은 부드럽지만 안은 강함' & 외유내강 뜻

#1 외유내강_겉은 부드럽지만 안으로는 #2 外柔內剛 외유내강(바깥 외, 부드러울 유, 안 내, 굳을 강) '바깥은 부드러우나 안은 굳고 강함'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안 내(內) 內 에서 부수는 들 입(enter, (入))이다. 갑골문 상 전통가옥의 내부를 형상화한 글자라고 한다. 네모난 것에 들어간다(入)고 생각하면 된다. ​ 활용 ① 댁내 (宅內, 집 택, 댁 안 내 : 남의 집안을 높여 부를 때.) ​‘댁내(宅內) 평안을 기원합니다.’ ​ 활용 ② 내홍 (內訌, 안 내, 어지러울 홍 : 내부에서의 분쟁.) ​‘조합 내홍(內訌)이 극으로 치닫다.’ #4 외유내강 뜻 & 외강내유 뜻 외유내강(外柔內剛) 겉으로는 부드럽고 유순하나 그 속마음은 단단하고 굳세다. 자존이 굳세고 내적으로 강한 사..

곡불욕이백(鵠不浴而白) '따오기는 목욕을 하지 않아도 희다'

#1 목욕을 하지 않아도 #2 鵠不浴而白 곡불욕이백(고니 곡, 아니 불, 씻을 욕, 말 이을 이, 흰 백) '따오기는 목욕을 하지 않아도 흼.' 천성이 선한 이는 배우지 않아도 착하고 훌륭함.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 _ 목욕 욕(浴) 浴에서 부수는 물 수(水)의 변형인 삼 수 변(氵)이다. 부수 옆의 골짜기 곡(谷)에서 음을 따왔다. 골짜기(谷) 계곡물(氵)에서 몸을 씻는 모습을 상상하면 된다. ​ 활용 ① 산림욕 (山林浴, 뫼 산, 수풀 림, 목욕할 욕 : 숲에서 (목욕하듯이) 온몸을 드러내고 숲의 기운을 쐬는 일.) ​‘빼어난 자연 경관과 산림욕(山林浴)까지 함께 즐길 수 있는 수원지. ​ 활용 ② 목욕재계 (沐浴齋戒, 머리 감을 목, 목욕할 욕, 재계할 재, 경계할 계 : 제사를 지내거나 ..

두점방맹(杜漸防萌) '처음부터 막아 싹이 나오지 못하게 하다'

#1 두점방맹_화근을 초장에 없애다 #2 杜漸防萌 두점방맹(막을 두, 점점 점, 막을 방, 움 맹) '처음부터 막아 싹이 나오지 못하도록 화근의 조짐을 미연에 없애다.'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 _ 막을 방(防) 防에서 부수는 언덕 부(阜)인데, 부수로 쓰일 때는 변형이 일어나, 글자 좌측에서 좌부 변(阝)으로 활용된다. 글자 우측에는 모 방(方)이 붙었다. 그림에서 보듯 언덕(阝) 위에 서서 여러 방향(方)에서 몰려오는 적들을 막아낸다는 의미로 생각하면 될 듯하다. 활용 ① 방파제 (防波堤, 막을 방, 물결 파, 제방 제 : 바다의 파도를 막는 둑, 제방.) '갯벌은 자연 방파제(防波堤) 역할을 한다.' 활용 ② 중구난방 (衆口難防, 무리 중, 입 구, 어려울 난, 막을 방 : 여러 사람의 말을..

시기상조(時機尙早) '오히려 때가 이름' & 시기상조 뜻

#1 시기상조_아직은 때가 아니다 #2 時機尙早 시기상조(때 시, 기회 기, 오히려 상. 이를 조)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 _ 때 시(時) 時 에서 부수는 날일(日)인데, 날 일자를 부수로 쓰는 한자들은 모두 시간과 관련이 있다. 글자 우측에는 절 사(寺) 자가 붙었다. 寺를 쪼개어 보면, 흙 토(土) 자와 마디 촌(寸)이 결합한 바, 나름의 의미를 만들어보면, 흙 마디마디에 절도가 깃든 땅이 어디일까 생각해, 그곳은 바로 사찰일 것이라는 생각을 해보았다. 또한 옛날 절에서 수련을 위해 시계를 두고 보지 않았기에 매일매일 떠오르고 지는 해(태양)를 보고 시간을 예측했을 것이므로, 때 시(時)의 의미도 도출해낼 수 있다. 활용 ① 수시 (隋時, 때때로, 그때그때.) 활용 ② 시한 (時限 시간의 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