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617

금석위개(金石爲開) '쇠와 돌을 열리게 함'

#1 금석위개 #2 金石爲開 금석위개(쇠 금, 돌 석, 할 위, 열 개) ‘쇠와 돌을 열리게 함’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열 개(開) 열(open) 개 (5급 해당) 開자의 부수는 문 문(門)자 이다. 門 + 开 의 형태가 열 개(開)자이다. 문을 양손으로 활짝 여는 모습을 형상화한 글자라고 기억해두면 된다. * 문 문_소문만복래 참고 소문만복래(笑門萬福來) '웃는 문으로 만복이 들어옴' & '웃는 얼굴에 침 못 뱉는다' #1 소문만복래 #2 笑門萬福來 소문만복래(웃을 소, 문 문, 일만 만, 복 복, 올 래) ‘웃는 문으로 만가지의 복이 들어온다’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문 문(門) 문(door) 문 (6급 해당) 門자는 글자 nmd-pws.tistory.com * 물을 문_불치하..

소문만복래(笑門萬福來) '웃는 문으로 만복이 들어옴' & '웃는 얼굴에 침 못 뱉는다'

#1 소문만복래 #2 笑門萬福來 소문만복래(웃을 소, 문 문, 일만 만, 복 복, 올 래) ‘웃는 문으로 만가지의 복이 들어온다’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문 문(門) 문(door) 문 (6급 해당) 門자는 글자 자체로 부수를 이룬다. 상형문자로 양쪽으로 여닫는 큰 대문을 형상화한 글자이다. 여러번 써서 익숙해지도록 하자. 門을 부수로 활용하는 글자들은(물을 문 問 / 열 개開/ 닫을 폐 閉) 문과 연관지어서 기억하도록 하자. * 물을 문_불치하문 참고 불치하문 '아랫사람에게 묻는 것을 부끄럽게 여기지 않다' #1 세살 아이에게도 배울 점이 있다 #2 不恥下問 불치하문(아니 불, 부끄러울 치, 아래 하, 물을 문) '아랫사람에게 묻는 것을 부끄럽게 여기지 아니함.'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

일경(一京) '10,000,000,000,000,000, 억의 1억 배, 조의 1만 배' & 일십백천만억조경해자양구간정재극

#1 京, 조(兆)의 만배 #2 일십백천만억조경해자양구간정재극 一十百千萬億兆京垓秭穰...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서울 경(京) 서울(seoul) 경 (5급 해당) 京자의 부수는 글자 위의 돼지해머리 두(亠)이다. 돼지해머리 두(亠) + 입 구(口) + 작을 소(小)자의 결합이나 특별한 의미를 형성하기 어려우니 여러번써서 글자에 익숙해지도록 하자. 활용 ① 경향출입 (京鄕出入, 서울 경, 시골 향, 나갈 출, 들 입 : 서울과 시골을 왔다갔다하며 널리 교제함) 활용 ② 천상백옥경 (天上白玉京, 하늘 천, 윗 상, 흰 백, 구슬 옥, 서울 경 : 옥황상제가 사는 천궁을 이르는 말) #4 일십백천만십만백만천만억십억백억천억조 큰 숫자를 나타내는 단위를 알아보자. 일십백천만십만백만천만억 십억백억천억조십..

빈천지교불가망(貧賤之交不可忘) 조강지처불하당(糟糠之妻 不下堂) '가난하고 천할 때의 사귐을 잊으면 안되고 조강지처는 내보내선 안 된다.'

#1 빈천지교불가망/ 조강지처불하당 #2 貧賤之交不可忘/ 糟糠之妻 不下堂 빈천지교불가망(가난할 빈, 천할 천, 갈 지, 사귈 교, 아닐 불, 옳을 가, 잊을 망) 조강지처불하당 (지게지 조, 겨 강, 갈 지, 아내 처, 아닐 불, 아래 하, 집 당) '가난하고 천할 때의 사귐을 잊으면 안되고 술지게미와 쌀겨가루를 먹으며 가난을 함께 한 아내는 내보내선 안 된다.'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사귈 교(交) 사귈(date, get along) 교 (5급 해당) 交자의 부수는 글자 위의 돼지해머리 두(亠)이다. ‘亠’자와 아비 부(父)자의 결합인데, 상형자로써, 돼지머리나 아버지와는 관계가 없고, 사람이 양다리를 꼬고 있는 모습을 나타낸 글자라고 한다. 특별한 의미를 형성하기 어려우니 여러번써서 글자에..

전국구(全國區) '전국을 한 개의 단위로 하는 선거구'

#1 전국구 #2 全國區 전국구(온전할 전, 나라 국, 구분할 구) ‘전국을 하나의 단위로 하는 선거구, 지역구(地域區)와 반대’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구분할 구(區) 구분할(devide, seperate) 구 (5급 해당) 區자의 부수는 네모난 상자의 우측면이 뚫린 형태인 튼입구몸 또는 상자방(匸)자이다. 네모난 상자(口)의 우측면을 뜯어(匚) 담겨있는 물건(品)*을 성질에 맞게 구분(區)하여 둔다는 정도로 기억해두자. 구분할 구(區)자는 ‘구분하다’의 뜻 외에도 나누어진 ‘구역’을 의미하기도 한다. * 물건 품(品)_품행방정 참고 품행방정 '품성과 행실이 바르고 단정함' #1 품성과 행실이 바르고 단정함 #2 品行方正 품행방정(물건 품, 다닐 행, 모 방, 바를 정) #3 상용한자 180..

한사군(漢四郡) '서기 108년, 중국 한무제가 위만조선을 쳐서 그 땅에 세운 네 개의 군으로 낙랑, 임둔, 현도, 진번'

#1 한사군_ 낙랑 임둔, 현도, 진번 #2 漢四郡 한사군(한수 한, 넉 사, 고을 군) ‘서기 108년, 한무제가 위만조선을 치고 그 땅에 세운 4개의 군’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고을 군(郡) 고을(country) 군 (5급 해당) 郡자의 부수는 고을 읍(邑)자의 변형인 우부방(⻏)이다. 임금 군(君)자와 고을 읍의 부수 변형인 우부방(邑)이 결합한 형태이다. 임금(君)이 다스리는 고을(邑 = ⻏) 중에 그 규모가 큰 것이 바로 군(郡)이다는 정도로 기억해 두자. 참고로 행정단위의 규모는 시>군(郡)>구>읍(邑)>면>동 순서이다. * 임금 군(君) _충신불사이군 참고 충신불사이군(忠臣不事二君) '충성스러운 신하는 두 임금을 섬기지 않음' #1 불사이군/충신불사이군 #2 不事二君/忠臣不事二君..

녹읍(祿邑) '신라시대 백관에게 직전으로 나누어 주던 논밭'

#1 녹읍 #2 祿邑 녹읍(녹 록, 고을 읍) ‘신라 때 백관에게 직전으로 나누어 주던 논밭’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고을 읍(邑) 고을(country) 읍 (6급 해당) 邑자는 글자 자체로 부수를 이룬다. 고을 읍(邑)자가 다른 글자에서 부수로 쓰일 때는 글자 우측에 위치하여 우부방(⻏)의 형태로 사용된다. 글자를 쪼개보면, 입 구(口)와 꼬리 파(巴)의 결합인데, 많은 입(口)들이, 즉 식구들이 뱀의 꼬리(巴)처럼 모여서 살고 있는 곳이 바로 고을(邑)이다는 정도로 기억해두자. * 꼬리 파(巴) 참고 구라파(歐羅巴) '유럽(Europe)의 음역' #1 구라파 #2 歐羅巴 구라파(토할 구, 벌일 라, 꼬리 파) ‘유럽을 나타내는 음역’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꼬리 파(巴) 꼬리(t..

구라파(歐羅巴) '유럽(Europe)의 음역'

#1 구라파 #2 歐羅巴 구라파(토할 구, 벌일 라, 꼬리 파) ‘유럽을 나타내는 음역’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꼬리 파(巴) 꼬리(tail) 파 (1급 해당) 巴에서 부수는 몸 기(己)자이다. 그러나 암기에 쉽도록 뱀 사(巳)자에다가 뚫을 곤(丨)이 결합한 형태로 기억을 해두자. 뱀(巳)의 꼬리가(巴) 일자로(丨) 잘려있는 모습을 형상화하여 기억해두면 된다. * 유사한 형태의 한자를 비교하여 기억해두어야 한다. -> 뱀 사(巳), 꼬리 파(巴), 몸 기(己), 이미 이(已), 활용 ① 삼파전 (三巴戰, 석 삼, 꼬리 파, 싸울 전 : 셋이서 싸우는 싸움.) 활용 ② 임파선 (淋巴腺, 임질 임, 꼬리 파, 샘 선 : 임파가 유통하는 관이 모여있는 볼록한 부분) #4 각 나라의 음역 구라파(歐羅..

충신불사이군(忠臣不事二君) '충성스러운 신하는 두 임금을 섬기지 않음'

#1 불사이군/충신불사이군 #2 不事二君/忠臣不事二君 (충신)불사이군(충성 충, 신하 신, 아닐 불, 일 사, 두 이, 임금 군) ‘충신은 두 임금을 섬기지 않음.’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임금 군(君) 임금(king) 군 (3급 해당) 君에서 부수는 입 구(口)자 이다. 글자를 쪼개보면 성씨/다스릴 윤(尹)* 자와 입 구(口)자의 결합이다. 아랫사람을 다스리는(尹) 말을 입으로(口) 할 수 있는 자가 바로 임금(君)이다는 정도로 생각하면 좋다. * 다스릴 윤(尹)자는 돼지머리 계(彐)와 삐침 별(丿)의 결합인데, 옛날에는 돼지머리(彐)를 비스듬히 들고(丿) 제사를 지내는 사람이 공동체의 우두머리가 되어 나머지 사람들을 다스릴(尹) 수 있었다는 정도로 기억해두자. 활용 ① 군자삼락 (君子三樂,..

반근착절(盤根錯節) '서린 뿌리와 얼크러진 마디' 얽히고 설켜 해결하기 곤란한 문제를 의미

#1 반근착절 #2 盤根錯節 반근착절(소반 반, 뿌리 근, 섞일 착, 마디 절) ‘서린 뿌리와 섞여 얼크러진 마디’ ‘구부러져 엉킨 뿌리와 울퉁불퉁 뒤틀린 마디’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뿌리 근(根) 뿌리(root) 근 (5급 해당) 根 자의 부수는 좌측의 나무 목(木)이다. 나무 목(木)자와 그칠 간(艮)자가 결합하여, 나무(木)의 여러 부분(뿌리, 마디, 줄기, 잎, 열매) 중에 땅에 단단히 그쳐(艮) 있는 부분은 바로 뿌리(根)이다는 정도로 기억해두면 좋다. * 그칠 간(艮)이 들어간 은 은(銀)자 참고 은하작교(銀河鵲橋) '견우직녀 전설 속 칠월칠석에 은하수에 놓는 까마귀와 까치의 다리' #1 은하작교 #2 銀河鵲橋 은하작교(은 은, 강 하, 까치 작, 다리 교) ‘견우직녀 전설에 전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