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동반 서반
#2 東班 西班
동반 서반(동녘 동, 나눌 반, 서녘 서, 나눌 반)
'동편에 정렬한 반열(문반)과 서편에 정렬한 반열(무반)'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나눌 반(班)
나눌(devide) 반 (6급 해당)
班자의 부수는 구슬옥변(王)자이다. 구슬 옥(王=玉) + 선칼도방(刂=刀) + 구슬 옥(王=玉)의 형태로 칼로 옥을 나눈다고 기억해두면 쉽다.
활용 ① 반상 (班常, 나눌 반, 떳떳할 상 : 양반과 상놈)
활용 ② 수반 (首班, 머리 수, 나눌 반 : 반열 가운데 우두머리)
#4 동반 서반, 문반 무반
동반 서반 뜻
조선시대 국왕이 조회를 할 때
국왕이 남쪽을 바라보고 앉으면
문반(文班)이 동쪽 편에 정렬하였기에
동쪽에 정렬한 반열이라 하여
문반을 동반이라 하였고
무반(武班)이 서쪽 편에 정렬하였기에
서쪽에 정렬한 반열이라 하여
무반을 서반이라 하였다.
일반적으로 이 문반, 무반을 통칭해
양반(兩班)이라 부르게 된다.
#5 한자교육의 필요성 & 상용한자와 삶의 지혜 전자책 정리본
상용한자와 삶의 지혜_ 어문회 배정 상용한자 8급부터 2급까지
티스토리 블로그 작업물을 기반으로 전자책을 출간하게 되었습니다. 어문회 8급 배정한자부터 2급배정한자(대학생 교양 수준)까지 한자 낱 글자 하나하나를 그 어원과 생성원리를 함께 고민해
nmd-pws.tistory.com
* 앞으로 진행되는 상용한자 교육에 참고하기 바랍니다.
반응형
'상용한자 1800자 _ 삶의 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일야방성대곡(是日也放聲大哭) ‘이 날에 소리 내어 크게 통곡하다’ & 시일야방성대곡 뜻 (0) | 2023.03.29 |
---|---|
화발다풍우(花發多風雨) ‘꽃이 피면(피는 시기에는) 비바람이 많다’ (0) | 2023.03.29 |
반면교사(反面敎師) ‘반대면의 선생님’ & 반면교사 뜻, 반면교사 유래 (1) | 2023.03.26 |
이판사판(理判事判) ‘이판과 사판, (조선시대 불교 승려의 두 부류인) 이판과 사판’ & 이판사판 뜻, 이판사판의 유래 (0) | 2023.03.26 |
모리배(謀利輩) ‘온갖 수단과 방법으로 자신의 이익만을 꾀하는 사람이나 무리’ & 모리배 뜻 (0) | 2023.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