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모리배 뜻
#2 謀利輩
모리배(꾀 모, 이로울 리, 무리 배)
‘(온갖 수단과 방법으로) 자신의 이익만을 꾀하는 사람이나 무리’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이로울 리(利)
이로울(beneficial) 리 (6급 해당)
利자의 부수는 글자 우측의 선칼도방(刂)이다. 禾(벼 화)* + 刂(선칼도방)**의 결합으로 벼(禾)를 칼(刀=刂)로 베는 것이 농사짓기에 ‘이롭다(利), 유익하다, 편하다’ 또는 벼(禾)를 칼(刀=刂)로 베어 추수하는 행위는 농부에게 수익을 가져다 주므로 ‘이롭다(利)’는 정도로 기억해두면 좋다.
* 벼 화(禾) & 揷禾(삽화, 모를 심어라, 뻐꾸기) 참고
** 칼 도(刀)자가 부수로 다른 글자의 우측에 붙을 때 刂(선칼도방)으로 변형
활용 ① 어부지리 (漁父之利, 고기잡을 어, 지아비 부, 갈 지, 이로울 리 : 어부의 이익)
* 지아비 부(夫) & 어부지리(漁父之利) 참고
활용 ② 박리다매 (薄利多賣, 엷을 박, 이로울 리, 많을 다, 팔 매 : 이익을 적게 보고 많이 팔아 이문을 올림)
* 팔 매(賣) & 박리다매(薄利多賣) 참고
활용 ③ 이해타산 (利害打算, 이로울 리, 해할 해, 칠 타, 셈 산 : 이로움과 해로움을 이모저모 따져 헤아림)
* 칠 타(打) & 이해타산(利害打算) 참고
활용 ④ 조명시리 (朝名市利, 아침/조정 조, 이름 명, 저자 시, 이로울 리 : 조정에서는 명예를 시장에서는 이익을 다툼)
* 저자 시(市) & 조명시리(朝名市利) 참고
활용 ⑤ 기리단금 (其利斷金, 그 기, 이로울 리, 끊을 단, 쇠 금 : 그 날카로움이 쇠를 끊을 수 있음)
* 그 기(其) & 이인동심 기리단금(二人同心 其利斷金) 참고
#4 모리배 뜻 & 정치 모리배, 시정 모리배
뉴스나 신문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정치 모리배(謀利輩) 또는 시정 모리배(謀利輩)
이때 모리배는 무슨 의미일까?
모리배(謀利輩)란
꾀 모, 이로울 리, 무리 배 자를 써서
문자 상으로는 ‘이익을 꾀하는 무리’라고
단순히 해석할 수 있다.
그러나 꾀 모(謨)자에는
단순히 무엇인가를 도모하거나 꾀하는 행위뿐만 아니라
'남을 속이기 위하여' 또는 '부정적인 방법으로'
무엇인가를 도모한다는 의미의 부정적인 늬앙스도 담겨 있다.
즉, 우리 사회에서 현재 통용되는 모리배(謀利輩)의 진정한 의미는
‘온갖 수단과 방법으로 자신만의 이익만을 꾀하는 사람 또는 그러한 무리’이다.
그럼 한번 생각해보자.
이익을 추구하는 것이 나쁜가?
자본주의 사회에서 자신의 노력에 부합하는 정당한 이익을
받아가려는 노력을 누가 부정할 수 있단 말인가?
단순 이익 추구 행위가 나쁜 것이 아니라
인의(仁義), 도리(道理)는 안중에도 없고
온갖 부정한 수단과 방법으로 자신만의 이익을
추구하기 때문에 좋지 않고 지탄받는 것이다.
특히 정치(政治)에서의 모리배란 어떠한가?
정치에서 위정자, 관료가 모리배(謀利輩)라면 나라는 즉시 위태로워진다.
위정자나 관료가 국가와 국민의 안위는 안중에도 없고
자신의 이익을 탐하는 데에만 혈안이 되어있다면 말이다.
#5 상용한자와 삶의 지혜 전자책 정리본
* 앞으로 진행되는 상용한자 교육에 참고하기 바랍니다.
'상용한자 1800자 _ 삶의 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면교사(反面敎師) ‘반대면의 선생님’ & 반면교사 뜻, 반면교사 유래 (1) | 2023.03.26 |
---|---|
이판사판(理判事判) ‘이판과 사판, (조선시대 불교 승려의 두 부류인) 이판과 사판’ & 이판사판 뜻, 이판사판의 유래 (0) | 2023.03.26 |
팔등신(八等身) ‘키가 얼굴 길이의 여덟 배 되는 몸’ & 팔등신 뜻과 유래 (0) | 2023.03.23 |
독서위귀인 불학작농부(讀書爲貴人 不學作農夫) ‘글을 읽으면 귀한 사람이 되고, 배우지 않으면 농부가 된다’ (1) | 2023.03.17 |
각자도생(各自圖生) ‘제각기 살 길을 도모함’ & 각자도생 뜻 (0) | 2023.03.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