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사자후 뜻
#2 師子吼
(사자 사, 아들 자, 울부짖을 후)
‘사자의 (우렁찬) 울부짖음’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아들 자(子)
아들 (son) 자 (7급 해당)
子자는 글자 자체로 부수를 이룬다. 포대기에 쌓여 있는 아기 또는 두 팔을 벌리고 있는 아기의 모습을 형상화한 상형문자이다.
활용 ① 군자대로행 (君子大路行, 군자 군, 아들 자, 큰 대, 길 로, 갈 행 : 군자는 큰 길로 간다)
* 큰 대(大) & 군자대로행(君子대로행) 참고
활용 ② 손자병법 (孫子兵法, 손자 손, 아들 자, 군사 병, 법 법 : 손자의 병법)
* 손자 손(孫) & 손자병법(孫子兵法) 참고
활용 ③ 삼척동자 (三尺童子, 석 삼, 자 척, 아이 동, 아들 자 : 키가 석 자밖에 안 되는 어린아이)
* 아이 동(童) & 삼척동자(三尺童子) 참고
활용 ④ 군자삼락 (君子三樂, 군자 군, 아들 자, 석 삼, 즐길 락 : 군자의 3가지 즐거움)
* 즐길 락(樂) & 군자삼락(君子三樂) 참고
활용 ⑤ 농부아사침궐종자 (農夫餓死枕厥種子, 농사 농, 지아비 부, 주릴 아, 죽을 사, 베개 침, 그 궐, 씨 종, 아들 자 : 농부는 굶어 죽어도 종자를 베고 죽는다)
* 농사 농(農) & 농부아사침궐종자 참고
활용 ⑥ 교자채신 (敎子採薪, 가르칠 교, 아들 자, 캘 채, 섶 신 : 자식에게 땔나무 캐는 법을 가르치다)
#4 사자후 뜻 & 사자후 유래
사자후 뜻
사자후(師子吼)란
한자 그대로 ‘사자의 울부짖음’을 뜻한다.
일반적으로 청중을 압도하는 크고 우렁찬 목소리를 사자후에 비유한다.
사자후의 유래
5세기경 구라마집이 번역한 유마경에서 등장하는데
‘석가모니 설법의 위엄이 마치 사자후와 같다.’라고 하였다.
즉 사자후를 부처의 설법에 비유한 것에서부터 출발하였다.
#5 상용한자와 삶의 지혜 전자책 정리본
'상용한자 1800자 _ 삶의 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대미문(前代未聞) ‘지난 시대에는 들어본 적 없는’ & 전대미문 뜻 (1) | 2022.12.31 |
---|---|
전천후(全天候) ‘모든 날씨, 어떠한 날씨에도 제 기능을 다 하는’ & 전천후 뜻 (1) | 2022.12.30 |
좌고우면(左顧右眄) ‘왼쪽 오른쪽을 이리저리 돌아봄’ & 좌고우면 뜻, 좌고우면 유래 (1) | 2022.12.26 |
격세지감(隔世之感) ‘(오래지 않은 동안임에도)세대를 거른 것처럼 전혀 다른 세상이 된 것처럼 느낌’ (1) | 2022.12.25 |
역성혁명(易姓革命) ‘성씨를 바꾸어 천명을 혁신함, 왕조가 바뀜’ (1) | 2022.1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