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군자대로행
#2 君子大路行
(임금 군, 아들 자, 클 대, 길 로, 다닐 행)
‘군자는 큰 길로 간다’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큰/클 대(大)
큰 (big) 대 (6급2/ 해당)
大자는 글자 자체로 부수를 이룬다. 갑골문상으로 사람이 팔과 다리를 벌리고 서있는 모양을 형상화한 글자이다. 팔과 다리를 크게(大)벌리고 있는 사람의 모습을 기억해두자. 참고로 클 대(大)자에 점(丶) 하나를 찍으면 클 태(太)*자가 된다.
태평성대(太平聖代) ‘뛰어난 임금이 다스리는 태평한 세상 또는 그러한 시대’ & 태평성대, 요
#1 태평성대 뜻 #2 太平聖代 태평성대(클 태, 평평할 평, 성인 성, 대신할 대) ‘뛰어난 임금이 다스리는 태평한 세상, 시절’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클 태(太) 클(BIG) 태 (5급 해당) 太자의 부수
nmd-pws.tistory.com
* 클 태(太) & 태평성대(太平聖代) 참고
활용 ① 대의멸친 (大義滅親, 큰 대, 옳을 의, 꺼질 멸, 친할 친 : 큰 의리를 위해 혈육의 친함도 저버림)
대의멸친(大義滅親) ‘큰 뜻, 큰 의리를 위해 혈육의 친함을 저버림’ feat. 읍참마속
#1 대의멸친 뜻 #2 大義滅親 대의멸친(큰 대, 옳을 의, 꺼질 멸, 친할 친) ‘큰 의리를 위해서는 혈육의 친함도 저버림’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친할 친(親) 친할(FRIENDLY) 친 (5급 해당) 親자의 부
nmd-pws.tistory.com
* 친할 친(親) & 대의멸친(大義滅親) 참고
활용 ② 대서특필 (大書特筆, 클 대, 글 서, 특별할 특, 붓 필 : 큰 글씨로 특별히 쓰다)
대서특필(大書特筆) ‘큰 글씨로 (두드러지게) 특별히 쓰다’
#1 대서특필 #2 大書特筆 대서특필(큰 대, 글 서, 특별할 특, 붓 필) ‘큰 글씨로 특별히 쓰다’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특별할 특(特) 특별할(SPECIAL) 특 (5급 해당) 特자의 부수는 글자 좌측의
nmd-pws.tistory.com
* 특별할 특(特) & 대서특필(大書特筆) 참고
활용 ③ 광개토대왕 (廣開土大王, 넓을 광, 열 개, 흙 토, 클 대, 임금 왕 : 넓은 영토를 차지한 고구려 전성시대의 왕)
광개토대왕(廣開土大王) ‘넓은 영토를 개척한 고구려 19대 왕’ & 광개토대왕 뜻과 업적, 광개토
#1 광개토대왕 뜻 & 광개토대왕릉비 내용 #2 廣開土大王 광개토대왕(넓을 광, 열 개, 흙 토, 큰 대, 임금 왕) ‘광대한 영토를 개척한 고구려의 19대 왕’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넓을 광(廣) 넓을
nmd-pws.tistory.com
* 넓을 광(樹) & 광개토대왕(廣開土大王) 참고
활용 ④ 입춘대길 (立春大吉, 설 립, 봄 춘, 클 대, 길할 길 : 봄을 맞아 길한 기운을 기원함)
입춘대길(立春大吉) '봄을 맞아 크게 길함' & 입춘대길 건양다경, 입춘대길 건양다경 뜻
#1 입춘대길_봄을 맞아 크게 길하다 #2 立春大吉 입춘대길(설 립, 봄 춘, 클 대, 길할 길) '입춘을 맞아 길한 운을 기원하다'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길할 길(吉) 길할(lucky) 길 (4급 해당) 吉 자
nmd-pws.tistory.com
* 길할 길(吉) & 입춘대길(立春大吉) 참고
활용 ⑤ 치대국약팽소선 (治大國若烹小鮮, 다스릴 치, 클 대, 나라 국, 같을 약, 삶을 팽, 작을 소, 고울 선 : 큰 나라를 다스림은 작은 생선을 삶는 것과 같이함)
치대국 약팽소선 '큰 나라를 다스리는 것은 작은 생선을 지지는 것처럼'
#1 큰 나라를 다스릴 때는 작은 생선을 지지듯이 #2 治大國若烹小鮮 치대국 약팽소선(다스릴 치, 큰 대, 나라 국, 만약 약, 삶을 팽, 작을 소, 생선 선) 노자에 나오는 구절이다. '큰 나라를 다스리
nmd-pws.tistory.com
* 나라 국(淸) & 치대국약팽소선 참고
활용 ⑥ 대마불사 (大馬不死, 클 대, 말 마, 아닐 불, 죽을 사 : 바둑에서 대마는 쉽게 죽지 않음)
대마불사(大馬不死) ‘(바둑에서) 대마는 (쉽게) 죽지 않는다’ 대마불사 뜻
#1 大馬不死 #2 대마불사 뜻 & 대마불사 한자 대마불사(클 대, 말 마, 아닐 부, 죽을 사) ‘(바둑에서) 대마는 (쉽게) 죽지 않음’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말 마(馬) 말 (HORSE) 마 (4급 해당) 馬자는
nmd-pws.tistory.com
* 말 마(馬) & 대마불사(大馬不死) 참고
활용 ⑦ 중차대 (重且大, 무거울 중, 또 차, 클 대 : 중요하고 또 큼)
중차대(重且大) ‘중요하고도 큰’ & 중차대하다, 중차대한, 중차대 뜻, 중차대 의미
#1 중차대한 #2 중차대(重且大)한 중차대(무거울 중, 또 차, 클 대) ‘무겁고도 큼, 매우 중요하고 큰 일’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무거울 중(重) 무거울(heavy) 중 (6급 해당) 重 자의 부수는 마
nmd-pws.tistory.com
* 무거울 중(馬) & 중차대(重且大) 참고
활용 ⑧ 대교약졸 (大巧若拙, 클 대, 공교할 교, 같을 약, 옹졸할 졸 : 훌륭한 기교는 졸렬함과 같음)
대교약졸(大巧若拙) '훌륭한 기교는 오히려 졸렬한 듯이 보임'
#1 훌륭한 기교는 오히려 #2 大巧若拙 대교약졸(클 대, 공교할 교, 같을 약, 옹졸할 졸) '훌륭한 기교는 도리어 졸렬한 듯이 보임'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못날/옹졸할 졸(拙) 못날, 옹졸할(stupid,
nmd-pws.tistory.com
* 못날 졸(馬) & 대교약졸(大巧若拙) 참고
활용 ⑨ 성대공자불모어중 (成大功者不謀於衆, 이룰 성, 클 대, 공 공, 놈 자, 아닐 부, 꾀 모, 어조사 어, 무리 중 : 큰 공을 이루려는 자는 여럿과 꾀하지 않음)
#4 군자대로행 & 행불유경
군자는 큰 길을 택해서 간다는
군자대로행(君子大路行)
여기서 말하는 큰 길(大路)이란
물리적으로 ‘크고 넓은’ 길이 아니라
군자가 나아가야 하는 ‘올바른 길’을 의미할 것이다.
‘君子大路行(군자대로행)’이 직접적으로 드러난
출전을 찾아볼 수는 없지만,
논어(論語) 옹야편(雍也篇)에서
길을 가되 지름길을 취하지 않는다는
‘행불유경(行不由徑)’이라는 말을 찾아볼 수 있다.
행불유경(行不由徑) '지름길로 가지 않음'
#1 길을 걸을 때 #2 行不由徑 행불유경(다닐 행, 아닐 불, 말미암을 유, 지름길 경) '갈 때 샛길로 가지 가지 않음'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말미암을 유(由) 由 자의 부수는 밭 전(田) 자이다. 갑골
nmd-pws.tistory.com
* 말미암을 유(由) & 행불유경(行不由徑) 참고
범인(凡人)이라면 지름길을 앞에 두고
지름길을 취하지 않을 이유가 없다.
그러나 군자는 당장의 이익을 보려 서두르지 않고
큰 길, 즉 추구하는 방향에 부합하는 떳떳한 길로 간다.
유방백세 유취만년(流芳百世 遺臭萬年) '꽃다운 이름은 백 세대를 가지만, 더러운 이름은 만년을
#1 유방백세 유취만년 꽃다운 이름은 백 세를 가나, 더러운 이름(악취)는 만년을 간다. #2 流芳百世 遺臭萬年 유방백세 유취만년(흐를 류, 꽃다울 방, 일백 백, 세상 세, 남길 유, 냄새 취, 일만 만,
nmd-pws.tistory.com
당장 눈앞의 이익에 현혹되어더러운 냄새를 만년 남길 것인가큰 길로 떳떳하게 전진하여꽃 향기를 백세에 흐르도록 할 것인가
'상용한자 1800자 _ 삶의 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가식서가숙(東家食西家宿) ‘동쪽 집에서 먹고 서쪽 집에서 잠’ & 동가식서가숙 뜻과 유래 (0) | 2022.09.13 |
---|---|
지자요수 인자요산(知者樂水 仁者樂山) ‘지혜로운 사람은 물을 좋아하고 어진 사람은 산을 좋아함’ (0) | 2022.09.12 |
요조숙녀(窈窕淑女) ‘마음씨가 고요하고 맑은 여자’ & 요조숙녀 뜻과 유래 (0) | 2022.08.30 |
모교(母校) ‘자기 자신이 졸업한 학교’ (0) | 2022.08.30 |
권토중래(捲土重來) ‘땅을 말아(흙먼지를 날리며) 다시 옴’ & 권토중래의 뜻, 유래 (0) | 2022.08.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