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십상팔구
#2 十常八九
(열 십, 떳떳할 상, 여덟 팔, 아홉 구)
‘열에 여덟이나 아홉’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열 십(十)
열 (nine) 십 (6급2/ 해당)
十자는 글자 자체로 부수를 이룬다. 십자가의 모양을 떠올리며 ‘열 십(10)’을 연상하도록하자. 아래의 숫자를 나타내는 한자어 한 일, 두 이, 석 삼, 넉 사, 다섯 오, 여섯 륙, 일곱 칠, 여덟 팔, 아홉 구(一, 二, 三, 四, 五, 六, 七, 八, 九)도 함께 익혀두자.
독서삼도(讀書三到) ‘(송나라의 주희가 주창한) 책을 읽을 때의 3가지 방법’ & 구도, 안도, 심도
#1 독서삼도 #2 讀書三到 독서삼도(읽을 독, 글 서, 석 삼, 이를 도) ‘독서의 3가지 법’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한 일(一)/ 두 이(二)/ 석 삼(三) 한/ 두/ 석 (one/two/three) 일/ 이/ 삼 (6급2 해당) 한..
nmd-pws.tistory.com
* 한 일/두 이/석 삼 & 독서삼도(讀書三到) 참고
조삼모사 (朝三暮四) ‘(원숭이에게) 아침에는 3개, 저녁에는 4개(의 도토리를 주다)’
#1 조삼모사 뜻 #2 朝三暮四 (아침 조, 석 삼, 저물 모, 넉 사) ‘아침에는 3개, 저녁에는 4개’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넉 사(四) 넉 (four) 사 (6급2 해당) 四자의 부수는 큰입구몸(囗)이다. 큰 입구
nmd-pws.tistory.com
* 넉 사 & 조삼모사(朝三暮四) 참고
오리무중(五里霧中) ‘다섯 리나 되는 (짙은) 안개 속’
#1 오리무중 #2 五里霧中 (다섯 오, 마을 리, 안개 무, 가운데 중) ‘오 리나 되는 (짙은) 안개 속’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다섯 오(五) 다섯 (five) 오 (6급2/ 해당) 五자의 부수는 두 이(二)자이다.
nmd-pws.tistory.com
* 다섯 오 & 오리무중(五里霧中) 참고
오월비상(五月飛想), 유월비상(六月飛霜) ‘오뉴월에 서리가 내림’ & 오뉴월, 필부함원 유월비
#1 오월비상/유월비상 #2 五月飛霜/六月飛霜 (다섯 오/ 여섯 륙, 달 월, 날 비, 서리 상) ‘5월/6월 에 서리가 내림’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여섯 륙(六) 여섯 (six) 륙 (6급2/ 해당) 六자의 부수는
nmd-pws.tistory.com
* 여섯 륙 & 유월비상(六月飛霜) 참고
칠종칠금(七縱七擒) ‘일곱 번 놓아주고 일곱 번 잡음’
#1 칠종칠금 #2 七縱七擒 (일곱 칠, 세로 종, 일곱 칠, 사로잡을 금) ‘일곱 번 놓아주고 일곱 번 잡음’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일곱 칠(七) 일곱 (seven) 칠 (6급2/ 해당) 七자의 부수는 하나 일(一)
nmd-pws.tistory.com
* 일곱 칠 & 칠종칠금(七縱七擒) 참고
팔불출(八不出) ‘몹시 어리석은 사람’ & 팔불출 뜻, 팔삭둥이, 팔불용, 팔불취
#1 팔불출 뜻 #2 八不出 (여덟 팔, 아니 불, 날 출) ‘몹시 어리석은 사람’ ‘열 달을 채우지 못하고 여덟 달에 태어남’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여덟 팔(八) 여덟 (eight) 팔 (6급2/ 해당) 八자는
nmd-pws.tistory.com
* 여덟 팔 & 팔불출(八不出) 참고
구우일모(八不出) ‘아홉 마리의 소 중에 한 가닥의 털’ & 구우일모 유래 사마천
#1 구우일모 #2 九牛一毛 (아홉 구, 소 우, 한 일, 털 모) ‘아홉 마리의 소 한 가닥의 털’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아홉 구(九) 아홉 (nine) 구 (6급2/ 해당) 九자의 부수는 새을(乙)자가 부수로 변형
nmd-pws.tistory.com
* 아홉 구 & 구우일모(九牛一毛) 참고
활용 ① 십지변색주불여척 (十指便齰疇不予慼, 열 십, 가리킬지, 편할 편, 물 색, 이랑 주, 아니 불, 나 여, 근심할 척 : 열 손가락 깨물어 안 아픈 손가락 없음)
십지변색주불여척(十指便齰疇不予慼) ‘열 손가락 깨물어 안 아픈 손가락 없음’
#1 열 손가락 깨물어 안 아픈 손가락 없다 # 2 十指便齰疇不予慼 십지변색주불여척(열 십, 가리킬지, 편할 편, 물 색, 이랑 주, 아닐 부, 나 여, 근심할 척) ‘열 손가락 깨물어 안 아픈 손가락 없음
nmd-pws.tistory.com
* 나 여(予) & 십지변색주불여척 참고
활용 ② 삼세지습지우팔십 (三歲之習至于八十, 석 삼, 해 세, 어조사 지, 익힐 습, 이를지, 어조사 우, 여덟 팔, 열 십 : 세 살 버릇 여든까지 간다)
삼세지습지우팔십(三歲之習至于八十) '세 살 버릇 여든까지 간다'
#1 삼세지습지우팔십 #2 三歲之習至于八十 삼세지습지우팔십 (석 삼, 해 세, 어조사 지, 익힐 습, 이를지, 어조사 우, 여덟 팔, 열 십) ‘세 살 버릇 여든 까지 간다.’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익
nmd-pws.tistory.com
* 익힐 습(習) & 삼세지습지우팔십 참고
활용 ③ 십년지계 막여수목 (十年之計 莫如樹木, 열 십, 해 년, 갈 지, 셀 계, 없을 막, 같을 여, 나무 수, 나무 목 : 십년의 계획은 나무를 심는 것만한 것이 없음)
일년지계막여수곡(一年之計 莫如樹穀)'일 년의 계획은 곡식을 심는 것만한 것이 없다'
#1 일년지계막여수곡/ 십년지계막여수목/ 종신지계막여수인 #2 一年之計莫穀如樹穀/ 十年之計莫如壽木/ 終身之計 莫如樹人 일년지계막여수곡 (하나 일, 해 년, 갈 지, 셀 계, 없을 막, 같을 여, 나
nmd-pws.tistory.com
종신지계 막여수인(終身之計 莫如樹人) '평생의 계획에는 사람을 키우는 것만한 것이 없다'
#1 일년지계, 십년지계, 종신지계 #2 一年之計 莫如樹穀, 十年之計 莫如樹木, 終身之計 莫如樹人, 終身之計 莫如樹人 일년지계 막여수곡(하나 일, 해 년, 갈 지, 셀 계, 없을 막, 같을 여, 나무 수,
nmd-pws.tistory.com
* 셀 계(計) & 일년지계 막여수곡, 십년지계 막여수목, 종신지계 막여수인 참고
활용 ④ 십시일반 (十匙一飯, 열 십, 숟가락 시, 한 일, 밥 반 : 열 사람이 한 술씩 보탬)
활용 ⑤ 인생칠십고래희 (人生七十古來稀, 사람 인, 날 생, 일곱 칠, 열 십, 옛 고, 올 래, 드물 희 : 사람 인생 일흔 살까지 사는 것은 예로부터 드문 일)
미수(米壽) ‘88세’ 그 외 나이_지학(15) 약관(20) 이립(30) 불혹(40) 지천명(50) 이순(60) 종심(70) 고희
#1 미수 #2 米壽 미수(쌀 미, 목숨 수) ‘88세’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쌀 미(米) 쌀(rice) 미 (5급 해당) 米 자는 글자 자체로 부수이다. 글자 자체로 부수이지만, 더 쪼개어보면 나무 목(木)자와
nmd-pws.tistory.com
* 지천명, 이순, 종심, 고희 등 나이별 이칭 참고
활용 ⑥ 권불십년 (權不十年, 권세 권, 아니 불, 열 십, 해 년 : 권세는 10년을 가지 못함)
활용 ⑦ 화무십일홍 (花無十日紅, 꽃 화, 없을 무, 열 십, 날 일, 붉을 홍 : 열흘 붉은 꽃 없음)
#4 십상이다 vs 쉽상이다
십상팔구(十常八九)란
열에 여덟이나 아홉이라는 말로
거의 예외가 없이 그렇게 될 것임을 추측할 때 주로 쓰인다.
십중팔구(十中八九)와 동일한 의미이다.
‘그리 급하게 먹다가는 체하기 쉽상/십상이다’에서
쉽상으로 쓰는 경우가 많으나
십상팔구를 줄여 쓴 말이 십상(十常)이므로
‘십상이다’로 쓰는 것이 맞다.
'상용한자 1800자 _ 삶의 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중즉측 월만즉휴(日中則昃 月滿則虧) ‘태양도 정오가 지나면 기울고 달도 차면 이지러짐’ (0) | 2022.08.20 |
---|---|
일상다반사(日常茶飯事) ‘일상적으로 차를 마시고 밥을 먹는 것처럼 예사롭고 흔한 일’ (2) | 2022.08.17 |
구우일모(八不出) ‘아홉 마리의 소 중에 한 가닥의 털’ & 구우일모 유래 사마천 (0) | 2022.08.16 |
팔불출(八不出) ‘몹시 어리석은 사람’ & 팔불출 뜻, 팔삭둥이, 팔불용, 팔불취 (0) | 2022.08.15 |
칠종칠금(七縱七擒) ‘일곱 번 놓아주고 일곱 번 잡음’ (0) | 2022.08.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