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팔등신
#2 八等身
팔등신(여덟 팔, 무리 등, 몸 신)
‘키가 얼굴 길이의 여덟 배 되는 몸, 또는 그런 몸을 가진 사람’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무리 등(等)
무리(group) 등 (6급 해당)
等자의 부수는 글자 상단의 대나무 죽(竹)자이다. 竹(대나무 죽)*과 寺(절 사)**자의 결합으로 대나무(竹)가 우거진 숲 속 깊이 있는 절(寺)에서는 스님들이 무리(等)를 지어 산다고 기억해두자. 等(무리 등)자는 ‘무리’ 또는 ‘등급, 차례’, ‘같다’ 의 의미를 같는다.
* 대나무 죽(竹)이 부수로 글자 상단에서 활용될 때 ‘𥫗’ 의 형태로 쓰임
** 절 사(寺) & 사찰여행(寺刹旅行) 참고
활용 ① 오등 (吾等, 나 오, 무리 등 : 우리들)
활용 ② 비등 (比等, 견줄 비, 무리 등 : 견주어 보기에 비슷함)
활용 ③ 등속 (等屬, 무리 등, 무리 속 : 명사 뒤에 붙어 그것과 유사한 종류의 것들을 몰아서 이르는 말)
#4 팔등신 뜻과 유래
팔등신(八等身)이란
키가 얼굴 길이의 여덟 배 되는 몸,
또는 그러한 몸을 가진 사람을 뜻한다.
팔등신은 본디 미술 해부학 용어로써
고대 그리스에서 미(美)의 여신으로 치는
아프로디테 조각상에서 유래한 듯하다.
일명 밀로의 비너스(Venus de Milo)상이라 불리는데
해당 대리석상을 보면 그 신체 비율이 팔등신이라고 한다.
#5 상용한자와 삶의 지혜 전자책 정리본
* 앞으로 진행되는 상용한자 교육에 참고하기 바랍니다.
반응형
'상용한자 1800자 _ 삶의 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판사판(理判事判) ‘이판과 사판, (조선시대 불교 승려의 두 부류인) 이판과 사판’ & 이판사판 뜻, 이판사판의 유래 (0) | 2023.03.26 |
---|---|
모리배(謀利輩) ‘온갖 수단과 방법으로 자신의 이익만을 꾀하는 사람이나 무리’ & 모리배 뜻 (0) | 2023.03.25 |
독서위귀인 불학작농부(讀書爲貴人 不學作農夫) ‘글을 읽으면 귀한 사람이 되고, 배우지 않으면 농부가 된다’ (1) | 2023.03.17 |
각자도생(各自圖生) ‘제각기 살 길을 도모함’ & 각자도생 뜻 (0) | 2023.03.13 |
괄목상대(刮目相對) ‘눈을 비비고 (다시 보며) 상대를 대함’ & 괄목상대 뜻과 유래 (0) | 2023.0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