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독서위귀인 불학작농부
#2 讀書爲貴人 不學作農夫
독서위귀인 불학작농부(읽을 독, 글 서, 할 위, 귀할 귀, 사람 인, 아닐 불, 배울 학, 지을 작, 농사 농, 지아비 부)
‘독서를 하면 귀인이 되나 배우지 않으면 농부가 딘다.’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읽을 독(讀)
읽을(read) 도 (6급 해당)
讀자의 부수는 글자 좌측의 말씀 언(言)자이다. 言(말씀 언)*과 賣(팔 매)**자의 결합으로 귀중한 말씀(言)이 적혀져 있는 보물 같은 책을 파는(賣) 곳을 어렵게 찾아 구해 비로소 책을 읽는다(讀)고 기억해두자.
* 말씀 언(言) & 언어도단(言語道斷) 참고
** 팔 매(賣) & 박리다매(薄利多賣) 참고
활용 ① 우이독경 (牛耳讀經, 소 우, 귀 이, 읽을 독, 지날 경 : 쇠귀에 경 읽기)
활용 ② 독서삼도 (讀書三到, 읽을 독, 글 서, 석 삼, 이를 도 : 독서의 법은 3가지, 구도, 안도, 심도)
* 석 삼(三) & 독서삼도(讀書三到) 참고
활용 ③ 남아수독오거서 (男兒須讀五車書, 사내 남, 아이 아, 모름지기 수, 읽을 독, 다섯 오, 수레 거, 글 서 : 남아는 모름지기 다섯 수레의 책을 읽어야 함)
* 아이 아(兒) & 남아수독오거서(男兒須讀五車書) 참고
활용 ④ 독서백편의자현 (讀書百遍義自見, 읽을 독, 글 서, 일백 백, 두루 편, 옳을 의, 스스로 자, 볼 견/ 뵈올 현 : 글을 백 번 읽으면 그 뜻이 스스로 드러남)
* 스스로 자(自) & 讀書百편의자현(晝耕夜讀) 참고
활용 ⑤ 일일부독서구중생형극 (一日不讀書口中生荊棘, 한 일, 날 일, 아닐 부, 읽을 독, 글 서, 입 구, 가운데 중, 날 생, 가시나무 형, 가시 극 : 하루라도 글을 읽지 않으면 입 안에 가시가 돋음)
* 글 서(書) & 일일부독서구중생형극(晝耕夜讀) 참고
#4 독서위귀인 불학작농부
讀書爲貴人(독서위귀인)
글을 읽으면 귀한 사람이 되고
不學作農夫(불학작농부)
배우지 않으면 농부가 된다.
推句(추구)에 나오는 말이다.
귀인(貴人)과 농부(農夫)를 대비하고 있어
직업의 귀천이 없는 요즈음에는 맞지 않는 말로 보이긴 한다.
그러나 독서의 중요성을 일깨우기에는 충분하다.
글을 읽지 않으면 귀한 사람이 될 수 없다.
책 속에 지혜가 있고 지혜가 당신을 귀인으로 만들어 준다.
#5 한자교육의 필요성 & 상용한자와 삶의 지혜 전자책 정리본
* 앞으로 진행되는 상용한자 교육에 참고하기 바랍니다.
'상용한자 1800자 _ 삶의 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리배(謀利輩) ‘온갖 수단과 방법으로 자신의 이익만을 꾀하는 사람이나 무리’ & 모리배 뜻 (0) | 2023.03.25 |
---|---|
팔등신(八等身) ‘키가 얼굴 길이의 여덟 배 되는 몸’ & 팔등신 뜻과 유래 (0) | 2023.03.23 |
각자도생(各自圖生) ‘제각기 살 길을 도모함’ & 각자도생 뜻 (0) | 2023.03.13 |
괄목상대(刮目相對) ‘눈을 비비고 (다시 보며) 상대를 대함’ & 괄목상대 뜻과 유래 (0) | 2023.03.07 |
대표이사(代表理事) ‘회사를 대표하는 이사’ & 대표이사 사장 차이 (0) | 2023.03.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