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행유부득반구저기
#2 行有不得反求諸己
(다닐 행, 있을 유, 아닐 부, 얻을 득, 돌이킬 반, 구할 구, 모두 제(어조사 저), 몸 기)
‘행하여 얻는 바가 없다면 오히려 자신에게서 원인을 찾는다’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구할 구(求)
구할(SEEK) 구 (3급 해당)
求자의 부수는 물 수(水=氺)자이다. 글자를 쪼개보면 물 수(水) + 하나 일(一) + 점 주(丶)의 결합으로 볼 수 있으나 그 형태가 단순하니 여러번 써서 익숙해지도록 하자. 물(水)에 빠진 자는 하나(一)의 지푸라기(丶) 같은 것이라도 구하려고(求) 애쓴다는 정도로 기억해도 좋다.
활용 ① 자구다복 (自求多福, 스스로 자, 구할 구, 많을 다, 복 복 : 스스로 많은 복을 구함)
자구다복(自求多福) ‘스스로 많은 복을 구한다’
#1 자구다복 #2 自求多福 자구다복(스스로 자, 구할 구, 많을 다, 복 복) ‘스스로 많은 복을 구함.’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많을 다(多) 많을(many, much) 다 (5급 해당) 多 자는 저녁 석(夕)자가
nmd-pws.tistory.com
* 자구다복(自求多福) 참고
활용 ② 칠년지병구삼년지애 (七年之病求三年之艾, 일곱 칠, 해 년, 갈지, 병 병, 구할 구, 석 삼, 해 년, 갈 지, 쑥 애 : 칠년 된 병에 삼년 된 쑥)
칠년지병구삼년지애(七年之病求三年之艾) ‘칠년 된 병에 삼년 된 쑥’
#1 칠년 된 병에 삼년 된 쑥 #2 七年之病求*三年之艾 칠년지병(일곱 칠, 해 년, 어조사 지, 병 병) * 求 구할 구 삼년지애(석 삼, 해 년, 어조사 지, 쑥 애) ‘칠년 된 병을 고치려 삼년 묵은 쑥을 구한
nmd-pws.tistory.com
* 칠년지병구삼년지애(七年之病求三年之艾) 참고
활용 ③ 독서불구심해 (讀書不求深解, 읽을 독, 글 서, 아닐 불, 구할 구, 깊을 심, 풀 해 : 독서는 하되 심오한 뜻은 구하지 않음)
독서불구심해(讀書不求深解) '독서는 하나 심오한 뜻은 구하지 않는다'
#1 독서불구심해 #2 讀書不求深解 독서불구심해(읽을 독, 글 서, 아니 불, 구할 구, 심할 심, 풀 해) '책을 읽되, 심오한 뜻을 구하지 않음'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구할 구(求) 求 자의 부수는 아
nmd-pws.tistory.com
* 독서불구심해(讀書不求深解) 참고
활용 ④ 양화구복 (禳禍求福, 제사이름 양, 재앙 화, 구할 구, 복 복 : 재앙을 물리치고 복을 구함)
활용 ⑤ 거무구안 (居無求安, 살 거, 없을 무, 구할 구, 편안 안 : 살아감에 편한 것만을 구하지 말라)
활용 ⑥ 구즉득지사즉실지 (求則得之舍則失之, 구할 구, 곧 즉, 얻을 득, 갈 지, 집 사, 잃을 실, 갈 지 : 구하면 얻고 놓으면 잃음)
#4 행유부득반구저기
행하여 얻는 바가 없으면
돌이켜 자신에게서 원인을 찾는다.
行有不得反求諸*己(행유부득반구저기)
*본래 ‘모두 제’자이지만 해당 문구에서는
‘~에서’ 라는 뜻의 ‘어조사 제’로 사용되었다.
행유부득반구저기의 출전은 맹자(孟子)이다.
“行有不得者(행유부득자) 半求諸己(반구저기)
其身(기신) 正而天下歸之(정이천하귀지)”
행동함에도 얻는 바가 없다면
오히려 자신에게서 잘못을 구해야한다.
한편 공자도 이런 말을 하였다.
君子 求諸己 小人 求諸人
(군자 구저기 소인 구저인)
군자는 자신에게서 (잘못의 원인을) 구하고
소인은 타인에게서 (잘못의 원인을) 구한다.
어떠한 행동을 함에 있어서
결과를 탓하고 싶은 마음이 들거든
자기 자신부터 돌아 볼 일이다.
탓하는 자는 아무런 발전이 없고
자신의 탓으로 돌리는 자는
앞으로 더 나아갈 것이기 때문이다.
'상용한자 1800자 _ 삶의 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사숙고(深思熟考) ‘깊이 곰곰이 잘 생각함’ (0) | 2022.07.23 |
---|---|
원수는 외나무다리에서 만난다(독목교원가조_獨木橋寃家遭) ‘원수는외나무다리에서만난다는 속담의 한역’ (0) | 2022.07.23 |
생사유명 부귀재천(生死有命 富貴在天) ‘죽고 사는 것은 운명에 달려 있고 부유함과 귀함은 하늘에 달려 있다’ (0) | 2022.07.12 |
규구준승(規矩準繩) ‘(목수가 사용하는) 그림쇠, 자, 수준기, 먹줄’ (0) | 2022.07.10 |
어부지리(漁夫之利) ‘어부의 이익, 둘이 다투는 틈을 타 제3자가 이익을 보는 것을 비유하는 말’ & 어부지리 뜻, 어부지리 유래 (0) | 2022.06.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