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심청사백수 언중학청산

#2 心淸師白水 言重學靑山
(마음 심, 맑을 청, 스승 사, 흰 백, 물 수, 말씀 언, 무거울 중, 배울 학, 푸를 청, 뫼 산)
‘마음의 맑음은 하얀 물을 스승으로 삼고, 말의 신중함은 푸른 산에게서 배움'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흰 백(白)
흰(white) 백 (8급 해당)
白자는 글자 자체로 부수를 이룬다. 글자를 굳이 쪼개자면 삐침 별(丿)과 해/날 일(日)의 결합으로 볼 수도 있다. 하나의 거짓없이 태양이 훤히 떠있는 것처럼 하얗다는 정도로 기억해두자. 또한 白자에는 희다(white)의 의미뿐만 아니라 '아뢰다(tell)'의 의미도 있다.
일상다반사(日常茶飯事) ‘일상적으로 차를 마시고 밥을 먹는 것처럼 예사롭고 흔한 일’
#1 일상다반사 #2 日常茶飯事 (해 일, 떳떳할 상, 차 다, 밥 반, 일 사) ‘일상에서 차를 마시고 밥을 먹는 것과 같이 예사스럽고 흔한 일’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날/해 일(日) 날/해 (day/sun) 일 (
nmd-pws.tistory.com
* 해/날 일(日) & 일상다반사(日常茶飯事) 참고
활용 ① 청백리 (淸白吏, 맑을 청, 흰 백, 관리 리 : 청렴하고 결백한 관리)
청백리(淸白吏) '청렴하고 결백한 관리'
#1 청백리 #2 淸白吏 청백리(맑을 청, 흰 백, 벼슬아치 리) ‘청렴하고 결백한 관리를 지칭하는 말’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관리, 벼슬아치 리(吏) 관리(official) 리 (2급 해당) 吏 자의 부수는 입
nmd-pws.tistory.com
* 관리 리(吏) & 청백리(淸白吏) 참고
활용 ② 백의종군 (白衣從軍, 흰 백, 옷 의, 좇을 종, 군사 군 : 벼슬 없이 군대에 따라감)
백의종군(白衣從軍) '흰 옷을 입고 싸움터에 나감'
#1 백의종군 #2 白衣從軍 백의종군(흰 백, 옷 의, 좇을 종, 군사 군) ‘흰 옷을 입고 군대를 따라감’ ‘벼슬이 없는 사람이 군대를 좇아 싸움터에 나감을 의미’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옷 의(
nmd-pws.tistory.com
* 군사 군(軍) & 백의종군(白衣從軍) 참고
활용 ③ 백의민족 (白衣民族, 흰 백, 옷 의, 백성 민, 겨레 족 : 흰 옷을 즐겨 입는 한민족)
백의민족(白衣民族) '흰 옷을 숭상하여 즐겨입는 민족'
#1 백의민족 #2 白衣民族 백의민족(흰 백, 옷 의, 백성 민, 겨레 족) ‘흰 옷을 숭상하여 즐겨입는 민족’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겨레 족(族) 겨레(people) 족 (5급 해당) 族에서 부수는 글자 좌측
nmd-pws.tistory.com
* 겨레 족(族) & 백의민족(白衣民族) 참고
활용 ④ 백면서생 (白面書生, 흰 백, 낯 면, 글 서, 날 생 : 흰 낯에 글만 읽는 사람)
백면서생(白面書生) '흰 얼굴에 글만 읽는 사람'
#1 백면서생 #2 白面書生 백면서생(흰 백, 낯 면, 글 서, 날 생) '희고 고운 얼굴에 글만 읽는 사람' '책만 읽고 세상 경험은 전혀 없는 사람'을 비유한다. *백면서생의 유래 및 출전은 아래 참조 #3
nmd-pws.tistory.com
* 낯 면(面) & 백면서생(白面書生) 참고
활용 ⑤ 백두여신 (白頭如新, 흰 백, 머리 두, 같을 여, 새 신 : 백발이 되기까지 사귀어도 새로 만난 것과 같음)
백두여신 경개여고(白頭如新 傾蓋如故) '백발이 되어도 처음 만난 것 같고, 처음 만나도 오래 사
#1 머리가 하얗게 셀 때까지 만나도 #2 白頭如新 傾蓋如故 백두여신(흰 백, 머리 두, 같을 여, 새 신) 경개여고(기울 경, 덮을 개, 같을 여, 옛 고) '백발이 될 때까지 함께 해도, 마치 처음 본 것과
nmd-pws.tistory.com
* 새 신(面) & 백두여신경개여고 참고
활용 ⑥ 백년하청 (白年河淸, 흰 백, 해 년, 물 하, 맑을 청 : 백 년을 기다려도 황하 물은 맑아지지 않음)
백년하청(百年河淸) '백 년을 기다려도 황허의 물은 맑아지지 않음'
#1 백 년을 기다려도 #2 百年河淸 백년하청(일백 백, 해 년, 물 하, 맑을 청) '백 년을 기다려도 황허 강의 흐린 물은 맑아지지 않음' '아무리 기다려도 해결할 가망이 없음'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
nmd-pws.tistory.com
* 맑을 청(面) & 백년하청(白年河淸) 참고
활용 ⑦ 곡불욕이백 (鵠不浴而白, 고니 곡, 아닐 부, 목욕할 욕, 말 이을 이, 흰 백 : 고니는 목욕을 하지 않아도 희다)
곡불욕이백(鵠不浴而白) '따오기는 목욕을 하지 않아도 희다'
#1 목욕을 하지 않아도 #2 鵠不浴而白 곡불욕이백(고니 곡, 아니 불, 씻을 욕, 말 이을 이, 흰 백) '따오기는 목욕을 하지 않아도 흼.' 천성이 선한 이는 배우지 않아도 착하고 훌륭함. #3 상용한자 18
nmd-pws.tistory.com
* 목욕 욕(面) & 곡불욕이백(鵠不浴而白) 참고
활용 ⑧ 홍동백서 (紅東白西, 붉을 홍, 동녘 동, 흰 백, 서녘 서 : 붉은 과일은 동쪽, 흰 과일은 서쪽)
설제사상 차리는 법, 설제사 관련 한자어, 설제사상 차리는 방법, 설제사상 차리기, 홍동백서, 조
#1_ 신위에 가장 가까운 열에는 국과 밥을 올린다_반서갱동(飯西羹東)/시접거중 *신위, 즉 지방쓰는 법은 다음 링크를 참조바란다. 현고학생부군신위(顯考學生府君神位) '차례를 지낼 때, 지방에
nmd-pws.tistory.com
* 홍동백서/조율이시 등 제사상 차리는 법 참고
활용 ⑨ 백골징포 (白骨徵布, 흰 백, 뼈 골, 부를 징, 베 포 : 백골(죽은 사람)에 세금을 매겨 군포를 받음)
황구첨정(黃口簽丁) ‘젖먹이를 군적에 올려 군포를 징수함’ 백골징포(白骨徵布) ‘죽은 사람
#1 황구첨정 백골징포 #2 黃口簽丁 白骨徵布 황구첨정(누를 황, 입 구, 제비 첨, 고무래 정) ‘젖먹이를 군적에 올려 군포를 징수함’ 백골징포(흰 백, 뼈 골, 부를 징, 베 포) ‘죽은 사람을 군적에
nmd-pws.tistory.com
* 누를 황(黃) & 황구첨정, 백골징포 등 참고
#4 심청사백수 언중학청산
오언 대구를 모아놓은
추구(推句)에 나오는 구절이다.
心淸師白水
심청사백수
마음의 맑음은 흰 물을 스승으로 삼고
言重學靑山
언중학청산
말의 신중함은 푸른 산에게서 배운다
'상용한자 1800자 _ 삶의 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권토중래(捲土重來) ‘땅을 말아(흙먼지를 날리며) 다시 옴’ & 권토중래의 뜻, 유래 (0) | 2022.08.29 |
---|---|
주초위왕(走肖爲王) ‘조(趙)씨 성을 가진 자가 왕이 된다’ & 주초위왕과 기묘사화 (0) | 2022.08.27 |
동장군(冬將軍) ‘겨울의 장군’ 동장군 뜻과 유래 (0) | 2022.08.27 |
금과옥조(金科玉條) ‘금이나 옥과 같은 귀중한 법률’ & 금과옥조 뜻과 유래 (0) | 2022.08.26 |
합포지목 생어호말(合抱之木 生於毫末) ‘아름드리 나무도 털끝(같은 씨앗)에서 나온다’ & 구층지대 기어누토 천리지행 시어족하 (0) | 2022.08.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