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상용한자 164

격화일로(激化一路) ‘다만 격렬하게 되어가는 과정’ , 격화일로 뜻, 활용

#1 격화일로 #2 激化一路 격화일로(격할 격, 될 화, 한 일, 길 로) ‘다만 격렬하게 되는 과정’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될 화(化) 될(BECOME) 화 (급4 해당) 化자의 부수는 글자 우측의 비수 비(匕)자이다. 사람인변(人=亻)과 비수 비(匕)자의 결합으로, 산 사람(亻)과 비수(匕)에 찔려 죽은 사람이 불교의 윤회사상에 의해 산사람(亻)이 죽은사람(匕)이 되고 죽은사람(匕)이 산사람(亻)이 된다(化) 라는 의미를 나타낸 글자이다. 활용 ① 귤화위지 (橘化爲枳, 귤 귤, 될 화, 할 위, 탱자 지 : 귤이 탱자가 됨) * 북녘 북/달아날 배(北) & 귤화위지 학습 참고 남귤북지(南橘北枳), 귤화위지(橘化爲枳) '남쪽 땅의 귤나무를 북쪽에 심으면 탱자나무가 된다' #1 남귤북지/ 귤..

대서특필(大書特筆) ‘큰 글씨로 (두드러지게) 특별히 쓰다’

#1 대서특필 #2 大書特筆 대서특필(큰 대, 글 서, 특별할 특, 붓 필) ‘큰 글씨로 특별히 쓰다’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특별할 특(特) 특별할(SPECIAL) 특 (5급 해당) 特자의 부수는 글자 좌측의 소 우(牛)자이다. 소 우(牛)자와 절 사(寺)*자의 결합으로, 육식을 하지 않는 스님들이 사는 곳이 절인데, 소(牛)를 절(寺)에서 키우는 일은 정말로 특별한(特)이다는 정도로 기억해두면 좋다. *절 사(寺) & 사찰여행 참고 사찰여행(寺刹旅行) ‘사찰을 찾아 떠나는 여행’ #1 사찰여행 #2 寺刹 사찰(절 사, 절 찰) ‘절’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절 사(寺) 절(temple) 사 (3급 해당) 寺 자의 부수는 글자 아래의 마디 촌(寸)이다. 글자를 쪼개보면, 흙 토(土..

향배(向背) ‘향함과 등짐, 일이 흘러가는 추세나 특정 사안에 대한 사람들의 태도’

#1 향배 #2 向背 향배(향할 향, 등 배) ‘향하는 곳과 등지는 곳’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향할 향(向) 향할(TOWARDS) 향 (5급 해당) 向자의 부수는 입 구(口)자이다. 갑골문상으로는 집과 창문을 형상화한 글자이다. 여러 개의 집의 창문 중 창문 틈에 무엇인가가 삐쳐(丿)나온 곳으로 나의 눈이 향한다(向)는 정도로 기억해 두자. 활용 ① 지향점 (指向點, 손가락 지, 향할 향, 점 점 : 도달하고자 하는 목표로 정한 점) 활용 ② 의향 (意向, 뜻 의, 향할 향 : 무엇인가를 하려는 생각) #4 세계패권의 향배는/향배 촉각 향배(向背)란 글자 그대로 직역하면 향함과 등짐, 향하는 곳과 등지는 것 또는 좇는 것과 등지는 것으로 해석가능하다. 어떠한 일이 흘러가는 추세나 어떤 사안에..

호패법(號牌法) ‘조선시대 16세 이상 남자에게 호패를 지니도록 하게끔 만든 법제’ & 태종 호패법, 호패법 실시이유

#1 호패 & 호패법 #2 號牌 & 號牌法 호패(이름 호, 패 패) ‘조선시대 16세 이상 남자가 신분 증명을 위해 차던 직사각형의 패’ 호패법(이름 호, 패 패, 법 법) ‘호패를 몸에 지니도록 만든 법제’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이름/부를(號) 이름/부를(NAME/CALL) 호 (2급 해당) 號자의 부수는 범호엄(虍)이다. 범호엄(虍)과 어진사람인발(儿)이 결합한 범 호(虎)*자를 아래 학습에서 참고하기 바란다. 이름 호(号)자와 범 호(虎)자가 결합하여 이름/부를 호(號)자가 된다. 이름(号)을 호랑이(虎)가 부르짖듯이 크게 외쳐 부른다는 정도로 기억해두자. * 범 호(虎) & 일일지구부지외호 학습 참고 일일지구부지외호(一日之狗不知畏虎) ‘하룻강아지 범 무서운 줄 모른다’ & 하룻강아지 ..

훈방(訓放) ‘훈계방면의 줄임말’ & 훈방조치와 촉법소년

#1 훈방 #2 訓放 훈방(가르칠 훈, 놓을 방) ‘훈계방면의 줄임말, 훈계하여 놓아줌’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가르칠 훈(訓) 가르칠 (TEACH) 훈 (5급 해당) 訓자의 부수는 글자 좌측의 말씀 언(言)이다. 말씀 언(言)*과 내 천(川)의 결합으로 말(言)을 할 때 물(川)이 위에서 아래로 흐르듯이 자연스러운 이치에 따라 누군가를 가르쳐준다(訓)는 정도로 기억해두자. * 말씀 언(言) & 언어도단(言語道斷) 학습 참고 언어도단(言語道斷) '언어의 길이 끊어지다' #1 언어도단 #2 言語道斷 언어도단(말씀 언, 말씀 어, 길 도, 끊을 단) ‘언어의 길이 끊어짐’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말씀 언(言) 말씀(words, tell) 언 (5급 해당) 言 자는 글자 그대로 부수를 n..

주객전도(主客顚倒) ‘주인과 손님이 뒤바뀜’

#1 주객전도 #2 主客顚倒 주객전도(주인 주, 손 객, 엎드러질 전, 넘어질 도) ‘손님과 주인이 뒤바뀜’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손 객(客) 손(GUEST) 객 (4급 해당) 客자의 부수는 갓머리(宀)이다. 집을 의미하는 갓머리(宀)와 각각 각(各)*자의 결합으로 집으로 각각 찾아오는 손님(客)이라는 정도로 기억해두자. * 각각 각(各) & 각득기소(各得其所) 학습 참고 각득기소(各得其所 ) '저마다 그 있어야 할 곳을 얻다' #1 각득기소_저마다 있어야 할 곳 #2 各得其所 각득기소(각각 각, 얻을 득, 그 기, 바 소) '저마다 그 있어야 할 곳을 얻는다.'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각각 각(各) 各에서 부수는 입 구(口) 자이다 nmd-pws.tistory.com 활용 ① 주..

경이원지(敬而遠之) ‘공경하되 멀리함(가까이하지는 않음)’

#1 경이원지 #2 敬而遠之 경이원지(공경 경, 말 이을 이, 멀 원, 갈 지) ‘공경하되 가까이 하지는 않음’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공경 경(敬) 공경(RESPECT) 경 (4급 해당) 敬자의 부수는 칠 복(攴=攵)이다. 진실로/구차할 구(苟)*자와 칠 복(攵)의 결합으로 자식이 진실로(苟) 잘 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회초리를 들어 때리는(攵) 부모의 마음은 공경(敬)받음이 마땅하다는 정도로 기억해두면 좋다. * 진실로/구차할 구(苟) & 아유구용(阿諛苟容) 참고 아유구용(阿諛苟容) ‘아첨하고 구차스럽게 굶’ & 아유구용 교언영색 #1 아유구용 #2 阿諛苟容 아유구용(언덕 아, 아첨할 유, 진실로/구차할 구, 얼굴 용) ‘(남에게 잘 보이기 위해) 구차스럽게 아첨함’ #3 상용한자 1800..

합숙훈련(合宿訓練) ‘합숙하면서 하는 훈련’

#1 합숙훈련 #2 合宿訓練 합숙훈련(합할 합, 잘 숙, 가르칠 훈, 익힐 련) '합숙하며 하는 훈련'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익힐 련(練) 익힐(LEARN) 련 (4급 해당) 練자의 부수는 글자 좌측의 실사변(絲 = 糸)이다. 글자 우측에는 ‘CHOOSE,SELECT’ 즉 ‘가리다’의 뜻을 가진 가릴 간(柬)자가 붙었다. 즉, 실사변(糸)+가릴 간(柬)의 결합으로, 의미를 만들어보면, 실을(糸) (고치에서) 뽑아내어 가려내는(柬) 일은 익숙하게, 능숙하게 익혀야만(練) 할 수 있는 일이다는 정도로 기억해두자. 활용 ① 숙련공 (熟練工, 익을 숙, 익힐 련, 장인 공 :능숙한 직공) 활용 ② 연습 (練習, 익힐 련, 익힐 습 : 익숙해지도록 되풀이하여 익힘) #4 합숙훈련 합숙(合宿)이란 합할..

불요불급(不要不急) ‘필요하지도 않고 급하지도 않음’

#1 불요불급 #2 不要不急 불요불급(아닐 불, 요긴할 요, 아닐 불, 급할 급) ‘중요하지도/필요하지도 않고 급하지도 않음’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요긴할 요(要) 요긴할(IMPOERTANT) 요 (4급 해당) 要자의 부수는 글자 위쪽의 덮을아(覀)자이다. 덮을 아(覀)자와 여자 녀(女)자의 결합으로, 여자(女)는 남자에 비해 골반 아래 부위를 따뜻하게 덮고(覀) 있는 것이 중요(要)하다는 정도로 기억해두자. 활용 ① 요약 (要約, 요긴할 요, 맺을 약 : 문장 따위의 요점을 추림.) 활용 ② 요새 (要塞, 요긴할 요, 변방 새 : 중요 시설에 구축한 견고한 방어 시설) #4 불요불급 뜻 ‘불요불급한 예산’에서 불요불급 뜻은 무엇일까? 불요불급(不要不急) ‘중요하지도 않고, 급하지도 않은’이..

명불허전(名不虛傳) ‘이름은 헛되이 전하지 않음’

#1 명불허전 #2 名不虛傳 명불허전(이름 명, 아닐 불, 빌 허, 전할 전) ‘이름은 헛되이 전하지 않음’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전할 전(傳) 전할(deliever) 전 (3급 해당) 傳자의 부수는 글자 좌측의 사람인변(亻= 人의 변형)이다. 사람 인(亻) + 오로지 전(專)*의 결합으로, 사람(亻)이 태어나서 오로지(專) 하고자 하는 바는 자신의 뜻을 타인에게 전달하는(傳) 것이다 라고 기억해두면 된다. * 오로지 전(專) 참고 전유부(專有部) ‘건축물대장상 전유 부분의 면적, 건축물 용도, 소유자 변동 내역 등을 기록한 #1 전유부 #2 專有部 전유부(오로지 전, 있을 유, 떼 부) '오롯이 소유한 부분' ‘건축물 대장상 전유부분의 면적, 건축물 용도, 소유자 변동 내역 등을 기록한 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