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617

이현령비현령(耳懸鈴鼻懸鈴) '귀에 걸면 귀걸이, 코에 걸면 코걸이'

#1 귀에 걸면 귀걸이 #2 耳懸鈴鼻懸鈴 이현령비현령(귀 이, 매달 현, 방울 령, 코 비, 매달 현, 방울 령) '귀에 걸면 귀걸이, 코에 걸면 코걸이'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귀 이(耳) 耳 자는 글자 자체로 부수이다. 갑골문 상으로도 귀를 형상화했다. 여러 번 반복하여 써서 글자에 익숙해지도록 하자. ​ 활용 ① 이개 (耳介, 귀 이, 끼일 개 : 귓바퀴.) ‘만두귀, 의학용어로는 이개혈종(耳介血腫)이라 한다.’ ​ 활용 ② 외이도염 (外耳道炎, 바깥 외, 귀 이, 길 도, 불꽃 염 : 외이도(귓구멍)의 염증.) ‘만성 외이도염(外耳道炎) 수술 없이 자연치료 가능한가?’ ​ 활용 ③ 이순 (耳順, 귀 이, 순할 순 : 귀가 순해지다, 60세를 의미.) ​공자의 나이 철학에 대하여 간략히 ..

절장보단 '긴 것을 잘라 짧은 것에 보태다'

#1 긴 것을 잘라 #2 絶長補短 절장보단(끊을 절, 길 장, 기울 보, 짧을 단)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 _ 짧을 단(短) 短 자의 부수는 좌측의 화살 시(矢)이다. 화살 시(矢)와 콩 두(豆)자의 결합으로 볼 수 있는데, 옛날에는 화살과 콩으로 길이가 짧은 것들의 치수를 쟀다고 생각하면 된다. 또는 ‘豆’ 의 형태를 투호의 통으로 생각하여, 화살(矢)을 던져 투호 통(豆)에 잘 넣기 위해서는 짧은(短) 거리에서 던져야 한다고 생각해도 좋다. ​ 활용 ① 단점 (短點, 짧을 단, 점 점 : 모자라는 점.) ‘주상복합 아파트 단점(短點)을 보완한 평면설계’ ​ 활용 ② 단명 (短命, 짧을 단, 목숨 명 : 수명이 짧음.) ‘스님이 되지 않으면 단명(短命)한다는 말에 출가를 허락하다.’ #4 절장..

형설지공(螢雪之功) '반딧불과 눈빛으로 이룬 공' & 형설지공 뜻, 형설지공 유래

#1 형설지공 뜻 #2 螢雪之功 형설지공(개똥벌레 형, 눈 설, 갈 지, 공 공) '반딧불과 눈에 책을 비추어 공부하여 이룬 공'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 _ 공 공(功) 功 자의 부수는 힘 력(力)이다. 장인(장인 공, 工)이 힘을 써서(힘 력, 力) 우수한 작품을 만들어 내는 공을 세웠다는 정도로 기억해 두자. 활용 ① 공신전 (功臣田, 공 공, 신하 신, 밭 전 : 조선시대 공신에게 주던 논밭.) ‘조선시대 공을 세운 사람이 받던 공신전(功臣田)은 세습이 가능했다.’ 활용 ② 성대공자불모어중 (成大功者不謀於衆, 이룰 성, 클 대, 공 공, 놈 자, 아닐 불, 꾀 모, 어조사 어, 무리 중 : 큰 공을 이루는 자는 여럿과 꾀하지 않는다.) ​ 논지덕자불화어속 (論至德者不和於俗) 지극한 덕을 논..

교언영색(巧言令色) '교묘한 말과 아첨하는 얼굴' & 교언영색 뜻 & 교언영색 선의인

#1 교언영색_환심을 얻기 위해 교묘히 꾸며서 하는 말 #2 巧言令色 교언영색(공교할 교, 말씀 언, 하여금 령, 빛 색) '환심을 얻기 위해 교묘히 꾸며서 하는 말과 아첨하는 얼굴빛'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 _ 빛 색(色) 色 은 글자 그대로 부수로 쓰인다. 갑골문 상 그 형태가 이성 간에 성관계를 맺고 있는 모습을 표현한 것이라 하는데, 그것을 떠올리기보다는 여러 번 써서 익숙해지는 편이 나아 보인다. ​ 활용 ① 명색 (名色, 이름 명, 빛 색 : 어떠한 자격으로 그럴듯하게 불리는 이름)​ ‘명색(名色)이 메이저리그 올스타인데 고의4구에 자존심이 상할 수밖에.’ ‘명색(名色)이 변호사인데, 마지막 양심은 있어야지.’ ​ 활용 ② 심산유곡 (深山幽谷, 깊을 심, 뫼 산, 그윽할 유, 골 곡 ..

운악산 봉선사, 남양주 봉선사, 경기도 드라이브, 봉선사 광릉 드라이브 코스, 남양주 가볼만한 곳

서울에서 한 시간 내로 닿을 수 있는 남양주에 위치한 수많은 사찰 중 규모가 가장 크다는 봉선사로 향했다. 운악산 봉선사(雲嶽山 奉先寺) 봉선사 초입, 우측으로는 국립수목원 광릉숲길로 이어진다. 광릉 수목원길 따라 심어놓은 가로수가 인상적 단풍 들 즈음에는 드라이브 코스로도 꽤 유명하다. 템플스테이 최우수 운영사찰 운악산 봉선사(雲嶽山 奉先寺) 동서남북의 금강산, 구월산, 지리산, 묘향산과 함께 한국의 5대 명산으로 꼽히는 운악산, 운악산 기슭에 위치한 천년 고찰 봉선사 *경기도 남양주 진전읍 부평리에 위치 ​ 고려 초기 광종 때 법인국사 탄문(坦文)이 창건할 때 운악사(雲嶽寺)라 하였고, 조선 초 예종 때 세조의 비 정희왕후가 89칸 규모로 중창하면서 봉선사(奉先寺)로 고쳐 불렀다고 한다. 奉護先王之陵..

남한강 절경 품은 보물창고, 여주 신륵사, 천년사찰 신륵사, 남한강 일몰 명소, 강바람 쐬며 산책하기 좋은 사찰, 서울 근교 드라이브, 여주 파

작년 겨울 남한강 절경을 품은 보물창고, 천년향기를 품은 경기도 여주의 신륵사를 향했다. 여주의 신륵사, 그리고 신륵사의 전탑 얼핏 본 기억이 있다. 통일신라 탑의 양식을 배우는 파트였던가. 여주 신륵사 무료 주차장 여주 신륵사는 여주의 8경 중 하나다. 신륵모종(神勒暮鍾) 신륵사에 울려 퍼지는 저물녘의 종소리 여주 8경은 다음과 같다. 여주 여행시 참고하면 좋을 듯하다. 신륵모종(神勒暮鐘) '신륵사에 울려 퍼지는 저녁 종소리' 마암어등(馬巖漁燈) '마암앞 강가에 고기잡이배의 등불 밝히는 풍경' 학동모연(鶴洞暮煙) '강 건너 학동에 저녁밥 짓는 연기' 연탄귀범(燕灘歸帆) '강 여울에 돛단배 귀가하는 모습' 양도낙안(洋島落雁) '양섬에 기러기떼 내리는 모습' 팔수장림(八藪長林) '오학리 강변의 무성판 숲이..

입화습률(入火拾栗) ' 불속에 들어가 밤을 줍다'

#1 불속에 들어가 밤을 줍다 #2 入火拾栗 입화습률(들 입, 불 화, 주울 습, 밤 률) '불 속에 들어가 밤을 줍다'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밤 률(栗) 栗 자의 부수는 글자 아래의 나무 목(木)이다. 덮을 아(襾)와 나무 목(木)이 결합하여, 밤송이에 덮여 있는 밤을 주렁주렁 매달고 있는 밤나무(木)가 연상되는 글자이다. ​ 활용 ① 생률 (生栗, 날 생, 밤 률 : 날밤. 껍질을 벗겨 깎아 나부죽하게 만든 밤.) ‘얼싸 좋네 아하 좋네 군밤이여, 에헤라 생률(生栗)밤이로구나~!’ 활용 ② 조율이시 (棗栗梨柿 대추 조, 밤 률, 배나무 리, 감나무 시 : 제사상에 올리는 과일의 순서, 대추, 밤, 배, 감.) ‘제사상차림 순서_홍동백서, 조율이시(棗栗梨柿)’ #4 죽음을 무릅쓰고 밤을 줍..

독서불구심해(讀書不求深解) '독서는 하나 심오한 뜻은 구하지 않는다'

#1 독서불구심해 #2 讀書不求深解 독서불구심해(읽을 독, 글 서, 아니 불, 구할 구, 심할 심, 풀 해) '책을 읽되, 심오한 뜻을 구하지 않음'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구할 구(求) 求 자의 부수는 아래 물 수(氺)이다. 물 수(水) 자가 부수로 쓰일 때는 삼 수 변(氵)의 형태나, 아래 물 수(氺) 자의 형태로 쓰임을 알아두자. 목이 마른 사람은 물(氺) 한 방울(丶)이라도 원하고 구한다는 정도로 생각해 두고, 여러 번 써서 형태에 익숙해지도록 하자. ​ 활용 ① 갈구 (渴求, 목마를 갈, 구할 구 : 몹시 애타게 구하다.) ‘정의와 진실을 갈구(渴求)하는 몸짓’ ​ 활용 ② 구애 (求愛, 구할 구, 사랑 애 : 상대방에 사랑을 고백하고, 자기를 사랑해 주기를 바라는 일.) ‘남성의 끈..

여명 ' 희미하게 날이 밝을 무렵'

#1 검은 밝음 #2 黎明 여명(검을 려, 밝을 명) '희미하게 날이 밝을 무렵'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밝을 명(明) 明 에서 부수는 날일(日) 자이며, 달 월(月) 자가 옆에 붙어, 해와 달 즉, 낮을 밝히는 태양과 밤을 밝히는 달을 함께 병렬해, '밝다'의 뜻을 만들었다. ​ 활용 ① 설명 (說明, 말씀 설, 밝을 명 : (상대방이 잘 알 수 있게) 밝게 설명함.) ‘설명(說明)서를 따라 레고 완성’ ​ 활용 ② 천명 (闡明, 밝힐 천, 밝을 명 : 분명히 드러내 밝힘.) ‘독립에 대한 우리 민족의 의지를 만천하에 천명(闡明)하다.’ #4 여명은 온다 여명이 밝고 해가 뜨기 전까지 그 온몸을 휘감는 전율의 순간 앙칼진 서리를 끈기 있게 바스라 뜨려 영롱한 이슬로 변화시키는 순간, ​ 삶이..

자강불식(自强不息) '스스로 힘쓰고 쉬지 않는다' 자강불식 뜻

#1 자강불식 뜻_스스로 힘쓰고 쉬지 않는다 #2 自强不息 자강불식(스스로 자, 강할 강, 아니 불, 쉴 식) '스스로 힘쓰며 쉬지 않는다'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 _ 쉴 식(息) 息 자의 부수는 마음 심(心)이다. (그간 열심히 일했으니, 이제) 자신(自)을 위해 쉬려는 마음(心)이 쉴 식(息) 자이다. 쉬다(rest)의 의미, 숨을 쉬다(breathe)의 의미, 살다(live), 자라나다(grow)등의 의미도 함께 갖는다. ​ 활용 ① 소식 (消息, 사라질 소, 쉴 식 : 안부 등 새로운 사실 등에 관한 알림.) ​*주역에 양기소식(陽氣消息) 이라는 말이 있는 바, 이는 양의 기운이 사라졌다가(消) 생겨나는, 자라나는(息) 것을 의미한다. 양의 기운이 사라졌다가 생겨나듯 만물이 변화한다는 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