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617

전광조로(電光朝露) '번갯불과 아침이슬'

#1 번갯불과 아침이슬 #2 電光朝露 전광조로(번개 전, 빛 광, 아침 조, 이슬 로) '번갯불과 아침이슬'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번개 전(電) 電 에서 부수는 비 우(雨)이다. 글자를 쪼개 보면, 비 우(雨)와 펼 신(申 꼭) 자가 결합해 있다. 비가 내릴 때 번개가 치는 모습이 어떠한가? 번쩍하는 순간 번개 줄기가 쭉 펴져서 내리치는 모습이 상상해보자. 또한, 전기(전류)가 흐를 때도, 번갯줄이 펴져서 내려치는 모습과 같이 눈 깜짝할 사이 전류가 흘러간다고 생각하면 암기에 쉬울 것이다. ​ 활용 ① 전화기 (電話耭, 번개 전, 말씀 화, 기계 기 : telephone.) ​활용 ② 전광석화 (電光石火, 번개 전, 빛 광, 돌 석, 불 화 : 번갯불이나 부싯돌의 불이 번쩍이는 것처럼 순식간..

천장지구(天長地久) '하늘과 땅은 영원하다'

#1 하늘과 땅 #2 天長地久 천장지구(하늘 천, 길 장, 땅 지, 오랠 구)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 _ 길 장(長) 長 은 글자 그대로 부수를 이룬다. 백발이 휘날리는 노인의 모습을 형상화하여 만든 글자라고 한다. ​ 활용 ① 장수 (長壽, 길 장, 목숨 수 : 오래 삶.) ​'100세 이상 장수(長壽)하는 비결은 무엇일까?' ​ 활용 ② 장유유서 (長幼有序, 길 장, 어릴 유, 있을 유, 차례 서 윗사람과 아랫사람 간에는 질서가 있다.) ​ #4 유교의 5가지 기본 윤리 五倫(오륜) 오륜에 대해 짤막히 정리해두고 넘어가자.​ 君臣有義(군신유의) 임금과 신하는 의리가 있어야 하고 父子有親(부자유친) 아버지와 아들은 친함이 있어야 하며 夫婦有別(부부유별) 남편과 아내는 분별이 있어야 하며 長幼有..

가서만금(家書萬金) 가서저만금(家書抵萬金) '타향에서 받는 가족의 편지는 만금의 가치를 갖는다'

#1 가서만금/가서저만금_타향에서 온 가족의 편지 #2 家書萬金, 家書抵萬金 가서만금(집 가, 글 서, 일만 만, 쇠 금) 가서저만금(집 가, 글 서, 막을 저, 일만 만, 쇠 금) '집 편지는 황금 만냥에 버금간다.'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 _ 집 가(家) 家에서 부수는 갓머리 면, 집 면(宀)이다. 옛날에는 집에서 돼지를 키웠다고 한다. 그래서 돼지 시 자가 아래 들어가 있다. 집에서 키우는 집돼지를 연상하면 쉽다. ​ 활용 ① 가친 (家親, 집 가, 친할 친 : 남에게 자신의 아버지를 이를 때 쓰는 말) ​'가친(家親)께서는 약주한잔 하시고는 주무시고 계십니다.' ​ 활용 ② 가추불외양 (家醜不外揚, 집 가, 추할 추, 아닐 불, 바깥 외, 날릴 양 : 집안의 부끄러운 일은 드러내지 않는다..

정신일도하사불성(精神一到何事不成) '정신을 한 가지로 하면, 무슨 일이든 이루어지지 않으랴' & 정신일도하사불성 뜻

#1 정신일도하사불성 #2 精神一到何事不成 정신일도 하사불성(정할 정, 귀신 신, 한 일, 이를 도, 어찌 하, 일 사, 아니 불, 이룰 성) '정신을 한 곳으로 하면 무슨 일인들 이루어지지 않겠는가?'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 _ 일 사(事) 事 에서 부수는 갈고리 궐(亅)이다. 이런 글자들이 좀처럼 의미를 연상하기 힘든 글자로 여겨지는데, 글자 쪼개기가 쉽지 않을 때는 열 번만 반복해서 써보자. 반복해서 써보고, 까먹으면 다음날 열 번 또 써본다. 다음날 또 생각이 안 나면 그때 또 열 번 써보자. 그러면 그 다음날엔 저절로 손이 움직일 것이다. ​ 활용 ① 만사휴의 (萬事休矣, 일만 만, 일 사, 쉴 휴, 어조사 의 : 만 가지의 일이 쉬고 있다(멈춰져 있다) 즉, 모든 일이 절망적인 체념의..

농부아사침궐종자(農夫餓死枕厥種子) '농부는 굶어 죽어도 종자를 베고 잔다'

#1 농부아사침궐종자_농부는 굶어 죽어도 #2 農夫餓死枕厥種子 농부아사침궐종자(농사 농, 지아비 부, 주릴 아, 죽을 사, 베개 침, 그 궐, 씨 종, 종자 자)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농사 농(農) 農에서 부수는 별 진, 때 신(辰)이다. 글자를 쪼개 보면, 재미있는 의미를 도출해낼 수 있다. 꼭두새벽부터 별(辰)이 뜨는 밤까지 허리를 굽힌 채로(굽을 곡, 曲) 열심히 농사를 짓는 농부의 모습을 상상해보면, 農 자가 저절로 연상이 될 것이다. ​ 활용 ① 농약 (農藥, 농사 농, 약 약 : 농작물에 해로운 것들을 제거하는 약품.) ​'농약(農藥) 분무기 까지 동원하여 코로나 방역 소독 활동 벌이다.' ​ 활용 ② 농한기 (農閑期, 농사 농, 한가로울 한, 기간 기 : 농사일이 바쁘지 않아 한..

자문자답(自問自答) '스스로 묻고 스스로 대답함'

#1 스스로 묻고 스스로 답한다 #2 自問自答 자문자답(스스로 자, 물을 문, 스스로 자, 대답할 답) '스스로 묻고 스스로 대답한다.'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 _ 대답할 답(答) 答에서 부수는 대나무 죽(竹)이며, 죽 밑에는 합할 합(合) 자가 붙었다. 우리가 흔히 쓰는 말 중에 ‘파죽지세(破竹之勢)’란 말이 있는데, 대나무가 쪼개지는 듯한 거침없는 기세를 의미한다. 答 자도 같은 맥락에서 해석하면, ‘대나무가 쪼개지듯이 마음을 합하여(合) 힘차게 대답하다.’라는 의미를 도출해낼 수 있다. ​ 활용 ① 응답 (應答, 응할 응, 대답할 답 : (물음이나 부름에) 응하여 답하다.) ​'1980년대 시기를 드라마 배경으로 하여 선풍적 인기를 끌었던 '응답(應答)하라 1988' ​ 활용 ② 즉답 (卽..

불치하문(不恥下問) '아랫사람에게 묻는 것을 부끄럽게 여기지 않다'

#1 세살 아이에게도 배울 점이 있다 #2 不恥下問 불치하문(아니 불, 부끄러울 치, 아래 하, 물을 문) '아랫사람에게 묻는 것을 부끄럽게 여기지 아니함.'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 _ 물을 문(問) 問 에서 부수는 문 문(門)이다. 그림에서 보듯 갑골문 형태부터 우리가 알고 있는 열고 닫는 문의 형태를 닮아 있다. 문 사이에는 입 구(口) 자가 들어가, 문을 열고 입으로 물어본다는 의미로 생각하면 쉽다. ​ 활용 ① 문책 (問責, 물을 문, 꾸짖을 책 : 잘못을 캐묻고, 꾸짖음.) ​‘방역지침 어길시 엄중 문책(問責)한다.’ ​ 활용 ② 우문현답 (愚問賢答, 어리석을 우, 물을 문, 어질 현, 대답할 답 : 어리석은 질문에 현명한 대답.’ ​'법륜스님의 즉문즉설 강의를 듣다 보면, 우문현답(愚..

만절필동(萬折必東​) '수없이 꺾여 흘러가도 결국은 동쪽으로 흘러간다' & 만절필동 뜻

#1 만절필동 뜻_수없이 꺾여 흘러도 반드시 동쪽으로 #2 萬折必東​ 만절필동(일만 만, 꺾을 절, 반드시 필, 동녘 동) '만 번 꺾여 흘러도 반드시 동쪽으로 흘러간다.'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동녘 동(東) 東 에서 부수는 나무 목(木)이며, 해(日)가 서서히 떠올라 동쪽 나무(木)에 해가 걸리는 모습을 상상해보자. ​ 활용 ① 정동진 (正東津, 바를 정, 동녘 동, 나루 진 : 강원도 강릉 강동면 정동진리의 바닷가.) ​'광화문에서 정동쪽에 있는 나루터가 있는 부락'이라는 뜻으로 이름이 지어졌다고 한다. ​'정동진(正東津)에 가면 레일바이크를 꼭 타봐야 한다.' ​ 활용 ② 홍동백서 (紅東白西, 붉을 홍, 동녘 동, 흰 백, 서녘 서 : 제사상에 붉은 과일은 동쪽에, 흰 과일은 서쪽에 차..

망중한 '바쁜 가운데에서도 한가로운 때'

#1 바쁜 가운데에서도 #2 忙中閑 망중한(바쁠 망, 가운데 중, 한가로울 한) '바쁜 중에서도 한가로움'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 _ 가운데 중(中) 中 에서 부수는 뚫을 곤(丨)이다. 갑골문상으로 가운데에 깃발이 꽂혀져 있는 모습을 형상화한 것이다. 가운데를 꼬챙이로 뚫는다고 생각하면 된다. ​ 활용 ① 와중 (渦中, 소용돌이 와, 가운데 중 : 소용돌이 치는 가운데, 혼란한 가운데) ​​'바쁘신 와중(渦中)에 귀한 시간 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활용 ② 뇌졸중 (腦卒中, 골 뇌, 마칠 졸, 가운데 중 : 머릿골에 갑작스러운 순환 장애가 일어나 갑자기 의식을 잃고 수의운동의 기능이 상실되는 증세.) ​'안면마비는 뇌졸중(腦卒中)의 초기증상일 수도 있다.' ​ 활용 ③ 낭중지추 (囊中之錐, ..

학여역수(學如逆水) '배움이란 노를 저어 물을 거스르는 것과 같다' 학습유여역수행주 부진즉퇴

#1 學如逆水_물을 거슬러 오르듯이 #2 學如逆水 학여역수(배울 학, 같을 여, 거스를 역, 물 수) '학문을 하는 것은 물을 거슬러 오르는 것과 같다'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 _ 배울 학(學) 學 에서 부수는 아들 자(子)이다. 글자를 쪼개 보면, 절구 구(臼), 배울 효(爻) 집 면, 갓머리 면(宀), 아들 자(子)로 이루어져 있다. 선뜻 의미를 만들기가 쉽진 않다. 절구통 같은 집에서 배움을 얻기 위해 앉아 있는 아들의 모습을 상상해 보자. 옛날 갑골문에 적힌 모양이 오늘날로 오면서 현재 모양이 되었다고 한다. ​ 활용 ① 유학 (留學, 머무를 류, 배울 학 : (멀리서) 머무르며 배움.) ​ ​'영국에서 유학(留學)한 학생 귀국하자마자 코로나 확진 판정' ​ 활용 ② 학문천재보 탐물일조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