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욕양이친부대(子欲養而親不待) '자식은 부모에 효도하고자하나 부모는 기다려주지 않는다'
#1 자식은 효도하고자 하나, #2子欲養而親不待 자욕양이친부대(아들 자, 하고자할 욕, 기를 양, 말 이을 이, 친할 친, 아니 불, 기다릴 대) '자식은 봉양하고자하나, 부모는 기다리지 않는다.'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기를 양(養) 養에서 부수는 밥 식(食)이며, 위에 붙은 양 양(羊)에서 소리를 따왔다. 양에게 밥을 먹여 기른다고 생각하면 쉽다. 앞서 언급한 형성자의 전형이다. 양(羊)에서 소리를, 부수로 쓰인 식(食)에서 의미를 따온 것이다. 소리를 따온 양에서도 단순히 소리만 가져왔다고 생각하지 말고, 글자의 의미를 덧붙여 생각하여 의미를 만들어 본다면 더욱 더 쉽게 익힐 수 있다. 활용 ① 자양분 (滋養分, 불을 자, 기를 양, 나눌 분 : 자양이 될 음식의 성분.) “실패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