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617

양평 드라이브, 두물머리 드라이브, 야간 드라이브, 서울 근교 경기 드라이브 , 야간 두물머리

깜깜한 밤, ​ 양평으로 드라이브를 나선다. 두물머리 야간 드라이브 카메라에도 별이 보일정도로 깜깜한 밤 양평 두물머리 마스코트, 봉구 손난로 사러 들어간 편의점에서 봉구를 만나다. 편의점 사장님인냥 뒷걸음도 위풍당당 서울 근교 드라이브 코스로 추천! 야간 양평 두물머리 https://map.naver.com/v5/entry/place/13491272 네이버 지도 두물머리 map.naver.com

안고수비(眼高手卑) / 안고수저(眼高手低) '눈은 높으나 손은 낮음'

#1 안고수비/안고수저_눈은 높으나 손은 낮음 #2 眼高手卑/眼高手低眼高手卑 안고수비(눈 안, 높을 고, 손 수, 낮을 비) 안고수저(눈 안, 높을 고, 손 수, 낮을 저) #3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손 수(手) 手 자는 다섯 손가락을 편 모양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글자 자체로써 부수가 된다. 오른쪽으로 삐침이 있는 털 모(毛)와 유의하자. 손 수가 부수로 쓰이게 되면 재방변의 형태로 변형한다. ​ 활용 ① 수하 (手下, 손 수, 아래 하 : 손 아래 = 부하) 활용 ② 수족냉증 (水足冷症, 손 수, 발 족, 찰 랭, 증세 증 : 손과 발이 차가운 증세) #4 이상은 높은데 실천이 따르지 않으면 안고수비나 안고수저는 눈(이상)은 높지만 손(재주)은 낮음을 뜻한다. 눈은 높으나 실력이나 재주가 그에 ..

복지부동(伏地不動) '땅에 엎드려 움직이지 않다' & 복지부동 뜻

#1 복지부동_땅에 엎드리고 움직이지 않다 #2 伏地不動 복지부동(엎드릴 복, 땅 지, 아니 불, 움직일 동)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움직일 동(動) 動서 부수는 힘 력(力)이며, 무거울 중(重)에서 소리를 따온 바, 중과 동이 음으로 유사한 것을 알 수 있다. 무거운 것을 힘을 써서 움직인다고 생각하면 쉽다. ​ 활용 ① 동태 (動態, 움직일 동, 모습 태 : 움직이거나 변화하는 모습) ​‘그가 무슨 일을 꾸밀지 모르니 동태(動態)를 잘 살피도록 해라.’ ​ ​활용 ② 전동 킥보드 (電動 킥보드, 번개 전, 움직일 동 : 전기의 힘으로 움직이는 키보드) ​‘술 마시고 전동(電動)킥보드 타면 음주운전?’ #4 복지부동의 행태 & 복지부동 뜻 '복지부동' 땅에 엎드려 움직이지 않는다. 흔히 공무..

2021년 한자능력검정시험 한국어문회, 2021년 한자능력검정시험 시험일정, 2021년 한자능력검정시험 응시료, 한국어문회 응시료, 한자능력검정시험 시험시간

응시료​ 특급, 특급||, 1급 : 45,000원 2급, 3급, 3급|| : 25,000원 그외 급수 : 20,000원 ​ ※ 자격발급비 : 최초 1회 무료 ※ 특급~3급|| 까지만 국가로부터 인정받은 공인자격이며, 그외 급수는 비공인 민간자격입니다. ​ ​ 시험시간​ 특급, 특급|| : 100분 1급 : 90분 2급, 3급, 3급|| : 60분 그외 급수 : 50분 ​ ​ 합격기준​ 출제문항(합격문항) 특급 ~ 1급 : 200문항 (160문항) 2급 ~ 3급|| : 150문항 (105문항) 4급 ~ 5급|| : 100문항 (70문항) 6급 : 90문항 (63문항) 6급|| : 80문항 (56문항) 7급 : 70문항 (49문항) 7급|| : 60문항 (42문항) 8급 : 50문항 (35문항) ​ ※ 특급..

카테고리 없음 2021.05.22

조명시리(朝名市利) '명성은 조정에서 이익은 시장에서 다투다'

#1 조명시리_명성은 조정에서 이익은 시장에서 #2 朝名市利 조명시리(조정 조, 이름 명, 저자 시, 이로울 리) '명성은 조정에서, 이익은 시장에서 다투다'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저자 시(市) 두건 건(巾)을 부수로 쓰는 바, 두건을 두르고 물건을 파는 상인을 떠올리면 될 듯 하다. 저자, 도시의 의미를 지닌다. ​ 활용 ① 시장점유율 (市場占有率, 시장에서 어떤 상품이 점유하고 있는 비율) 활용 ② 시정잡배 (市井雜輩, 시장 시, 우물 정, 섞일 잡, 무리 배 : 시장에 떠도는 잡스러운 무리) #4 어떤 일이든 적당한 장소에서 '조명시리' 돈을 벌려면 시장에서 거래를 통해 돈을 벌고, 공직에 있는 자들은 명성을 다투어야 하는데 국민을 위해 업무를 수행하고 정책을 내놓는 공무원, 국회의원 ..

자욕양이친부대(子欲養而親不待) '자식은 부모에 효도하고자하나 부모는 기다려주지 않는다'

#1 자식은 효도하고자 하나, #2子欲養而親不待 자욕양이친부대(아들 자, 하고자할 욕, 기를 양, 말 이을 이, 친할 친, 아니 불, 기다릴 대) '자식은 봉양하고자하나, 부모는 기다리지 않는다.'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기를 양(養) 養에서 부수는 밥 식(食)이며, 위에 붙은 양 양(羊)에서 소리를 따왔다. 양에게 밥을 먹여 기른다고 생각하면 쉽다. 앞서 언급한 형성자의 전형이다. 양(羊)에서 소리를, 부수로 쓰인 식(食)에서 의미를 따온 것이다. 소리를 따온 양에서도 단순히 소리만 가져왔다고 생각하지 말고, 글자의 의미를 덧붙여 생각하여 의미를 만들어 본다면 더욱 더 쉽게 익힐 수 있다. ​ ​활용 ① 자양분 (滋養分, 불을 자, 기를 양, 나눌 분 : 자양이 될 음식의 성분.) ​“실패와..

단도직입(單刀直入) '한 자루 칼을 들고 곧장 들어가다' & 단도직입 뜻

#1 단도직입 뜻_한 자루 칼을 들고 거침없이 적진으로 #2 單刀直入 단도직입(홑 단, 칼 도, 곧을 직, 들 입)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 _ 곧을 직(直) 直에서 부수는 눈 목(目)이다. 눈 목을 부수로 쓰는 한자들은 당연히 ‘바라보는 것’과 연관이 있다. 눈 목 위에 열십(十) 자가 붙어있고, 그 아래에는 숨을 은(隱)의 약자로 쓰이는 ㄴ모양의 자가 들어가 있다. 결합하여 의미를 만들어 보자. 열 개의 눈으로 숨겨진 것을 곧게, 똑바로 바라본다는 의미로 이해하면 쉽다. 또한 숨겨진 것의 값어치를 제대로 파악했다는 의미로 발전시키면, ‘값 치’라는 다른 의미도 발견할 수 있다. ​ 활용 ① 우직 (愚直, 어리석을 우, 곧을 직 : 어리석고 곧다, 고지식하다.) ​'황소처럼 우직(愚直)하게 일하..

명철보신(明哲保身) '이치에 밝고 사물에 능통하여 자신을 보전하다'

#1 사리에 밝아 몸을 보전하다 #2 明哲保身 명철보신(밝을 명, 밝을 철, 지킬 보, 몸 신)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 지킬 보(保) 保에서 부수는 사람인 변이며, 사람(人)이 입(口)으로 들어갈 열매 나무(木)를 지키고 서 있는 모습을 생각하면 암기에 쉽다. ​ 활용 ① 보우 (保佑, 지킬 보, 도울 우 : 보호하고 도움.) ​‘하느님이 보우(保佑)하사 우리나라 만세.’ ​ 활용 ② 보육원 (保育院,, 지킬 보, 기를 육, 집 원 : 보호하며 기르는 곳) ​복지관, 보육원(保育院) 등을 찾아 봉사활동을 하다. #4 총명하고 또 명철하여 자신의 몸을 보전하다 시경(詩經) 대아증민편에 수록된 재상 중산보에 관한 시에서 등장한다. 지엄한 임금의 명을 받아들고 중산보는 그 명을 좇아 수행하였다. 이..

화성 구봉산 신흥사, 화성 구봉산, 구봉산 등산코스, 화성 신흥사, 경기 드라이브코스, 경기 사찰, 화성 드라이브, 제부도 드라이브

1월의 늦은 오후, 제부도로 드라이브를 나서는 길 그 길목에 자리잡은 구봉산 신흥사를 들렀다. 구봉산의 당성(唐城)을 거점으로 자리잡은 신흥사. *당성은 사적 217호. ​ 고구려 영류왕 때, 선비를 보내달라는 고구려의 요구에 당나라에서 팔학사를 고구려로 보냈고, 팔학사 중 홍학사가 당성에 머물며 중국의 문물을 전했다고 한다. ​ 당성 내의 옛 사찰은 세월의 흐름따라 없어졌고, 한영석 거사가 숲속의 석불을 우연히 발견하여 산과 전답을 시주하였고, 1934년 덕인스님이 창건하였다. 넓은 주차장 절 초입, 천왕문 앞을 어슬렁거리는 산 고양이 사대천왕 다른 사찰의 근엄한 사대천왕들과 달리 표정이 사뭇 따스하다. 진법륜상 청소년 수련원 교육관 큰법당 앞 소나무 범종루 부처님 진신사리탑 큰법당 '큰법당' 대웅전이..

교육부지정 상용한자 1800자 파일, 기초한자 1800자, 중학교 기초한자 900자, 고등학교 기초한자 900자, 한자교육의 필요성

한자교육의 필요성 및 한자교육의 효과 한자는 왜 배워야 할까? ​ 삶을 풍요롭게 만드는 수단이 되기 때문이다. ​ 삶의 풍요로움은 여러 가지 이유에서 기인할 수 있겠으나, 내가 생각하는 풍요로움의 주된 요인은 자신에 대한 명확한 인식으로부터 오는 고양된 자존과 주변인들과의 원만한 인간관계에서 비롯한 안정된 소속감에 있다고 본다. ​ 자존감이 낮은 인간은 항시 타인을 자신과 비교하고 좌절하며, 소속감이 낮은 인간은 외로움, 소외감을 느끼며 공동체에서 이탈되기 쉽다. ​ 즉 인간은 자존감과 소속감이 높아진 상태일 때 좌절감, 외로움, 소외감 등과 대척점에 있다고 볼 수 있는 정신적 풍요, 즉 풍요로운 삶을 영위할 수 있으며, 이 자존감과 소속감을 높여 풍요로운 삶을 살게 하는 매개체로써 작용하는 것이 한자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