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모교

#2 母校
(어미 모, 학교 교)
‘자기 자신이 졸업한 학교’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학교 교(校)
학교 (school) 교 (6급2/ 해당)
校자의 부수는 글자 좌측의 나무 목(木)자이다. 사귈 교(交)*자와 나무 목(木)**자의 결합으로 나무(木)가 있는 곳(교정)에서 친구들을 사귈(交) 수 있는 곳은 바로 학교(校)이다라는 정도로 기억해두자.
빈천지교불가망(貧賤之交不可忘) 조강지처불하당(糟糠之妻 不下堂) '가난하고 천할 때의 사귐을
#1 빈천지교불가망/ 조강지처불하당 #2 貧賤之交不可忘/ 糟糠之妻 不下堂 빈천지교불가망(가난할 빈, 천할 천, 갈 지, 사귈 교, 아닐 불, 옳을 가, 잊을 망) 조강지처불하당 (지게지 조, 겨 강, 갈
nmd-pws.tistory.com
* 사귈 교(交) & 빈천지교불가망 조강지처불하당 참고
합포지목 생어호말(合抱之木 生於毫末) ‘아름드리 나무도 털끝(같은 씨앗)에서 나온다’ & 구층
#1 합포지목 생어호말 #2 合抱之木 生於毫末 (합할 합, 안을 포, 갈 지, 나무 목, 날 생, 어조사 어, 터럭 호, 끝 말) ‘한아름 되는 나무도 터럭 끝(씨앗)에서 나온다’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나
nmd-pws.tistory.com
** 나무 목(木) & 합포지목 생어호말 참고
활용 ① 향교 (鄕校, 시골 향, 학교 교 : 고려, 조선시대 지방에 설치해 놓은 관립 학교)
활용 ② 교정 (校庭, 학교 교, 뜰 정 : 학교의 넓은 뜰)
#4 모교 뜻
우리는 흔히 자신이 졸업한 학교를
‘모교(母校)’라고 칭한다.
한자 그대로 하면 ‘엄마 학교’이지만
의역하여 어머니가 자식을 기르듯이
학교에서 학생들이 정신과 지식을 배운다는 의미로
자신이 졸업한 학교를 모교라 칭한다.
'상용한자 1800자 _ 삶의 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군자대로행(君子大路行) ‘군자는 큰 길을 택해서 간다’ & 행불유경 (0) | 2022.08.30 |
---|---|
요조숙녀(窈窕淑女) ‘마음씨가 고요하고 맑은 여자’ & 요조숙녀 뜻과 유래 (0) | 2022.08.30 |
권토중래(捲土重來) ‘땅을 말아(흙먼지를 날리며) 다시 옴’ & 권토중래의 뜻, 유래 (0) | 2022.08.29 |
주초위왕(走肖爲王) ‘조(趙)씨 성을 가진 자가 왕이 된다’ & 주초위왕과 기묘사화 (0) | 2022.08.27 |
심청사백수 언중학청산(心淸師白水 言重學靑山) ‘마음의 맑음은 흰 물을 스승 삼고, 말의 신중함은 푸른 산을 배움’ (0) | 2022.08.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