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상용한자1800자 199

조불모석(朝不謀夕) 조불려석(朝不慮夕) ‘(형세가 다급하여) 아침에 저녁일을 헤아릴 수 없음’

#1 조불모석/ 조불려석 #2 朝不謀夕 / 朝不慮夕 조불모석(아침 조, 아닐 불, 꾀 모, 저녁 석) 조불려석(아침 조, 아닐 불, 생각할 려, 저녁 석) ‘(형세가 절박하여) 아침에 저녁 일을 헤아릴 수 없음.’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저녁 석(夕) 저녁(evenig, night) 夕 (6급 해당) 夕 자는 글자 자체로 부수이다. 저녁 석자는 상형자로, 구름에 달이 일부 가려져 있는 모습을 형상화한 것이라고 한다. 간단하니 여러번 써서 익숙해지도록 하자. 활용 ① 조문도석사가의 (朝聞道夕死可矣, 아침 조, 들을 문, 길 도, 저녁 석, 죽을 사, 옳을 가, 어조사 의 : 아침에 도를 들으면 저녁에 죽어도 좋다 * 조문도석사가의(朝聞道夕死可矣) 참고 조문도석사가의 '아침에 도를 들으면 저녁에 ..

사찰여행(寺刹旅行) ‘사찰을 찾아 떠나는 여행’

#1 사찰여행 #2 寺刹 사찰(절 사, 절 찰) ‘절’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절 사(寺) 절(temple) 사 (3급 해당) 寺 자의 부수는 글자 아래의 마디 촌(寸)이다. 글자를 쪼개보면, 흙 토(土) + 마디 촌(寸) 의 결합이다. 흙, 땅(土)은 땅인데, 마디(寸) 마디 부처님의 도가 담겨있는 그런 땅이 바로 사찰, 절(寺)이다는 정도로 기억해두자. * 모양이 유사한 자리 석(席) 참고 (집(广)에 스무명(廿)의 손님이 방문하여 수건(巾)을 깔아놓는 자리(席)) 활용 ① 산심연후사 (山深然後寺, 뫼 산, 깊을 심, 그럴 연, 뒤 후, 절 사 : 산이 깊어야 절이 있는 법) * 산심연후사(山深然後寺) 참고 산심연후사 '산이 싶어야 절이 있는 법' #1 산 깊은 곳에 #2 山甚然後寺 花落以..

전례(前例) ‘전의 사례’ ‘전례(前例)없는 일’

#1 전례 #2 前例 전례(앞 전, 법식 례) ‘전에 있던 일’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법식 례(例) 법식(form, rules) 례 (5급 해당) 例 자의 부수는 글자 좌측의 사람인변(亻, 사람 인(人)자의 변형)이다. 글자 우측에는 벌일 렬(列)자가 붙었다. 사람(人)은 벌여(列) 놓은 순서에 맞게 법식(例), 규칙에 맞게 행동해야 한다는 정도로 기억해 두자. * 벌일 렬(列) 및 반열(班列) 아래링크 참조 반열(班列) ‘품계, 등급 등의 차례’ ‘반열(班列)에 오르다’ #1 반열 #2 班列 반열(나눌 반, 벌일 렬) ‘신분, 등급 등의 차례’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벌일 렬(列) 벌일(start, lay out) 렬 (3급 해당) 列 자의 부수는 글자 우측의 선칼도방 도(刂, ..

반열(班列) ‘품계, 등급 등의 차례’ ‘반열(班列)에 오르다’

#1 반열 #2 班列 반열(나눌 반, 벌일 렬) ‘신분, 등급 등의 차례’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벌일 렬(列) 벌일(start, lay out) 렬 (3급 해당) 列 자의 부수는 글자 우측의 선칼도방 도(刂, 칼 도(刀)자의 변형)이다. 글자 좌측의 죽을사변(歹, 죽을 사(死)의 변형)과 합해진 글자이다. (옛날에 전쟁에 나설 때) 적들을 죽이기(歹) 위해 칼(刂)들을 죽 벌여(列) 놓은 모습을 떠올리면 쉽다. * 죽을 사(死) 및 죽을사변(歹) 아래링크 참조 호사유피 인사유명(虎死留皮 人死留名) ‘호랑이는 죽어서 가죽을 남기고, 사람은 죽어서 이름 #1 호사유피 인사유명 #2 虎死留皮 人死留名 호사유피(범 호, 죽을 사, 머무를 류, 가죽 피) ‘호랑이는 죽어서 가죽을 남김.’ 인사유명(사..

풍취각여(豊取刻與) ‘풍족하게 취하고 각박하게 주다’

#1 풍취각여 #2 豊取刻與 풍취각여(풍년 풍, 취할 취, 새길 각, 줄 여) ‘넉넉히 취하고 각박하게 베풂.’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풍년, 풍성할 풍(豊) 풍년, 풍성할(bumper year, plentiful, ample) 풍 (3급 해당) 豊 자의 부수는 글자 아래의 콩 두(豆)자이다. 굽을 곡(曲)자와 콩 두(豆)자의 결합이 풍년 풍(豊)이다. 그릇이 굽어지도록(曲) 콩(豆)을 담을 수 있는 해는 풍년(豊)이며, 풍성한 해이다는 정도로 기억해두자. * 豊자와 같은 뜻을 가진 조금 더 복잡한 모양의 豐(풍년 풍)자도 있으니 기억해두자. 활용 ① 풍요 (豊饒, 풍년 풍, 넉넉할 요 : 풍족하게 많아 넉넉함) 활용 ② 풍저창 (豊儲倉, 풍년 풍, 쌓을 저, 곳집 창 : 조선 시대 대궐 내에..

녹의사자(綠衣使者) ‘푸른 옷을 입은 관리 & 앵무새’

#1 녹의사자 #2 綠衣使者 녹의사자(푸를 록, 옷 의, 부릴 사, 놈 자) ‘푸른 옷을 입은 사자, 앵무새를 가리킴’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푸를 록(綠) 푸를(blue) 록 (5급 해당) 綠 자의 부수는 글자 좌측의 가는 실 멱(糸, 실 사(絲)*자의 변형)이다. 글자 우측에는 새길 록(彔)**자가 붙었다. 실(糸)에 색깔을 입히는데, 처음으로 새긴(彔)색은 푸른(綠)색이었다는 정도로 기억해 두자. * 실 사(絲) 아래 링크 참고 정사원서(情絲怨緖) '애정과 원한이 실처럼 얽힘' #1 정사원서 #2 情絲怨緖 정사원서(뜻 정, 실 사, 원망할 원, 실마리 서) ‘애정과 원한이 실같이 얼크러짐.’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실 사(絲) 실(thread) 사 (3급 해당) 絲 자는 가는 ..

미인박명(美人薄命) 가인박명(佳人薄命) ‘아름다운 사람은 팔자가 기구함’

#1 미인박명& 가인박명 #2 美人薄命, 佳人薄命 미인(가인)박명(아름다울 미, 아름다울 가, 사람 인, 엷을 박, 목숨 명) ‘아름다운 사람은 팔자가 기구함’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아름다울 미(美) 아름다울(beautiful) 미 (5급 해당) 美 자의 부수는 양 양(羊)자가 부수로 쓰일 때의 모양인 𦍌(𦍍 도 쓰임)이다. 그 아래에 클 대(大)자가 붙었다. 갑골문상으로는 머리에 장식을 한 사람이 그려져 있다고 한다. 고대에는 제사를 지낼 때 제사장의 머리에 양의 뿔이나 깃털로 장식을 했었다고 한다. 암기에 쉽도록 '양(羊)머리 장식을 크게(大)하고 있는 사람은 아름답다(美)'는 정도로 기억해두자. 활용 ① 팔방미인 (八方美人, 여덟 팔, 모 방, 아름다울 미, 사람 인 : 어느 면으로 보..

번번이/번번히(番番이) ‘매번’

#1 번번이/번번히 #2 番番 번번(차례 번) ‘매번’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차례 번(番) 차례(order, turn) 번 (5급 해당) 番 자의 부수는 밭 전(田)이다. 글자를 쪼개보면, 삐침 별(丿) + 쌀 미(米) + 밭 전(田)으로 이루어졌다. 차례 번(番) 자는 밭(田) 위에 있는 쌀(米, 본래 쌀은 논농사로 짓지만 암기를 위해 밭에서도 쌀을 재배하였다고 생각하자)을 먹기 위해서는 ‘차례차례’(番) 순서를 기다려야 한다는 정도로 기억해두자. * 본래 분별할 변(釆)자가 따로 있기는 하다. 활용 ① 번외 (番外, 차례 번, 바깥 외 : 계획, 차례에 들어 있지 않은 것.) ‘나루토 번외편 연재 계획’ 활용 ② 단번 (單番, 홑 단, 차례 번 : 단 한 차례.) ‘단번에 억대 연봉으로 ..

기복염거(驥服鹽車) ‘천리마가 소금 수레를 끈다’

#1 기복염거 #2 驥服鹽車 기복염거(천리마 기, 옷 복, 소금 염, 수레 거) ‘천리마가 소금 수레를 끈다.’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옷 복(服) 옷 (cloth) 복 (5급 해당) 服 자의 부수는 글자 좌측의 달 월(月)이다. 좌측의 달 월(月)과 다스릴 복(𠬝)자의 결합으로 이루어졌다. 더 쪼개보면 다스릴 복(𠬝) 자는 병부 절(卩) 과 또 우(又)자의 결합이긴 하나, 다스릴 복(𠬝)자로 암기하여 글자에 익숙해지도록 하자. ‘달(月)이 뜬 밤에도 누군가를 다스리는(𠬝) 자는 옷(服)을 항상 입고 있어야 한다’는 정도로 기억해두자. 활용 ① 상명하복 (上命下服*, 윗 상, 목숨 명, 아래 하, 옷 복 : 윗사람의 명령에 아랫사람이 복종함.) * 옷 복(服)자는 옷 외에도 ‘좇다, 따르다’의..

물유본말 사유종시(物有本末 事有終始) ‘사물에는 근본과 끝이 있고 일에는 처음과 끝이 있음’

#1 물유본말 사유종시 #2 物有本末 事有終始 물유본말(물건 물, 있을 유, 근본 본, 끝 말) 사유종시(일 사, 있을 유, 마칠 종, 비로소 시) ‘사물에는 근본과 끝이 있으며, 일에는 처음과 끝이 있음.’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근본 본(本) 근본(root, basis) 본 (5급 해당) 本 자의 부수는 나무 목(木)이다. 나무 목(木)자와 하나 일(一)자의 결합이 근본 본(本)이다. 나무에 점을 하나 찍어 나무의 뿌리가 근본이다라는 뜻으로 글자가 형성되었다. 활용 ① 본말전도 (本末顚倒, 근본 본, 끝 말, 엎드러질 전, 넘어질 도 : 일의 처음과 나중이 뒤바뀜.) 활용 ② 수신제가, 치국지본 (修身齊家, 治國之本, 닦을 수, 몸 신, 가지런할 제, 집 가, 다스릴 치, 나라 국, 갈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