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문교육 110

무소불위(無所不爲) ‘하지 못하는 바가 없음’ & 무소불위 뜻, 무소불위 한자

#1 무소불위 뜻 #2 無所不爲 (없을 무, 바 소, 아닐 불, 할 위) ‘하지 못하는 바가 없음’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바 소(所) 바 (a way, a thing, what) 소 (7급 해당) 所자의 부수는 글자 좌측의 집 호(戶)자이다. 戶(집 호) + 도끼 근(斤)**의 결합으로 집에 도끼를 놓아두던 장소라는 의미로 기억해두자. 참고로 바 소(所)자는 여러 가지 의미를 갖는데 ‘~하는 바’라고 표현할 때 쓰여 어떠한 일의 방법이나 방도를 뜻하기도 하고, 어떠한 것, 어떠한 물체, 어떠한 지역 등을 뜻하는 의존명사*로 쓰이기도 한다. * 의존명사 ‘바’의 활용 예시 - 당신이 원하는 ‘바’를 내게 말해 보시오. - 도무지 어찌할 '바'를 몰라 손을 쓸 수 없었다. 한 근(斤) 한 근은 ..

소장파(少壯派) ‘단체 내에서 비교적 젊고 의기 왕성한 사람들이 모여 이룬 파’ & 소장파 뜻

#1 소장파 #2 少壯派 소장파(적을 소, 장할 장, 갈래 파) ‘어떤 단체 내에서 비교적 젊고 의기 왕성한 사람들이 모여 이룬 파(派)’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적을 소(少) 적을 (small, less) 소 (7급 해당) 少자의 부수는 작을 소(小)자이다. 작을 소(小)자와 삐침 별(丿)이 결합한 형태로 작은(小)* 물건의 일부분이 떨어져(丿)나가 적어졌다는 정도로 기억해두자. 작을 소(小)자는 (크기 등이) ‘작다’의 뜻을 갖고, 적을 소(少)자는 (양 등이) ‘적다’의 뜻을 가지는 것에 유의하자. 대동소이(大同小異) ‘크게 같고 작게 다름’ & 대동소이 뜻과 유래 #1 대동소이 #2 大同小異 (클 대, 한가지 동, 작을 소, 다를 이) ‘크게는 같고 작게는 다름’ #3 상용한자 1800..

일사천리(一瀉千里) ‘한번 쏟아져 단번에 천리를 감’ & 일사천리 뜻

#1 일사천리 뜻 #2 一瀉千里 일사천리(하나 일, 쏟을 사, 일천 천, 마을 리) ‘(강물이) 쏟아져 단번에 천리를 감’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마을 리(里) 마을 (village) 리 (7급 해당) 里자는 글자 자체로 부수를 이룬다. 글자를 쪼개보면 밭 전(田) + 흙 토(土)*의 형태로 밭과 토지가 있는 곳에 마을이 형성되었다는 정도로 기억해두자. 권토중래(捲土重來) ‘땅을 말아(흙먼지를 날리며) 다시 옴’ & 권토중래의 뜻, 유래 #1 권토중래의 뜻 #2 捲土重來 (말 권, 흙 토, 무거울/거듭 중, 올 래) ‘땅을 말아(흙먼지를 날리며) 다시 오다’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흙 토(土) 흙 (mud/ground) 토 (6급2/ 해당) 土자는 글자 자체 nmd-pws.tisto..

등고자비(登高自卑) ‘높은 곳에 오르려면 낮은 곳에서부터’ & 등고자비의 뜻, 등고자비 행원자이

#1 등고자비의 뜻 #2 登高自卑 등고자비(오를 등, 높을 고, 스스로 자, 낮을 비) ‘높은 곳에 오르려면 낮은 곳에서부터’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오를 등(登) 오를 (climb) 등 (7급 해당) 登자의 부수는 글자 꼭대기의 필발머리라 불리는 등질 발(癶)자이다. 필발머리는 ‘가다, 걷다’는 뜻으로 쓰인는데 두 발에 땀이 나게 걷는 모습을 떠올리면 된다. 오를 등자는 등질 발(癶)+콩 두(豆)*자의 결합으로 발(癶)에 땀이 나게 콩(豆)이 담긴 제기를 들고 제단에 오르는(登) 모습을 연상하여 기억해보자. 종과득과 종두득두 천망회회 소이불루 '오이씨를 심으면 오이를 얻고, 콩을 심으면 콩을 얻는다' #1 오이씨를 심으면 #2 種瓜得瓜 種豆得豆, 天網恢恢 疎而不漏/失 종과득과 종두득두(씨 종..

중구난방(衆口難防) ‘여러 사람의 입은(여러 사람이 말하는 것은) 막기 어려움’ & 중구난방 뜻과 유래

#1 중구난방 뜻 #2 衆口難防 중구난방(무리 중, 입 구, 어려울 난, 막을 방) ‘여러 사람의 입은 막기 어려움’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입 구(口) 입 (mouth) 후 (7급 해당) 口자는 글자 자체로 부수를 이룬다. 입을 뜻하는 입 구(口)자는 사람이 입을 크게 벌리고 있는 모양을 본 떠 만든 상형자이다. 활용 ① 황구첨정 (黃口簽丁, 누를 황, 입 구, 제비 첨, 고무래 정 : 조선말기 누런 입(젖먹이)를 군정에 올림) 황구첨정(黃口簽丁) ‘젖먹이를 군적에 올려 군포를 징수함’ 백골징포(白骨徵布) ‘죽은 사람 #1 황구첨정 백골징포 #2 黃口簽丁 白骨徵布 황구첨정(누를 황, 입 구, 제비 첨, 고무래 정) ‘젖먹이를 군적에 올려 군포를 징수함’ 백골징포(흰 백, 뼈 골, 부를 징, ..

후래삼배(後來三杯) ‘술자리에 늦게 온 이에게 권하는 석 잔의 술’ & 후래자삼배(後來者三盃)

#1 후래삼배 & 후래자삼배 #2 後來三杯 후래삼배(뒤 후, 올 래, 석 삼, 잔 배) 후래자삼배( 뒤 후, 올 래, 놈 자, 석 삼, 잔 배) ‘술자리에 늦게 온 이에게 권하는 석 잔의 술’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뒤 후(後) 뒤 (back) 후 (7급 해당) 後자의 부수는 조금 걸을 척(彳)자이다. 彳자는 다른 글자 좌측에서 부수로 쓰여 ‘두인변’이라 칭하는데, 해당 부수가 부수로 쓰이면 사람이 걷는 것과 관계가 있는 글자라고 생각하면 된다. 뒤 후(後)자는 彳(조금 걸을 척) + 작을 요(幺) + 뒤쳐져 올 치(夂)의 결합인바, 어른과 아이가 동행할 때, 어른은 조금 씩 걸으며(彳) 작은(幺) 아이들이 뒤쳐저서 오지는(夂) 않는지 자꾸 뒤(後)를 돌아본다는 정도로 그 의미를 기억해두자. ..

문외한(門外漢) ‘문 밖의 사람’ & 문외한 의미, 뜻, 한자, 유래

#1 문외한 의미 #2 門外漢 문외한(문 문, 바깥 외, 한수 한) ‘문 밖의 사람, 어떤 전문 분야의 지식이나 조예가 없는 사람’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한수 한(漢) 한수 (양자강 지류) 한 (7급 해당) 漢자의 부수는 글자 좌측의 삼수변이다. 물 수(水)자의 부수 변형인 삼수변(氵)과 진흙 근(堇)자의 변형이 합해진 형태이다. 중국 양자강의 지류 가운데 하나인 한수(漢水) 또는 한(漢)나라*를 의미하는 글자이다. 또한 사나이, 사람을 뜻하기도한다. * 중국의 한나라는 漢水(한수)를 끼고 있었으므로 국호를 漢(한)이라 함. 활용 ① 준마매태치한주 (駿馬每䭾痴漢走, 준마 준, 말 마, 매양 매, 짐 타, 어리석을 치, 한수 한, 달릴 주 : 준마는 항시 어리석은 자를 태우고 다님) 준마매태치..

안하무인(眼下無人) ‘눈 아래에 사람이 없음’ & 안하무인 뜻과 한자

#1 안하무인 뜻 #2 眼下無人 안하무인(눈 안, 아래 하, 없을 무, 사람 인) ‘눈 아래에 사람이 없음’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아래 하(下) 아래 (under, down) 하 (7급 해당) 下자의 부수는 하나 일(一)자이다. 평평한 땅(一)의 아래 (丶)를 나타내는 글자라 기억해두자. 비교하여 윗 상(上)자도 함께 익혀두자. 천상천하유아독존 뜻(天上天下唯我獨尊) ‘하늘 위 하늘 아래 오직 나 홀로 존귀하다’ #1 천상천하유아독존 #2 天上天下唯我獨尊 (하늘 천, 윗 상, 아래 하, 오직 유, 나 아, 홀로 독, 높을 존) ‘하늘 위, 하늘 아래 오직 나 홀로 존귀하다’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윗 상 윗 (up) 상 (7 nmd-pws.tistory.com * 윗 상(樂) & 천..

사필귀정(事必歸正) ‘(모든) 일은 결국 바른 길로 돌아감’ & 사필귀정 뜻과 한자

#1 사필귀정 뜻 #2 事必歸正 사필귀정(일 사, 반드시 필, 돌아갈 귀, 바를 정) ‘모든 일은 결국 바른 길로 돌아감’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바를 정(正) 바를 (right) 정 (7급 해당) 正자의 부수는 글자 아래의 그칠지(止)자이다. 하나 일(一) + 그칠 지(止)의 결합으로, 하나(一)뿐인 길 위에서 잠시 걸음을 그치고(止) 올바른(正) 삶에 대하여 다시 곰곰이 생각해본다는 정도로 기억해두자. 활용 ① 품행방정 (品行方正, 물건 품, 다닐 행, 모 방, 바를 정 : 품성과 행실이 바르고 단정함) 품행방정(品行方正) '품성과 행실이 바르고 단정함' #1 품성과 행실이 바르고 단정함 #2 品行方正 품행방정(물건 품, 다닐 행, 모 방, 바를 정)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물건..

전대미문(前代未聞) ‘지난 시대에는 들어본 적 없는’ & 전대미문 뜻

#1 전대미문 뜻 #2 前代未聞 (앞 전, 대신할 대, 아닐 미, 들을 문) ‘전의 세대, 지난 세대에서는 들어본 적 없는’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앞 전(前) 앞 (front) 전 (7급 해당) 前자의 부수는 칼 도(刀)자가 부수로 변형한 형태인 선칼도방(刂)이다. 초두머리 초(䒑)* + 달 월(月) + 선칼도방(刂)이 결합한 형태이다. 풀(䒑)을 달(月)이 뜬 밤에 칼(刂)로 벨 때에는 달빛이 밝은 달 앞(前)에서 베어야 한다는 정도로 기억해두고 여러번 써서 익숙해지도록 하자. * 풀 초(草)자가 다른 글자 상단에서 부수로 변형하면 초두머리 초(艸,䒑,艹,艹)이다. 활용 ① 전례 (前例, 앞 전, 법식 례 : 전에 있던 일) 전례(前例) ‘전의 사례’ ‘전례(前例)없는 일’ #1 전례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