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문교육 110

선즉제인(先則制人) ‘먼저 하면 상대를 제압할 수 있다’ & 선즉제인 뜻과 유래

#1 선즉제인 #2 先則制人 (먼저 선, 곧 즉, 억제할 제, 사람 인) ‘먼저하면(선수를 치면) 상대를 제압한다’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사람 인(人) 사람 (person) 인 (8급 해당) 人자는 글자 자체로 부수를 이룬다. 사람 인(人)자가 다른 글자의 좌측에서 부수로 쓰일 때는 사림인변(亻)의 형태로 변하게 된다. 활용 ① 의인물사 (疑人勿使, 의심할 의, 사람 인, 말 물, 하여금 사 : 의심스러운 사람은 부리지 말라) 의인물사 사인물의(疑人勿使 使人勿疑) ‘의심스러운 사람은 부리지 말고, 일단 사람을 부리면 #1 의인물사 사인물의 #2 疑人勿使 使人勿疑 의인물사(의심할 의, 사람 인, 말 물, 부릴 사) 사인물의(부릴 사, 사람 인, 말 물, 의심할 의) ‘의심가는 사람은 부리지 말..

형제투금(兄弟投金) ‘형제가 금을 (강에) 던짐’

#1 형제투금 #2 兄弟投金 (형 형, 아우 제, 던질 투, 쇠 금) ‘형제가 금을 던짐’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형 형(兄) 형 (brother) 형 (8급 해당) 兄자의 부수는 글자 아래의 어진사람인 발(儿)이다. 입 구(口)자와 어진사람인 발(儿)의 결합으로 입(口)으로 나에게 항상 옳은 말을 해주는 어진 사람(儿)은 바로 형이다라고 기억해두자. 활용 ① 난형난제 (難兄難弟, 어려울 난, 형 형, 어려울 난, 아우 제 : (누구를) 형이라 아우라 하기 어려움) 활용 ② 호형호제 (呼兄呼弟, 부를 호, 형 형, 부를 호, 아우 제 : (가까운 사이에서) 형이니 아우니 하고 부름) #4 형제투금 뜻과 유래 형제투금설화는 고려사와 신증동국여지승람 등에 실려있다. 그 중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

주초위왕(走肖爲王) ‘조(趙)씨 성을 가진 자가 왕이 된다’ & 주초위왕과 기묘사화

#1 주초위왕 #2 走肖爲王 (달릴 주, 닮을 초, 할 위, 임금 왕) ‘조(趙)씨 성을 가진 자가 왕이 됨'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임금 왕(王) 임금(king) 왕 (8급 해당) 王자는 천지인 즉, 하늘(一)과 땅(一) 그리고 사람(一)을 모두 꿰뚫어 (丨) 다스리는 지배자인 왕(王)을 뜻하는 글자이다. 참고로 임금 왕(王)자 위에 점 하나를 찍으면 주인 주(主)*자가 되거나 구슬 옥(玉)**자가 된다. 옹주(翁主) ‘왕의 후궁이 낳은 딸’ & 덕혜옹주(德惠翁主) #1 덕혜옹주 사진 #2 翁主 & 德惠翁主 옹주(늙은이 옹, 임금 주) ‘임금의 후궁 사이에서 태어난 왕녀.’ 덕혜옹주(덕 덕, 은혜 혜, 늙은이 옹, 임금 주) ‘조선왕조 최후의 황녀(1912~1989)’ #3 상용한 nmd-p..

오리무중(五里霧中) ‘다섯 리나 되는 (짙은) 안개 속’

#1 오리무중 #2 五里霧中 (다섯 오, 마을 리, 안개 무, 가운데 중) ‘오 리나 되는 (짙은) 안개 속’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다섯 오(五) 다섯 (five) 오 (6급2/ 해당) 五자의 부수는 두 이(二)자이다. 나뭇가지를 五와 같은 모양으로 5가지를 바닥에 깔아놓았다고 생각하고 기억하도록하자. 한 일(一)*, 두 이(二), 석 삼(三), 넉 사(四)**와 함께 익혀두자. 독서삼도(讀書三到) ‘(송나라의 주희가 주창한) 책을 읽을 때의 3가지 방법’ & 구도, 안도, 심도 #1 독서삼도 #2 讀書三到 독서삼도(읽을 독, 글 서, 석 삼, 이를 도) ‘독서의 3가지 법’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한 일(一)/ 두 이(二)/ 석 삼(三) 한/ 두/ 석 (one/two/three)..

석고대죄(席藁待罪) ‘거적을 깔고 (엎드려) 벌 주기를 기다림’ & 뜻과 유래

#1 석고대죄 뜻 #2 席藁待罪 (자리 석, 짚 고, 기다릴 대, 허물 죄) ‘거적을 깔고 죄에 대한 처분을 기다림’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허물 죄(罪) 허물 (error/fault) 죄 (4급 해당) 罪자의 부수는 그물망 망(罒)자이다. 그물망 망(罒)과 아닐 비(非)자의 결합으로 그물망(罒)에 가두는 자들은 마치 사람이 아닌(非)라 짐승과 같은 죄(罪)를 저지른 자들이다라는 정도로 기억해두자. 활용 ① 망국죄인 (亡國罪人, 망할 망, 나라 국, 허물 죄, 사람 인 : 나라를 망친/망하게 한 죄인) 활용 ② 죄중벌경 (罪重罰輕, 허물 죄, 무거울 중, 벌할 벌, 가벼울 경 : 죄는 무거우나 벌은 가벼움) 활용 ③ 백배사죄 (百拜謝罪, 일백 백, 절 배, 사례할 사, 허물 죄 : 백 번 절하..

조구지필대시(鳥久止必帶矢) ‘새도 한 곳에 오래 앉아 있으면 화살을 맞음’

#1 조구지필대시 #2 鳥久止必帶矢 (새 조, 오랠 구, 그칠지, 반드시 필, 띠 대, 화살 시) ‘새도 한 곳에 오르 그쳐 있으면 화살을 맞게 된다’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그칠 지(止) 그칠 (stop) 지 (4급 해당) 止자는 글자 자체로 부수를 이룬다. 갑골문상 상형자로 엄지발가락이 길게 뻗은 발을 묘사한 형태라고한다. 우리는 땅(一) 위에서 사람이 서서(丨) 목발(卜)같은 것을 짚고 서서 멈춰(止) 있는 모습을 떠올리며 여러번 쓰면서 익숙해지도록하자. 활용 ① 수욕정이풍부지 (樹欲靜而風不止, 나무 수, 하고자할 욕, 고요할 정, 말 이을 이, 바람 풍, 아닐 부, 그칠 지 : 나무는 조용히 있고자 하나 바람이 그치지 않음) 수욕정이풍부지(樹欲靜而風不止) 나무는 조용히 있고자 하나, 바..

부창부수(夫唱婦隨) ‘남편이 노래하면 아내가 따라 함’ & 부창부수 뜻과 유래

#1 부창부수 뜻 #2 夫唱婦隨 (지아비 부, 부를 창, 아내 부, 따를 수) ‘남편이 노래부르면 아내가 따름’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부를 창(唱) 부를 (call/sing) 창 (4급 해당) 唱자의 부수는 글자 좌측의 입 구(口)자이다. 입 구(口)자와 창성할 창(昌)*자의 결합으로입(口)으로 가장 창성하게(昌)할 수 있는 행위는 바로 노래를 부르는(唱) 행위이다라고 기억해두자. 벽창우(碧昌牛) ‘평북 벽동 및 창성 지방의 크고 억센 소, 미련하고 고집 센 사람을 비유하는 말 #1 벽창우 뜻 #2 碧昌牛 (푸를 벽, 창성할 창, 소 우) ‘평안북도 벽동 및 창성 지방의 크고 억센 소’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창성할 창(昌) 창성할 (prosper) 창 (2급 해당) 昌자의 부수는..

독직폭행(瀆職暴行) ‘인신구속 직무를 행하는 공무원이 폭행 또는 가혹행위를 한 때 성립하는 범죄’

#1 독직폭행 뜻 #2 瀆職暴行 (도랑/더럽힐 독, 직분 직, 사나울 폭, 다닐 행) ‘직책을 더럽혀 하는 폭행’ ‘인신구속 직무를 행하는 공무원이 폭행 또는 가혹행위를 하는 것을 의미’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다닐 행(行) 더할 (add) 가 (4급 해당) 加자의 부수는 글자 좌측의 힘 력(力)자이다. 힘 력(力)자와 입 구(口)자의 결합으로, 힘든 친구를 만나면 힘(力) 닿는 데까지 입으로도(口) 힘이 되는 말을 더하여(加) 준다는 의미로 기억해두자. 활용 ① 행유부득반구저기 (行有不得反求諸己, 다닐 행, 있을 유, 아닐 부, 얻을 득, 돌이킬 반, 구할 구, 모두 제(어조사 저), 몸 기 : 행하여 얻는 바가 없다면 오히려 자신에게서 원인을 찾음) 행유부득반구저기(行有不得反求諸己) ‘행하..

주마가편(走馬加鞭) ‘달리는 말에 채찍질을 하다’ & 주마가편의 뜻과 유래

#1 주마가편 #2 走馬加鞭 (달릴 주, 말 마, 더할 가, 채찍 편) ‘달리는 말에 채찍을 더하다(채찍질하다)’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더할 가(加) 더할 (add) 가 (4급 해당) 加자의 부수는 글자 좌측의 힘 력(力)자이다. 힘 력(力)자와 입 구(口)자의 결합으로, 힘든 친구를 만나면 힘(力) 닿는 데까지 입으로도(口) 힘이 되는 말을 더하여(加) 준다는 의미로 기억해두자. 활용 ① 설상가상 (雪上加霜, 눈 설, 윗 상, 더할 가, 서리 상 : 눈 위에 서리) 활용 ② 가야물감야물 (加也勿減也勿, 더할 가, 잇기 야, 말 물, 덜 감, 잇기 야, 말 물 : 더도말고 덜도 말라, 한가위의 풍성한 만족을 일컬음) #4 주마가편의 뜻 & 주마가편 유래 달리는 말에 채찍질을 한다는 뜻의 주마..

생사여탈권(生死與奪權) ‘죽이고 살릴 수 있는 권리’

#1 생사여탈 & 생사여탈권 #2 生死與奪 & 生死與奪權 (날 생, 죽을 사, 더불 여, 뺏을 탈, 권세 권) ‘(마음대로) 생사를 주거나 뺏을 수 있는 권리’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더불 여(與) 더불 (with/together) 여 (3급 해당) 與자의 부수는 절구 구(臼)자이다. 臼 + 与 + 一 + 八 등이 결합한 형태로 볼 수 있으나 무엇인가를 두 사람이 양 손으로 더불어서 함께 잡고 있는 형태로 생각하고 여러번 써서 익숙해지도록하자. 참고로 더불어(with)의 의미뿐만 아니라 ‘주다(give)’의 의미도 포함한다. 활용 ① 조수불가여동군 (鳥獸不可與同群, 새 조, 짐승 수, 아닐 부, 옳을 가, 더불 여, 한가지 동, 무리 군 : 새와 짐승과는 함께 더불어 살 수 없음) 활용 ② 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