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617

영주권(永住權) ‘영원히 살 수 있는 권리’ & 영주권과 시민권의 차이

#1 영주권 #2 永住權 영주권(길 영, 살 주,ㅗ 권세 권) ‘(외국인이 그 나라의 국적 취득 없이도) 그 나라에서 영원히 살 수 있는 권리’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살 주(住) 살 (live) 주 (7급 해당) 住자의 부수는 글자 좌측의 사림인변(亻)이다. 亻(사람인변, 人=亻) + 主(임금/주인 주)*의 결합으로 사람(亻)이 삶을 살아갈 때는 주인(主)의식을 갖고 주체적인 삶을 살아야(住) 한다는 정도로 기억해두자. 옹주(翁主) ‘왕의 후궁이 낳은 딸’ & 덕혜옹주(德惠翁主) #1 덕혜옹주 사진 #2 翁主 & 德惠翁主 옹주(늙은이 옹, 임금 주) ‘임금의 후궁 사이에서 태어난 왕녀.’ 덕혜옹주(덕 덕, 은혜 혜, 늙은이 옹, 임금 주) ‘조선왕조 최후의 황녀(1912~1989)’ #3 상..

비조(鼻祖) ‘어떤 일을 가장 먼저 시작한 사람을 비유하는 말’ & 비조 뜻

#1 비조 뜻 #2 鼻祖 비조(코 비, 조상 조) ‘어떤 일을 가장 먼저 시작한 사람을 비유하는 말’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조상 조(祖) 조상 (ancestor) 조 (7급 해당) 祖자의 부수는 글자 좌측의 보일 시(示)자이다. 示(보일 시) + 또 차(且)의 결합으로 눈에 보이지(示) 않지만 뒤에서 자꾸, 또(且) 나에게 도움을 주는 존재가 바로 조상(祖)이다라고 기억해두자. 차치(且置) 차치하다, 차치하고 '우선 내버려 두고' #1 차치하고, 우선 내버려 두고 #2 且*置 且置(또 차, 둘 치) '우선 내버려 두다' 또 차(且) 자는 '또, 또한'의 의미 이외에도 '우선' 의 의미도 있다.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또 차(且) 또(again) 차 (2 nmd-pws.tistory..

사주팔자(四柱八字) ‘4가지의 기둥, 8가지 글자’ & 천간과 지지

#1 사주팔자 #2 四柱八字 사주팔자(넉 사, 기둥 주, 여덟 팔, 글자 자) ‘4가지의 기둥, 8가지의 글자’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글자 자(字) 글자 (letter) 자 (7급 해당) 字자의 부수는 아들 자(子)자이다. 집 면(宀) 아래에 아들 자(子)*자를 결합하여 집(宀)에서 아들(子)을 키울 때는 글자(字)부터 알려주면서 가르친다라는 정도로 기억해두자. 사자후(師子吼) ‘사자의 울부짖음’ & 사자후 뜻과 유래 #1 사자후 뜻 #2 師子吼 (사자 사, 아들 자, 울부짖을 후) ‘사자의 (우렁찬) 울부짖음’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아들 자(子) 아들 (son) 자 (7급 해당) 子자는 글자 자체로 부수를 이룬다. 포대기에 nmd-pws.tistory.com * 아들 자(子) ..

선입견(先入見) ‘(실제 경험 보다 앞서서) 먼저 마음속에 들어와 형성된 견해나 관념’ & 선입견 뜻, 선입견과 편견

#1 선입견 뜻 #2 先入見 선입견(먼저 선, 들 입, 볼 견) ‘(실제 경험에 앞서) 먼저 마음속에 들어와 굳어진 견해나 관념’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들 입(入) 들 (enter) 입 (7급 해당) 入자는 글자 자체로 부수를 이룬다. 삼각형의 형태로 지은 집에 사람(人)이 머리를 숙이고 들어간다(入)는 정도로 기억해두자. 사람 인(人)*자와 구별하여 학습해두어야 한다. 선즉제인(先則制人) ‘먼저 하면 상대를 제압할 수 있다’ & 선즉제인 뜻과 유래 #1 선즉제인 #2 先則制人 (먼저 선, 곧 즉, 억제할 제, 사람 인) ‘먼저하면(선수를 치면) 상대를 제압한다’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사람 인(人) 사람 (person) 인 (8급 해당) 人자는 글자 자체로 부 nmd-pws.ti..

부생모육(父生母育) ‘아버지는 낳으시고 어머니는 기르심’

#1 부생모육 #2 父生母育 (아버지 부, 날 생 어머니 모, 기를 육) ‘아버지는 낳으시고 어머니는 기르심’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기를 육(育) 기를 (raise) 육 (7급 해당) 育자의 부수는 글자 아래의 육달월(月)이다. 글자를 쪼개보면 亠(돼지해머리 두) + 厶(사사 사) + 月(육달월)의 결합으로 볼 수도 있으나 암기에 편하도록, 아들 자(子)를 거꾸로 뒤집은 형태(아이가 엄마 뱃속에서 나올 때 머리부터 나오는 모습을 연상)와 육달월(月)의 결합으로 보아, 막 출산하여 머리부터 나온 아이를 고기를 먹여가며 기른다는 정도로 기억해두자. 활용 ① 육성 (育成, 기를 육, 이룰 성 : 가르쳐 기름) 활용 ② 육영공원 (育英公院, 기를 육, 꽃부리 영, 공평할 공, 집 원 : 조선 고종 ..

부자유친(父子有親) ‘아버지와 아들 사이에는 친함이 있음(있어야 함)’ & 부자유친 뜻, 삼강오륜

#1 부자유친 뜻 #2 父子有親 (아버지 부, 아들 자, 있을 유, 친할 친) ‘아비와 아들 사이에 친함이 있음’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있을 유(有) 있을 (exist) 유 (7급 해당) 有자의 부수는 달 월(月)자이다. 왼 좌(𠂇) + 달 월(月)의 형태로 왼손으로 달을 손에 쥘 듯이 달은 가까이에 있다(有)는 정도로 기억해두고 여러번 써서 익숙해지도록 하자. 활용 ① 삼인행필유아사 (三人行必有我師, 석 삼, 사람 인, 갈 행, 반드시 필, 있을 유, 나 아, 스승 사 : 세 사람이 길을 가면 반드시 나의 스승이 있음) 삼인행 필유아사(三人行必有我師) '세 명이 길을 가면 그 가운데 반드시 스승이 있다' #1 삼인행 필유아사_세 사람이 길을 걸으면 논어(論語) 술이편에 나오는 공자님의 말씀..

십간_갑을병정무기경신임계

사주명리 기초 중 기초라 할 수 있는 십간(十干)과 십이지(十二支)에 대해 알아보자. 십간과 십이지를 살피는 이유는 우리가 태어난 연월일시가 십간 십이지로 변환이 되며 십간십이지 글자를 조화롭게 해석하는 것이 사주명리의 핵(核)이기 때문이다. 10간은 갑을병정무기경신임계로 이루어진다. 사주팔자(四柱八字)의 윗줄에 배치가 된다. 십간은 윗줄에 배치되어 천간(天干)이라 부른다. 천간은 하늘의 기운인바 한 인간의 근본적인 성향, 기운, 방향성, 동력 등을 유추할 수 있게끔한다. 우리는 우선 십간 갑을병정무기경신임계의 각각 특징을 다음과 같은 분류로 살펴기로하자. 甲(갑) : 갑목(甲木) : 큰 나무, 소나무 : 양 乙(을) : 을목(乙木) : 작은 나무, 등나무 : 음 丙(병) : 병화(丙火) : 큰 불, 태..

사주명리 2023.01.25

세한연후지송백지후조(歲寒然後知松柏之後凋) ‘날씨가 추운 후에야 소나무와 잣나무가 늦게 시드는 것을 앎’ & 세한연후지송백지후조야 논어

#1 세한연후지송백지후조 #2 歲寒然後知松柏之後凋 (해 세, 찰 한, 그럴 연, 뒤 후, 알지, 소나무 송, 잣나무 백, 뒤 후, 시들 조) ‘날이 추운 후에야 송백이 늦게 시듦을 앎’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그럴 연(然) 그럴 (like that) 연 (7급 해당) 然자의 부수는 글자 아래의 연화발 화(灬, 불 화(火)의 부수 변형)이다. 글자를 쪼개어 보면 육달월(月)* + 개 견(犬) + 연화발 화(灬)**로 이루어졌다. 개(犬) 고기(月)는 불(灬)에 구워 먹어야 함이 당연하다(然)는 정도로 기억해두자. 옛날에는 개를 식용으로 구워 먹었다고 기억만해두자. * 고기 육(肉) 자가 다른 글자에서 부수로 변형하면 육달월(月)의 형태가 됨 ** 불 화(火)자가 다른 글자 아래에서 부수로 변형하..

어불성설(語不成說) ‘말이 (이치에 맞지 않아) 말이 되지 않음’ & 어불성설 뜻

#1 어불성설 뜻 #2 語不成說 (말씀 어, 아닐 불, 이룰 성, 말씀 설) ‘말이 (이치에 맞지 않아) 말을 이루지 못함, 말이 되지 않음’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말씀 어(語) 말씀 (talk, words) 어 (7급 해당) 語자의 부수는 글자 좌측의 말씀 언(言)*자이다. 言(말씀 언) + 吾(나 오) 자의 결합으로 말(言)은 말인데 혼잣말이 아닌 나(吾)와 상대방이 나누는 말이다라고 기억해두자. 언어도단(言語道斷) '언어의 길이 끊어지다' #1 언어도단 #2 言語道斷 언어도단(말씀 언, 말씀 어, 길 도, 끊을 단) ‘언어의 길이 끊어짐’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말씀 언(言) 말씀(words, tell) 언 (5급 해당) 言 자는 글자 그대로 부수를 이룬 nmd-pws.tis..

권모술수(權謀術數) ‘권세와 모략 등 갖은 방법과 수단을 동원하는 술책’ & 권모술수 뜻

#1 권모술수 뜻 #2 權謀術數 (권세 권, 꾀 모, 재주 술, 셈 수) ‘권세, 중상모략 등 갖가지 방법과 수단을 동원하는 술책’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셈 수(數) 셈 (counting, calculation) 수 (7급 해당) 數자의 부수는 글자 우측의 칠 복(=등글월문, 攴=攵)자이다. 글자 모양이 다소 복잡해 보이니 의미를 간단히 만들어 두고 여러번 써서 익숙해지도록하자. 여자(女)의 머리 위로 거듭 쌓아올린 소쿠리의 개수를 막대기(攵)로 가리키며 하나 둘 센다(數)는 의미로 기억해두자. 추가로 셈 수(數)자는 ‘자주 삭’이라는 의미로도 사용된다. 신기묘산(神機妙算) '신이 행하는 듯한 신묘한 계책' #1 신묘한 계책 #2 神機妙算 신기묘산(귀신 신, 틀 기, 묘할 묘, 셈 산) '신..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