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617

무소불위(無所不爲) ‘하지 못하는 바가 없음’ & 무소불위 뜻, 무소불위 한자

#1 무소불위 뜻 #2 無所不爲 (없을 무, 바 소, 아닐 불, 할 위) ‘하지 못하는 바가 없음’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바 소(所) 바 (a way, a thing, what) 소 (7급 해당) 所자의 부수는 글자 좌측의 집 호(戶)자이다. 戶(집 호) + 도끼 근(斤)**의 결합으로 집에 도끼를 놓아두던 장소라는 의미로 기억해두자. 참고로 바 소(所)자는 여러 가지 의미를 갖는데 ‘~하는 바’라고 표현할 때 쓰여 어떠한 일의 방법이나 방도를 뜻하기도 하고, 어떠한 것, 어떠한 물체, 어떠한 지역 등을 뜻하는 의존명사*로 쓰이기도 한다. * 의존명사 ‘바’의 활용 예시 - 당신이 원하는 ‘바’를 내게 말해 보시오. - 도무지 어찌할 '바'를 몰라 손을 쓸 수 없었다. 한 근(斤) 한 근은 ..

소장파(少壯派) ‘단체 내에서 비교적 젊고 의기 왕성한 사람들이 모여 이룬 파’ & 소장파 뜻

#1 소장파 #2 少壯派 소장파(적을 소, 장할 장, 갈래 파) ‘어떤 단체 내에서 비교적 젊고 의기 왕성한 사람들이 모여 이룬 파(派)’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적을 소(少) 적을 (small, less) 소 (7급 해당) 少자의 부수는 작을 소(小)자이다. 작을 소(小)자와 삐침 별(丿)이 결합한 형태로 작은(小)* 물건의 일부분이 떨어져(丿)나가 적어졌다는 정도로 기억해두자. 작을 소(小)자는 (크기 등이) ‘작다’의 뜻을 갖고, 적을 소(少)자는 (양 등이) ‘적다’의 뜻을 가지는 것에 유의하자. 대동소이(大同小異) ‘크게 같고 작게 다름’ & 대동소이 뜻과 유래 #1 대동소이 #2 大同小異 (클 대, 한가지 동, 작을 소, 다를 이) ‘크게는 같고 작게는 다름’ #3 상용한자 1800..

일벌백계(復命復唱) ‘한 사람을 벌주어 백 사람을 경계하게 함’ & 일벌백계 뜻

#1 일벌백계 뜻 #2 一罰百戒 일벌백계(하나 일, 벌할 벌, 일백 백, 경계할 계) ‘한 사람을 벌주어 백 사람을 경계하게 함’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일백 백(百) 일백 (one hundred) 백 (7급 해당) 百자의 부수는 흰 백(白)자이다. 하나 일(一)과 흰 백(白)*자가 결합한 형태이다. 갑골문상으로 지붕에 매달려 있는 말벌집을 그린 것으로 보는 견해가 있다고 한다. 따라서 천정에 매달린 백 마리의 말벌이 들어 있는 말벌집을 이미지화하여 기억해보자. 또는 한(一)사람이 백명을 감당하려면(일당백, 一當百) 머리가 하얀 백발의(白) 마법사정도여야 한다고 기억해도 좋다. 심청사백수 언중학청산(心淸師白水 言重學靑山) ‘마음의 맑음은 흰 물을 스승 삼고, 말의 신중 #1 심청사백수 언중학청..

사주팔자(四柱八字)를 보는 이유 & 사주명리

세간에서 흔히들 말하는 사주팔자(四柱八字) 내 미래가 어떤 방향으로 흘러갈지 도무지 종잡을 수가 없거나 내가 가고 있는 길에 대한 확신이 서지 않을 때 우리는 사주팔자를 보러 간다. 도대체 나는 어떠한 운명을 갖고 태어난 걸까? 정해진 운명이 있다고 한다면, 그 운명을 미리 알고 싶어하는 것은 당연할 지도 모른다. 내가 사주를 공부하는 것 또한 나의 운명이 어떠한 식으로 흘러갈지 그 궁금증에 대한 해갈(解渴) 시도이다. 앞으로 세간에서 말하는 사주팔자(四柱八字) 정확히 말하면 사주명리(四柱命理)를 기본부터 찬찬히 공부해 내 운명의 촛대를 밝혀보기로 한다.

사주명리 2023.01.15

복명복창(復命復唱) ‘명 받은 바를 (그 자리에서) 되풀이하여 말함’ & 복명복창 뜻과 한자

#1 복명복창 #2 復命復唱 복명복창(회복할 복, 목숨 명, 회복할 복, 부를 창) ‘명령받은 바를 되풀이하여 다시 말함’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목숨 명(命) 목숨 (life) 명 (7급 해당) 命자의 부수는 입 구(口)자이다. 口(입 구) + 令(하여금 령)자의 결합으로 보아 윗 사람이 입(口)으로 밑에 사람으로 하여금(令) 무언가를 하게끔 하면 목숨(命)처럼 명을 받들어 수행한다는 정도로 기억해두자. 조령모개/조령석개(朝令暮改/朝令夕改) ‘아침에 명하고 저녁에 다시 바꿈’ #1 조령모개, 조령석개 #2 朝令暮改/朝令夕改 조령모개/조령석개(아침 조, 하여금 령, 저물 모/저녁 석, 고칠 개) ‘아침에 명령하고 저녁에 (다시) 바꿈’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하여금 령(令) nmd-..

주지육림(酒池肉林) ‘술 연못, 고기 숲’ & 주지육림의 유래

#1 주지육림 #2 酒池肉林 주지육림(술 주, 못 지, 고기 육, 수풀 림) ‘술 연못, 고기 숲’ 즉, 술이 연못을 이루고 고기가 수풀을 이룸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수풀 림(林) 수풀 (wood) 림 (7급 해당) 林자의 부수는 나무 목(木)자이다. 나무 목(木)자 2개가 겹쳐진 형태로 나무 많은 곳을 수풀이라 부른다고 기억해두자. 참고로 후에 배우겠지만 나무 목(木)자가 3개가 겹쳐지면 빽빽할 삼(森)자가 된다. 합포지목 생어호말(合抱之木 生於毫末) ‘아름드리 나무도 털끝(같은 씨앗)에서 나온다’ & 구층 #1 합포지목 생어호말 #2 合抱之木 生於毫末 (합할 합, 안을 포, 갈 지, 나무 목, 날 생, 어조사 어, 터럭 호, 끝 말) ‘한아름 되는 나무도 터럭 끝(씨앗)에서 나온다’ #3..

일사천리(一瀉千里) ‘한번 쏟아져 단번에 천리를 감’ & 일사천리 뜻

#1 일사천리 뜻 #2 一瀉千里 일사천리(하나 일, 쏟을 사, 일천 천, 마을 리) ‘(강물이) 쏟아져 단번에 천리를 감’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마을 리(里) 마을 (village) 리 (7급 해당) 里자는 글자 자체로 부수를 이룬다. 글자를 쪼개보면 밭 전(田) + 흙 토(土)*의 형태로 밭과 토지가 있는 곳에 마을이 형성되었다는 정도로 기억해두자. 권토중래(捲土重來) ‘땅을 말아(흙먼지를 날리며) 다시 옴’ & 권토중래의 뜻, 유래 #1 권토중래의 뜻 #2 捲土重來 (말 권, 흙 토, 무거울/거듭 중, 올 래) ‘땅을 말아(흙먼지를 날리며) 다시 오다’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흙 토(土) 흙 (mud/ground) 토 (6급2/ 해당) 土자는 글자 자체 nmd-pws.tisto..

등고자비(登高自卑) ‘높은 곳에 오르려면 낮은 곳에서부터’ & 등고자비의 뜻, 등고자비 행원자이

#1 등고자비의 뜻 #2 登高自卑 등고자비(오를 등, 높을 고, 스스로 자, 낮을 비) ‘높은 곳에 오르려면 낮은 곳에서부터’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오를 등(登) 오를 (climb) 등 (7급 해당) 登자의 부수는 글자 꼭대기의 필발머리라 불리는 등질 발(癶)자이다. 필발머리는 ‘가다, 걷다’는 뜻으로 쓰인는데 두 발에 땀이 나게 걷는 모습을 떠올리면 된다. 오를 등자는 등질 발(癶)+콩 두(豆)*자의 결합으로 발(癶)에 땀이 나게 콩(豆)이 담긴 제기를 들고 제단에 오르는(登) 모습을 연상하여 기억해보자. 종과득과 종두득두 천망회회 소이불루 '오이씨를 심으면 오이를 얻고, 콩을 심으면 콩을 얻는다' #1 오이씨를 심으면 #2 種瓜得瓜 種豆得豆, 天網恢恢 疎而不漏/失 종과득과 종두득두(씨 종..

태극기(太極旗) ‘우리나라의 국기’ & 태극기 의미, 태극기 건곤감리 feat. 주역

#1 태극기 의미 #2 太極旗 태극기(클 태, 극진할 극, 깃발 기) ‘우리나라의 국기’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기 기(旗) 깃발 (flag) 기 (7급 해당) 旗자의 부수는 글자 좌측의 모 방(方)*자이다. 方(모 방)* + 사람 인자를 가로로 눕힌 형태(𠂉) + 其(그 기)** 자가 합해진 글자로, 이쪽 방향(方)에서 불어오는 바람은 그(其)쪽에 서 있는 사람을 눕힐만큼(𠂉) 센데, 바람의 세기를 측정할 때 깃발(旗)이 휘날리는 정도로 측정을 한다라고 기억해두자. 또는 그(其) 사람이 누워있는(𠂉) 있는 방향(方) 바람이 불고 깃발(旗)이 휘날린다라고 기억해도 좋다. 유필유방(遊必有方) ‘멀리 갈 때에는 필히 그 행방을 알려야 한다’ #1 유필유방 #2 遊必有方 (놀 유, 반드시 필, 있을..

중구난방(衆口難防) ‘여러 사람의 입은(여러 사람이 말하는 것은) 막기 어려움’ & 중구난방 뜻과 유래

#1 중구난방 뜻 #2 衆口難防 중구난방(무리 중, 입 구, 어려울 난, 막을 방) ‘여러 사람의 입은 막기 어려움’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입 구(口) 입 (mouth) 후 (7급 해당) 口자는 글자 자체로 부수를 이룬다. 입을 뜻하는 입 구(口)자는 사람이 입을 크게 벌리고 있는 모양을 본 떠 만든 상형자이다. 활용 ① 황구첨정 (黃口簽丁, 누를 황, 입 구, 제비 첨, 고무래 정 : 조선말기 누런 입(젖먹이)를 군정에 올림) 황구첨정(黃口簽丁) ‘젖먹이를 군적에 올려 군포를 징수함’ 백골징포(白骨徵布) ‘죽은 사람 #1 황구첨정 백골징포 #2 黃口簽丁 白骨徵布 황구첨정(누를 황, 입 구, 제비 첨, 고무래 정) ‘젖먹이를 군적에 올려 군포를 징수함’ 백골징포(흰 백, 뼈 골, 부를 징,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