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617

후래삼배(後來三杯) ‘술자리에 늦게 온 이에게 권하는 석 잔의 술’ & 후래자삼배(後來者三盃)

#1 후래삼배 & 후래자삼배 #2 後來三杯 후래삼배(뒤 후, 올 래, 석 삼, 잔 배) 후래자삼배( 뒤 후, 올 래, 놈 자, 석 삼, 잔 배) ‘술자리에 늦게 온 이에게 권하는 석 잔의 술’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뒤 후(後) 뒤 (back) 후 (7급 해당) 後자의 부수는 조금 걸을 척(彳)자이다. 彳자는 다른 글자 좌측에서 부수로 쓰여 ‘두인변’이라 칭하는데, 해당 부수가 부수로 쓰이면 사람이 걷는 것과 관계가 있는 글자라고 생각하면 된다. 뒤 후(後)자는 彳(조금 걸을 척) + 작을 요(幺) + 뒤쳐져 올 치(夂)의 결합인바, 어른과 아이가 동행할 때, 어른은 조금 씩 걸으며(彳) 작은(幺) 아이들이 뒤쳐저서 오지는(夂) 않는지 자꾸 뒤(後)를 돌아본다는 정도로 그 의미를 기억해두자. ..

문외한(門外漢) ‘문 밖의 사람’ & 문외한 의미, 뜻, 한자, 유래

#1 문외한 의미 #2 門外漢 문외한(문 문, 바깥 외, 한수 한) ‘문 밖의 사람, 어떤 전문 분야의 지식이나 조예가 없는 사람’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한수 한(漢) 한수 (양자강 지류) 한 (7급 해당) 漢자의 부수는 글자 좌측의 삼수변이다. 물 수(水)자의 부수 변형인 삼수변(氵)과 진흙 근(堇)자의 변형이 합해진 형태이다. 중국 양자강의 지류 가운데 하나인 한수(漢水) 또는 한(漢)나라*를 의미하는 글자이다. 또한 사나이, 사람을 뜻하기도한다. * 중국의 한나라는 漢水(한수)를 끼고 있었으므로 국호를 漢(한)이라 함. 활용 ① 준마매태치한주 (駿馬每䭾痴漢走, 준마 준, 말 마, 매양 매, 짐 타, 어리석을 치, 한수 한, 달릴 주 : 준마는 항시 어리석은 자를 태우고 다님) 준마매태치..

안하무인(眼下無人) ‘눈 아래에 사람이 없음’ & 안하무인 뜻과 한자

#1 안하무인 뜻 #2 眼下無人 안하무인(눈 안, 아래 하, 없을 무, 사람 인) ‘눈 아래에 사람이 없음’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아래 하(下) 아래 (under, down) 하 (7급 해당) 下자의 부수는 하나 일(一)자이다. 평평한 땅(一)의 아래 (丶)를 나타내는 글자라 기억해두자. 비교하여 윗 상(上)자도 함께 익혀두자. 천상천하유아독존 뜻(天上天下唯我獨尊) ‘하늘 위 하늘 아래 오직 나 홀로 존귀하다’ #1 천상천하유아독존 #2 天上天下唯我獨尊 (하늘 천, 윗 상, 아래 하, 오직 유, 나 아, 홀로 독, 높을 존) ‘하늘 위, 하늘 아래 오직 나 홀로 존귀하다’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윗 상 윗 (up) 상 (7 nmd-pws.tistory.com * 윗 상(樂) & 천..

계묘년(癸卯年) ‘60간지 중 40번째’ & 2023년 띠, 2023년 해, 2023년 무슨띠 무슨해

#1 2023년은 무슨 해 #2 癸卯年 계묘년(북방/열째 천간 계, 토끼/넷째 지지 묘) ‘60간지 중 40번째로, 검은 토끼의 해’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토끼 묘(卯) 토끼 (rabbit) 묘 (2급 해당) 卯자의 부수는 글자 우측의 병부 절(卩)이다. 해당 한자는 토끼 또는 넷째 지지를 의미한다. 부수로 쓰인 병부절(卩)은 글자의 뜻과 관계가 없다고 생각하면 된다. 卯 자의 형태가 양쪽 문을 활짝 열고 놓고 토끼몰이를 하는 모습을 형상화했다고 기억해두자. 활용 ① 정묘호란 (丁卯胡亂, 고무래 정, 토끼 묘, 오랑캐 호, 어지러울 란 : 1627년 인조 5년 후금의 침입으로 일어난 후금과 조선 사이의 전쟁) 활용 ② 기묘사화 (己卯士禍, 몸 기, 토끼 묘, 선비 사, 재앙 화 : 1519년..

좌지우지(左之右之) ‘왼쪽으로 돌렸다 오른쪽으로 돌렸다 하다’ & 좌지우지하다

#1 좌지우지 #2 左之右之 좌지우지(왼 좌, 갈 지, 오른 우) ‘왼쪽으로 돌렸다 오른쪽으로 돌렸다하며 (제 마음대로 다루거나 휘두름)’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왼 좌(左) 왼 (left) 좌 (7급 해당) 左자의 부수는 장인 공(工)자이다. ‘𠂇 + 工’의 형태로 장인(工)은 오른손뿐만 아니라 왼손으로도 무언가를 만들 수 있을 정도의 실력자다라고 기억해두자. 오른 우(右)자와 비교하여 익혀두자. * 𠂇 + 工 -> 왼 좌 / 𠂇 + 口 -> 오른 우 좌고우면(左顧右眄) ‘왼쪽 오른쪽을 이리저리 돌아봄’ & 좌고우면 뜻, 좌고우면 유래 #1 좌고우면 뜻 #2 左顧右眄 좌고우면(왼 좌, 돌아볼 고, 오른 우, 곁눈질할 면) ‘왼쪽을 돌아보고 오른쪽을 살펴봄’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

사필귀정(事必歸正) ‘(모든) 일은 결국 바른 길로 돌아감’ & 사필귀정 뜻과 한자

#1 사필귀정 뜻 #2 事必歸正 사필귀정(일 사, 반드시 필, 돌아갈 귀, 바를 정) ‘모든 일은 결국 바른 길로 돌아감’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바를 정(正) 바를 (right) 정 (7급 해당) 正자의 부수는 글자 아래의 그칠지(止)자이다. 하나 일(一) + 그칠 지(止)의 결합으로, 하나(一)뿐인 길 위에서 잠시 걸음을 그치고(止) 올바른(正) 삶에 대하여 다시 곰곰이 생각해본다는 정도로 기억해두자. 활용 ① 품행방정 (品行方正, 물건 품, 다닐 행, 모 방, 바를 정 : 품성과 행실이 바르고 단정함) 품행방정(品行方正) '품성과 행실이 바르고 단정함' #1 품성과 행실이 바르고 단정함 #2 品行方正 품행방정(물건 품, 다닐 행, 모 방, 바를 정)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물건..

전대미문(前代未聞) ‘지난 시대에는 들어본 적 없는’ & 전대미문 뜻

#1 전대미문 뜻 #2 前代未聞 (앞 전, 대신할 대, 아닐 미, 들을 문) ‘전의 세대, 지난 세대에서는 들어본 적 없는’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앞 전(前) 앞 (front) 전 (7급 해당) 前자의 부수는 칼 도(刀)자가 부수로 변형한 형태인 선칼도방(刂)이다. 초두머리 초(䒑)* + 달 월(月) + 선칼도방(刂)이 결합한 형태이다. 풀(䒑)을 달(月)이 뜬 밤에 칼(刂)로 벨 때에는 달빛이 밝은 달 앞(前)에서 베어야 한다는 정도로 기억해두고 여러번 써서 익숙해지도록 하자. * 풀 초(草)자가 다른 글자 상단에서 부수로 변형하면 초두머리 초(艸,䒑,艹,艹)이다. 활용 ① 전례 (前例, 앞 전, 법식 례 : 전에 있던 일) 전례(前例) ‘전의 사례’ ‘전례(前例)없는 일’ #1 전례 #2..

전천후(全天候) ‘모든 날씨, 어떠한 날씨에도 제 기능을 다 하는’ & 전천후 뜻

#1 전천후 뜻 #2 全天候 (온전할 전, 하늘 천, 기후 후) ‘모든(어떠한) 날씨 (에도 제 기능을 다 하는)’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온전할 전(全) 온전할 (perfect) 전 (7급 해당) 全자의 부수는 들 입(入)자이다. 들 입(入) + 임금 왕(王)자의 결합으로 ‘왕(王)을 뵈러 궁궐에 들어갈(入) 때에는 의관을 갖춰입고 온전한(全) 상태로 들어가야 한다’ 라고 기억해두자. 활용 ① 식음전폐 (食飮全廢, 먹을 식, 마실 음, 온전할 전, 폐할 폐 : 먹고 마시는 것을 온전히 끊음) 식음전폐(食飮全廢) ‘먹고 마시는 것을 온전히 끊음’ & 식음전폐 뜻 #1 식음전폐 #2 食飮全廢 식음전폐(먹을 식, 마실 음, 온전할 전, 폐할 폐) ‘먹고 마시는 것을 완전히 끊음’ #3 상용한자 1..

사자후(師子吼) ‘사자의 울부짖음’ & 사자후 뜻과 유래

#1 사자후 뜻 #2 師子吼 (사자 사, 아들 자, 울부짖을 후) ‘사자의 (우렁찬) 울부짖음’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아들 자(子) 아들 (son) 자 (7급 해당) 子자는 글자 자체로 부수를 이룬다. 포대기에 쌓여 있는 아기 또는 두 팔을 벌리고 있는 아기의 모습을 형상화한 상형문자이다. 활용 ① 군자대로행 (君子大路行, 군자 군, 아들 자, 큰 대, 길 로, 갈 행 : 군자는 큰 길로 간다) 군자대로행(君子大路行) ‘군자는 큰 길을 택해서 간다’ & 행불유경 #1 군자대로행 #2 君子大路行 (임금 군, 아들 자, 클 대, 길 로, 다닐 행) ‘군자는 큰 길로 간다’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큰/클 대(大) 큰 (big) 대 (6급2/ 해당) 大자는 글자 자체로 부수를 이룬다. n..

좌고우면(左顧右眄) ‘왼쪽 오른쪽을 이리저리 돌아봄’ & 좌고우면 뜻, 좌고우면 유래

#1 좌고우면 뜻 #2 左顧右眄 좌고우면(왼 좌, 돌아볼 고, 오른 우, 곁눈질할 면) ‘왼쪽을 돌아보고 오른쪽을 살펴봄’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오른 우(右) 오른 (right) 우 (7급 해당) 右자의 부수는 입 구(口)자이다. 입 ‘𠂇 + 口(입 구)’의 형태로 입(口)으로 밥을 먹을 때는 오른손을 사용한다라고 기억해두면 된다. 반대로 왼 좌(左)자는 ‘𠂇 + 工(장인 공)’의 형태로 장인(工)은 오른손뿐만 아니라 왼손으로도 무언가를 만들 수 있는 정도의 실력자다 라고 비교하여 기억하며 여러번 써보자. 활용 ① 좌우명 (座右銘, 자리 좌, 오른 우 새길 명 : 자리 옆에 새겨 두고 자신을 경계하는 말) 활용 ② 좌포우혜 (左脯右醯, 왼 좌, 포 포, 오른 우, 식혜 혜 : 제사상 차리는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