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중구난방 뜻
#2 衆口難防
중구난방(무리 중, 입 구, 어려울 난, 막을 방)
‘여러 사람의 입은 막기 어려움’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입 구(口)
입 (mouth) 후 (7급 해당)
口자는 글자 자체로 부수를 이룬다. 입을 뜻하는 입 구(口)자는 사람이 입을 크게 벌리고 있는 모양을 본 떠 만든 상형자이다.
활용 ① 황구첨정 (黃口簽丁, 누를 황, 입 구, 제비 첨, 고무래 정 : 조선말기 누런 입(젖먹이)를 군정에 올림)
* 누를 황(藥) & 황구첨정 참고
활용 ② 구상유취 (口尙乳臭, 입 구, 오히려 상, 젖 유, 냄새 취 : 입에서 아직 젖비린내가 남)
* 오히려 상(景) & 구상유취 참고
활용 ③ 양약고어구 (良藥苦於口, 어질 량, 약 약, 쓸 고, 어조사 어, 입 구 : 좋은 약은 입에 쓰다)
* 어질 량(質) & 양약고어구 참고
활용 ④ 구중생형극 (口中生荊棘, 입 구, 가운데 중, 날 생, 가시나무 형, 가시 극 : 입 안에 가시가 돋음)
* 글 서(樂) & 일일부독서 구중생형극(君子三樂) 참고
4 중구난방 유래
중구난방 뜻
중구난방(衆口難防)이란
여러 사람의 입은 막기가 힘들다는 뜻이다.
한 사람이 말을 하는 것은 막기가 쉬울 수도 있겠으나
여러 사람이 여기저기서 동시에 말을 한다면
막기가 정말 어렵다는 뜻으로
여러 사람이 되는대로 마구 지껄이는 상황을 비유할 때 사용된다.
중구난방 유래
중구난방이라는 말은
중국 역사서 십팔사략(十八史略)에서 유래한다.
주나라의 10대 여왕은 상당한 폭군이었는데
어느날 신하들에게 질문을 했다고 한다.
“세상에 날 욕하는 사람이 없으니,
이는 내가 정치를 잘하고 있다는 증거이지 않느냐?“
이에 아무도 대답을 못하고 있는데
오직 소공이라는 자가 여왕에게 충언을 했다고한다.
“防民之言 甚於防川”
"백성들의 입을 막음은 개천을 막기보다 어렵습니다.
개천이 막혔다 터지면 사람이 상하는바 백성도 이와 같습니다.
그러니 내를 막는 사람은 물이 흐르도록 해야하고,
백성을 통치하는 자는 그들이 생각하는바 대로 말하게 해야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충언에도 불구
여왕은 백성을 탄압하였고
결국 반란을 당해 여왕의 자리에서 내려오게 된다.
#5 상용한자와 삶의 지혜 전자책 정리본
'상용한자 1800자 _ 삶의 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등고자비(登高自卑) ‘높은 곳에 오르려면 낮은 곳에서부터’ & 등고자비의 뜻, 등고자비 행원자이 (1) | 2023.01.13 |
---|---|
태극기(太極旗) ‘우리나라의 국기’ & 태극기 의미, 태극기 건곤감리 feat. 주역 (1) | 2023.01.11 |
후래삼배(後來三杯) ‘술자리에 늦게 온 이에게 권하는 석 잔의 술’ & 후래자삼배(後來者三盃) (1) | 2023.01.09 |
문외한(門外漢) ‘문 밖의 사람’ & 문외한 의미, 뜻, 한자, 유래 (2) | 2023.01.02 |
안하무인(眼下無人) ‘눈 아래에 사람이 없음’ & 안하무인 뜻과 한자 (0) | 2023.0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