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격물치지 성의정심

#2 格物致知 誠意正心
격물치지(격식 격, 물건 물, 이를 치, 알 지)
‘사물의 이치를 궁구하여 지식을 확고히 함’
성의정심(정성 성, 뜻 의, 바를 정, 마음 심)
‘뜻을 성실히 하고 마음을 바르게 함’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알 지(知)
알(KNOW) 지 (4급 해당)
知의 부수는 글자 좌측의 화살 시(矢)*자이다. 화살 시(矢)자와 입 구(口)자의 결합으로, (아는 것이 너무 많아) 화살(矢)이 날아가는 속도처럼 말(口)을 빨리 할 수 있는 정도로 아는(知) 것이 많다는 정도로 기억해두자.
효시(嚆矢) '우는 살, 사물의 시초'
#1 효시 #2 嚆矢 효시(울릴 효, 화살 시) ‘우는 살, 어떤 사물의 시작, 시초’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화살 시(矢) 화살(arrow) 시 (2급 해당) 矢자는 글자 자체로 부수를 이룬다. 글자 자체로 부
nmd-pws.tistory.com
* 화살 시(矢) & 효시(嚆矢) 학습 참고
활용 ① 지음 (知音, 알 지, 소리 음 : (거문고) 소리를 듣고 앎, 속마음을 알아주는 친구)
지음(知音) '소리를 듣고 앎, 나를 알아주는 친구'
#1 나를 알아주는 친구 #2 知音 지음(알 지, 소리 음) '소리를 듣고 앎, 나를 알아주는 친구'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소리 음(音) 音 자는 글자 자체로 부수이다. 그러나 기억에 쉽도록 쪼개어 보
nmd-pws.tistory.com
* 소리 음(音) & 지음(知音) 학습 참고
활용 ② 곤이지지 (困而知之, 곤할 곤, 말 이을 이, 알지, 갈 지 : 고생하며 공부한 끝에 얻은 지식)
곤이지지(困而學之) '고생하며 배운 지식' & 생이지지 곤이지지 학이지지
#1 곤이지지_고생하며 배운 지식 #2 困而知之 곤이지지(곤할 곤, 말이을 이, 알 지, 어조사 지) *줄여서 곤지(困知)라 한다.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곤할 곤(困) 困 에서 부수는 큰 입구 몸(囗)이
nmd-pws.tistory.com
* 곤할 곤(困) & 생이지지 학이지지 곤이지지 학습 참고
활용 ③ 지피지기 백전불태 (知彼知己 百戰不殆, 알지, 저 피, 몸 기, 일백 백, 싸움 전, 아닐 부, 거의 태 : 상대를 알고 나를 알면 백 번 싸워도 위태롭지 않음)
손자병법(孫子兵法) '중국 오나라 손무의 병법서', 지피지기 백전불태(知彼知己 白戰不殆) '적을
#1 손자병법 & 지피지기면 백전불태 #2 孫子兵法 & 知彼知己 白戰不殆 손자병법(손자 손, 아들 자, 군사 병, 법 법) ‘손자의 병법’ 지피지기 백전불태(알 지, 저 피, 알 지, 몸 기, 일백 백, 싸울 전
nmd-pws.tistory.com
* 지피지기 백전불태 학습 참고
활용 ④ 창름실즉지예절 (倉廩實則知禮節, 곳집 창, 곳집 름, 열매 실, 법칙 칙, 알지, 예도 례 마디 절 : 창고가 풍족해야 비로소 예절을 앎)
창름실즉지예절(倉廩實則知禮節) 의식족즉지영욕(衣食足則知榮辱) ‘창고가 풍족해야 예절을
#1 창름실즉지예절 의식족즉지영욕 #2 倉廩實則知禮節 衣食足則知榮辱 창름실즉지예절(곳집 창, 곳집 름, 열매 실, 곧 즉, 알지, 예도 례, 마디 절) 의식족즉지영욕(옷 의, 밥 식, 족할 족, 곧 즉,
nmd-pws.tistory.com
* 마디 절(節) & 창름실즉지예절 의식족즉지영욕 학습 참고
활용 ⑤ 지부작족 (知斧斫足, 알 지, 도끼 부, 벨 작, 발 족 : 믿는 도끼에 발등 찍힘)
활용 ⑥ 도원지기 (道遠知驥, 길 도, 멀 원, 알지, 천리마 기 : 먼 길을 가보아야 천리마(의 재능을)를 알 수 있음)
도원지기(道遠知驥) '먼 길을 달려보아야 천리마의 진가를 안다'
#1 도원지기 세위지현 #2 道遠知驥 世僞知賢 도원지기(길 도, 멀 원, 알지, 천리마 기) 세위지현(세상 세, 할 위, 알지, 어질 현) ‘멀리 가봐야 천리마의 진가를 알고, 위선적인 세상에서 현자를 알
nmd-pws.tistory.com
* 멀 원(遠) & 도원지기 학습 참고
활용 ⑦ 안면부지 (顔面不知, 낯 안, 낯 면, 아닐 부, 알 지 : 얼굴조차 모르는 사이)
활용 ⑧ 무지몽매 (無知蒙昧, 없을 무, 알 지, 어두울 몽, 어두울 매 : 아는 것 없이 어리석음)
활용 ⑨ 온고지신 (溫故知新, 따뜻할 온, 연고 고, 알지, 새 신 : 옛 것을 익혀 새 것을 앎)
온고지신(溫故知新),온고이지신(溫故而知新) '옛것을 익혀 새로운 것을 안다'
#1 온고이지신, 온고지신 #2 溫故知新, 溫故而知新 온고(이)지신(따뜻할 온, 옛 고, 말이을 이, 알지, 새로울 신) ‘옛것을 익혀 그것을 미루어 새것을 알다’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따뜻할
nmd-pws.tistory.com
* 따뜻할 온(溫) & 온고지신/온고이지신 학습 참고
활용 ⑩ 일일지구부지외호 (一日之狗不知畏虎, 하나 일, 해 일, 갈 지, 개 구, 아닐 부, 알지, 두려워할 외, 범 호 : 하룻강아지 범 무서운 줄 모른다)
일일지구부지외호(一日之狗不知畏虎) ‘하룻강아지 범 무서운 줄 모른다’ & 하룻강아지 뜻 나
#1 하룻강아지 범 무서운 줄 모른다 뜻 #2 一日之狗不知畏虎 일일지구부지외호(한 일, 날 일, 갈지, 개 구, 아닐 부, 알지, 두려워할 외, 범 호) ‘하룻강아지 범 무서운 줄 모른다’ #3 상용한자 1800
nmd-pws.tistory.com
* 범 호(虎) & 일일지구부지외호 학습 참고
활용 ⑪ 노마지도 (老馬知途, 늙을 로, 말 마, 알 지, 길 도 : 늙은 말이 길을 안다)
활용 ⑫ 부지기수 (不知其數, 아닐 부, 알 지, 그 기, 셈 수 : 그 수를 알 수 없음)
활용 ⑬ 천정부지 (天井不知, 하늘 천, 우물 정, 아닐 부, 알 지 : 천장을 모름, 어떠한 수치가 자꾸 오르기만 하는 상황을 비유함)
활용 ⑭ 지자불언언자부지 (知者不言言者不知, 알지, 놈 자, 아닐 부, 말씀 언, 아닐 부 : 아는 사람은 말하지 않고, 말하는 사람은 알지 못한다)
지자불언언자부지(知者不言言者不知) '아는 사람은 말하지 않고 말하는 사람은 알지 못한다.'
#1 지자불언 언자부지 #2 知者不言言者不知 지자불언(알지, 놈 자, 아니 불, 말씀 언) 언자부지(말씀 언, 놈 자, 아니 불, 알지) ‘(진정)아는 자는 떠들지 않고, 떠드는 자는 (진정)모르는 자임.’ #3
nmd-pws.tistory.com
* 지자불언언자부지 학습 참고
활용 ⑮ 인불학부지도 (人不學不知道, 사람 인, 아닐 부, 배울 학, 아닐 부, 알지, 길 도 : 사람이 배우지 않으면 도를 알 수 없음)
옥불탁불성기(玉不琢不成器) '옥도 쪼지 않으면 그릇이 될 수 없음'
#1 옥도 쪼지 않으면 #2 玉不琢不成器 옥불탁불성기(구슬 옥, 아닐 불, 다듬을 탁, 이룰 성, 그릇 기) '옥도 쪼지 않으면 그릇이 될 수 없음'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구슬 옥(玉) 구슬(bead) 옥 (3급
nmd-pws.tistory.com
* 구슬 옥(玉) & 옥불탁불성기 인불학부지도 참고
활용 ⑯ 일엽지추 (一葉知秋, 한 일, 잎 엽, 알 지, 가을 추 : 하나의 잎(하나의 잎이 떨어지는 것)을 보고 가을이 옴을 앎)
활용 ⑰ 지천명 (知天命, 알 지, 하늘 천, 목숨 명 : 천명을 아는 나이, 50세)
불혹 지천명 이순(不惑 知天命 耳順) ‘불혹 지천명 이순 미혹되지 않는 나이 40, 하늘의 뜻을 아
#1 불혹 지천명 이순 #2 不惑 知天命 耳順 불혹(아니 불, 미혹할 혹) ‘미혹되지 않는 나이 40세’ 지천명(알지, 하늘 천, 목숨 명) ‘하늘의 뜻을 아는 나이 50세’ 이순(귀 이, 순할 순) ‘듣는 대로
nmd-pws.tistory.com
미수(米壽) ‘88세’ 그 외 나이_지학(15) 약관(20) 이립(30) 불혹(40) 지천명(50) 이순(60) 종심(70) 고희
#1 미수 #2 米壽 미수(쌀 미, 목숨 수) ‘88세’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쌀 미(米) 쌀(rice) 미 (5급 해당) 米 자는 글자 자체로 부수이다. 글자 자체로 부수이지만, 더 쪼개어보면 나무 목(木)자와
nmd-pws.tistory.com
* 약관, 이립, 지천명 등 공자 나이 참고
활용 ⑱ 문일지십 (聞一知十, 들을 문, 하나 일, 알 지, 열 십 : 하나를 듣고 열을 앎)
#4 격물치지(格物致知) & 격물치지 성의정심(格物致知 誠意正心)
수신제가치국평천하
(修身濟家治國平天下)는
많이 들어보았을 것이다.
대학의 8조목을 순서대로 나열하면
격물, 치지, 성의, 정심, 수신, 제가, 치국, 평천하인 것을 보면
수신제가치국평천하 이전에
선행되어야 하는 것이
‘격물치지 성의정심’임을 알 수 있다.
격물치지(格物致知)란
만물의 이치를 명확히하여
지식에 도달한다는 의미이다.
성의정심(誠意正心)이란
뜻을 성실히하고 마음을 바로한다는 뜻이다.
'상용한자 1800자 _ 삶의 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공서열(年功序列) ‘근속 연수나 나이가 늘어남에 따라 지위가 올라감, 또는 그러한 체계’ & 연공서열 뜻 (0) | 2022.04.19 |
---|---|
십지변색주불여척(十指便齰疇不予慼) ‘열 손가락 깨물어 안 아픈 손가락 없음’ (0) | 2022.04.19 |
문질빈빈 연후군자(文質彬彬 然後君子) ‘(글을 씀에 있어서) 형식과 바탕이 잘 어울린 후에야 군자라 할 수 있다’ (0) | 2022.04.19 |
자가당착(自家撞着) ‘자신의 말이나 언행이 앞뒤가 맞지 않고 모순됨’ & 자가당착 뜻과 유래 (0) | 2022.04.19 |
정상참작(情狀參酌) ‘인정상 (차마 볼 수 없는 가련한) 상태를 참고하여 알맞게 헤아림’ & 정상참작 뜻과 사유 (0) | 2022.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