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617

강산풍월주인(江山風月主人) ‘강산과 풍월을 차지한 주인’

#1 강산풍월주인 #2 江山風月主人 (강 강, 뫼 산, 바람 풍, 달 월, 임금 주, 사람 인) ‘강과 산, 바람과 달을 차지한 주인’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강 강(江) 강 (river) 강 (7급 해당) 江자의 부수는 물 수(水)*자의 부수 변형인 삼수변(水 = 氵)이다. 물 수(水 = 氵) + 장인 공(工)의 형태이다. 물(水=氵)줄기가 범람 하지 않도록 장인(工)들이 모여 둑을 쌓아야 되는 정도의 규모의 물은 바로 강(江)이다라고 기억해두자. * 물 수(水) & 상선약수(上善若水) 참고 상선약수(上善若水) '최상, 최고의 선(善)은 물과 같다' #1 상선약수_최상의 선(善)은 #2 上善若水 상선약수(윗 상, 착할 선, 같을 약, 물 수) '최고의 선, 즉 가장 좋은 것은 물과 같다.' ..

인간사 새옹지마(人間事 塞翁之馬) ‘인생은 변방 늙은이의 말과 같다 & 인생의 길흉화복은 예측하기 힘듦’

#1 인간사 새옹지마 #2 人間事 塞翁之馬 (사람 인, 사이 간, 일만 만, 일 사, 변방 새, 늙은이 옹, 갈 지, 말 마) ‘인간의 일은 변방 늙은이(새옹)의 말(馬)과 같다’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사이 간(間) 사이 (between) 간 (7급 해당) 間자의 부수는 문 문(門)자이다. 문(門)* 틈 사이로 해(日)**가 비추는 모습을 상상하여 그 뜻이 ‘사이’라고 기억해두면 쉽다. 소문만복래(笑門萬福來) '웃는 문으로 만복이 들어옴' & '웃는 얼굴에 침 못 뱉는다' #1 소문만복래 #2 笑門萬福來 소문만복래(웃을 소, 문 문, 일만 만, 복 복, 올 래) ‘웃는 문으로 만가지의 복이 들어온다’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문 문(門) 문(door) 문 (6급 해당) 門자는 글자 ..

대동소이(大同小異) ‘크게 같고 작게 다름’ & 대동소이 뜻과 유래

#1 대동소이 #2 大同小異 (클 대, 한가지 동, 작을 소, 다를 이) ‘크게는 같고 작게는 다름’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작을 소(小) 작을 (little) 소 (8급 해당) 小자는 글자 자체로 부수를 이룬다. 하나의 물건을 반으로 갈라(亅) 두 개(丶,丶)로 작게(小) 쪼개는 모습을 상상하면 된다. 활용 ① 소인비이부주 (小人比而不周, 작을 소, 사람 인, 견줄 비, 말 이을 이, 아닐 불, 두루 주 : 소인은 두루 사귀지 않음) 군자주이불비소인비이부주(君子周而不比 小人比而不周) ‘군자는 두루 친하되 편을 가르지 않 #1 君子周而不比 小人比而不周 #2 군자주이불비소인비이부주 군자주이불비(군자 군, 아들 자, 두루 주, 말 이을 이, 아니 불, 견줄 비) ‘군자는 두루 사귀되 편을 가르지 ..

선즉제인(先則制人) ‘먼저 하면 상대를 제압할 수 있다’ & 선즉제인 뜻과 유래

#1 선즉제인 #2 先則制人 (먼저 선, 곧 즉, 억제할 제, 사람 인) ‘먼저하면(선수를 치면) 상대를 제압한다’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사람 인(人) 사람 (person) 인 (8급 해당) 人자는 글자 자체로 부수를 이룬다. 사람 인(人)자가 다른 글자의 좌측에서 부수로 쓰일 때는 사림인변(亻)의 형태로 변하게 된다. 활용 ① 의인물사 (疑人勿使, 의심할 의, 사람 인, 말 물, 하여금 사 : 의심스러운 사람은 부리지 말라) 의인물사 사인물의(疑人勿使 使人勿疑) ‘의심스러운 사람은 부리지 말고, 일단 사람을 부리면 #1 의인물사 사인물의 #2 疑人勿使 使人勿疑 의인물사(의심할 의, 사람 인, 말 물, 부릴 사) 사인물의(부릴 사, 사람 인, 말 물, 의심할 의) ‘의심가는 사람은 부리지 말..

난형난제(難兄難弟) ‘(누구를) 형이라 (누구를) 아우라 하기 어려움’ & 난위형난위제

#1 난형난제 #2 난형난제(難兄難弟) (어려울 난, 형 형, 어려울 난, 아우 제) ‘(누구를) 형이라 (누구를) 아우라고 하기 어려움’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아우 제(弟) 아우 (brother) 제 (8급 해당) 弟자의 부수는 활 궁(弓)자이다. 글자를 부수 기준으로 쪼개어보면 여덟 팔(八) + 활 궁(弓) + 뚫을 곤(丨) + 삐침 별(丿)로 나누어볼 수도 있으나, 갑골문상으로는 나무토막에 줄을 감은 모습을 형상화한 글자라고 한다. 따라서 암기에 편하도록, 글자의 형태로 기억을 하여 일자로 세운 나무토막(丨)에 줄을 여러번 감으며 놀고 있는 아우(弟)의 모습을 떠올리며 여러번 써서 익숙해지도록하자. 활용 ① 형제투금 (兄弟投金, 형 형, 아우 제, 던질 투, 쇠 금 : 형제가 금덩이를 ..

형제투금(兄弟投金) ‘형제가 금을 (강에) 던짐’

#1 형제투금 #2 兄弟投金 (형 형, 아우 제, 던질 투, 쇠 금) ‘형제가 금을 던짐’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형 형(兄) 형 (brother) 형 (8급 해당) 兄자의 부수는 글자 아래의 어진사람인 발(儿)이다. 입 구(口)자와 어진사람인 발(儿)의 결합으로 입(口)으로 나에게 항상 옳은 말을 해주는 어진 사람(儿)은 바로 형이다라고 기억해두자. 활용 ① 난형난제 (難兄難弟, 어려울 난, 형 형, 어려울 난, 아우 제 : (누구를) 형이라 아우라 하기 어려움) 활용 ② 호형호제 (呼兄呼弟, 부를 호, 형 형, 부를 호, 아우 제 : (가까운 사이에서) 형이니 아우니 하고 부름) #4 형제투금 뜻과 유래 형제투금설화는 고려사와 신증동국여지승람 등에 실려있다. 그 중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

군사부일체(君師父一體) ‘임금과 스승과 아버지(의 은혜)는 같다’ & 군사부일체 뜻과 어원

#1 군사부일체 #2 君師父一體 (임금 군, 스승 사, 아비 부, 하나 일, 몸 체) ‘임금, 스승, 아버지의 은혜는 같다’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아비 부(父) 아비 (father) 부 (8급 해당) 父자는 글자 자체로 부수를 이룬다. 글자를 굳이 쪼개보면 여덟 팔(八) + 벨 예(乂)자의 결합으로 볼 수 있으나 아비 부(父) 글자 자체로 수염이 난 아버지의 얼굴을 형상화한 글자라고 기억해두고 여러번 써서 익숙해지도록하자. 어미 모(母)*자도 함께 학습해두기 바란다. 자모유패자(慈母有敗子), 자모패자(慈母敗子) '자애로운 어머니 밑의 버릇없는 자식' #1 자모유패자/ 자모패자 #2 慈母有敗子, 慈母敗子 자모유패자, 자모패자(사랑 자, 어미 모, 있을 유, 패할 패, 아들 자) 자애가 지나친 ..

동가식서가숙(東家食西家宿) ‘동쪽 집에서 먹고 서쪽 집에서 잠’ & 동가식서가숙 뜻과 유래

#1 동가식서가숙 #2 東家食西家宿 (동녘 동, 집 가, 밥 식, 서녘 서, 집 가, 잘 숙) ‘동쪽 집에서 밥을 먹고 서쪽 집에서 잠을 잠’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서녘 서(西) 서녘 (west) 서 (8급 해당) 西자는 우뚝할 올(兀)자와 입 구(口)자가 결합한 형태인데, 새의 둥지(西)를 형상화한 글자라고한다. 새들이 둥지를 찾아가는 때는 해가 서쪽으로 떨어질 때이다라고 간단히 기억해 두자. 의미를 만들기 어렵다면 글자가 비교적 단순하니 여러번 써서 익숙해져도 좋다. 동서남북 방향을 나타내는 다른 글자들도 함께 학습해두기 바란다. 만절필동(萬折必東​) '수없이 꺾여 흘러가도 결국은 동쪽으로 흘러간다' & 만절필동 뜻 #1 만절필동 뜻_수없이 꺾여 흘러도 반드시 동쪽으로 #2 萬折必東​ 만..

지자요수 인자요산(知者樂水 仁者樂山) ‘지혜로운 사람은 물을 좋아하고 어진 사람은 산을 좋아함’

#1 지자요수 인자요산 #2 知者樂水 仁者樂山 (알 지, 놈 자, 좋아할 요, 물 수, 어질 인, 놈 자, 좋아할 요, 뫼 산) ‘지혜로운 자는 물을 좋아하고 어진 자는 산을 좋아함’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뫼 산(山) 뫼 (mountain) 산 (8급 해당) 山자는 글자 자체로 부수를 이룬다. 땅 위로 우뚝 솟은 3개의 산봉우리를 형상화한 글자라 기억해두면 된다. 활용 ① 타산지석 (他山之石, 다를 타, 뫼 산, 갈 지, 돌 석 : 다른 산의 돌) 타산지석 '다른 산의 돌' #1 다른 산의 돌 #2 他山之石 타산지석(다를 타, 뫼 산, 갈 지, 돌 석) '다른 산의 돌'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남, 다를 타(他) 남(stranger), 다를(different) 타 他 (4급 해당)..

군자대로행(君子大路行) ‘군자는 큰 길을 택해서 간다’ & 행불유경

#1 군자대로행 #2 君子大路行 (임금 군, 아들 자, 클 대, 길 로, 다닐 행) ‘군자는 큰 길로 간다’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큰/클 대(大) 큰 (big) 대 (6급2/ 해당) 大자는 글자 자체로 부수를 이룬다. 갑골문상으로 사람이 팔과 다리를 벌리고 서있는 모양을 형상화한 글자이다. 팔과 다리를 크게(大)벌리고 있는 사람의 모습을 기억해두자. 참고로 클 대(大)자에 점(丶) 하나를 찍으면 클 태(太)*자가 된다. 태평성대(太平聖代) ‘뛰어난 임금이 다스리는 태평한 세상 또는 그러한 시대’ & 태평성대, 요 #1 태평성대 뜻 #2 太平聖代 태평성대(클 태, 평평할 평, 성인 성, 대신할 대) ‘뛰어난 임금이 다스리는 태평한 세상, 시절’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클 태(太) 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