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617

일거수일투족(一擧手一投足) ‘손 한 번 들고 발 한번 옮김, 사소한 하나하나의 모든 동작’ 일거수일투족 뜻과 유래

#1 일거수일투족 뜻 #2 일거수일투족 (하나 일, 들 거, 손 수, 던질 투, 발 족) ‘손 한 번 들고 발 한 번 옮겨 놓음’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들 거(擧) 들 (lift) 거 (4급 해당) 擧자의 부수는 글자 아래의 손 수(手)자이다. 더불 여(與)* + 손 수(手)의 결합으로 왼 손(手)과 오른 손(手)을 더불어(與) 사용해서 무거운 물건을 드는(擧) 모습을 기억해두자. 참고로 들 거(擧) 자는 ‘들다(lift)’의 의미 뿐만 아니라 ‘일으키다(cause)’, ‘행하다(action)’ 등의 뜻도 함께 가진다. 생사여탈권(生死與奪權) ‘죽이고 살릴 수 있는 권리’ #1 생사여탈 & 생사여탈권 #2 生死與奪 & 生死與奪權 (날 생, 죽을 사, 더불 여, 뺏을 탈, 권세 권) ‘(마음대..

생사여탈권(生死與奪權) ‘죽이고 살릴 수 있는 권리’

#1 생사여탈 & 생사여탈권 #2 生死與奪 & 生死與奪權 (날 생, 죽을 사, 더불 여, 뺏을 탈, 권세 권) ‘(마음대로) 생사를 주거나 뺏을 수 있는 권리’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더불 여(與) 더불 (with/together) 여 (3급 해당) 與자의 부수는 절구 구(臼)자이다. 臼 + 与 + 一 + 八 등이 결합한 형태로 볼 수 있으나 무엇인가를 두 사람이 양 손으로 더불어서 함께 잡고 있는 형태로 생각하고 여러번 써서 익숙해지도록하자. 참고로 더불어(with)의 의미뿐만 아니라 ‘주다(give)’의 의미도 포함한다. 활용 ① 조수불가여동군 (鳥獸不可與同群, 새 조, 짐승 수, 아닐 부, 옳을 가, 더불 여, 한가지 동, 무리 군 : 새와 짐승과는 함께 더불어 살 수 없음) 활용 ② 여..

건승(健勝) ‘탈없이 건강함’ & 건승을 기원합니다

#1 건승 & 건승하다 & 건승을 기원합니다 #2 健勝 (굳셀 건, 이길 숭) ‘별 탈 없이 건강함’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굳셀 건(健) 굳셀 (strong) 건 (4급 해당) 健자의 부수는 글자 좌측의 사람인변(人의 부수 변형 =亻)이다. 사람인변(亻) + 세울 건(建)*자의 결합으로 사람(人=亻) 무엇인가(나라, 가치 등)를 세우려면(建) 그 성정이 굳세어야(健) 한다는 정도로 기억해두자. 건양다경(建陽多慶) ‘봄이 오니 경사스러운 일이 많으리’ & 건양다경의 뜻 & 입춘대길건양다경 #1 건양다경의 뜻 #2 建陽多慶 (세울 건, 볕 양, 많을 다, 경사 경) ‘봄이 오니 경사스런 일이 많으리’ ‘입춘을 맞아 길운(吉運)을 기원하는 문구로 사용하는 말’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세..

조건명제(條件命題) ‘어떠한 조건하에서 어떤 상황이 성립함을 일컫는 명제’

#1 조건명제 #2 條件命題 (가지 조, 물건 건, 목숨 명, 제목 제) ‘어떤 조건 하에서 어떤 상황이 성립함을 일컫는 명제’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물건 건(件) 물건(thing/object) 건 (4급 해당) 件자의 부수는 글자 좌측의 사람인변(人의 부수 변형 =亻)이다. 사람인변(亻) + 소 우(牛)자의 결합으로 농경사회에서 사람(人=亻)에게 소(牛)가 가장 중요한 물건(件)이다라는 정도로 기억해두자. 활용 ① 사사건건 (事事件件, 일 사, 물건 건 : 모든 일) 활용 ② 조건부 (條件附, 가지 조, 물건 건, 붙을 부 : 어떤 일에 특정 조건을 붙인 것) 활용 ③ 선행조건 (先行條件, 먼저 선, 다닐 행, 가지 조, 물건 건 : 특정 조건에 앞서 있는 조건) #4 조건명제 조건명제(條..

건양다경(建陽多慶) ‘봄이 오니 경사스러운 일이 많으리’ & 건양다경의 뜻 & 입춘대길건양다경

#1 건양다경의 뜻 #2 建陽多慶 (세울 건, 볕 양, 많을 다, 경사 경) ‘봄이 오니 경사스런 일이 많으리’ ‘입춘을 맞아 길운(吉運)을 기원하는 문구로 사용하는 말’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세울 건(建) 세울(set up) 건 (4급 해당) 建자의 부수는 길게 걸을 인(廴, 민책받침)자이다. 길게 걸을 인(廴) + 붓 율(聿)자의 결합으로 천천히 걸으며(廴) 붓(聿)으로 한 나라를 세우는(建) 원대한 계획을 설계한다는 정도로 이미지화해두자. 활용 ① 덕건명립 (德建名立, 클 덕, 세울 건, 이름 명, 설 립 : 덕을 세우니 이름이 바로 섬) 활용 ② 건폐율 (建蔽率, 세울 건, 덮을 폐, 거느릴 솔/비율 율 : 건축물을 세울 때, 대지면적에 대한 건축면적의 비율, 즉 건축면적/대지면적) ..

카테고리 없음 2022.07.24

금강산도 식후경(金剛山도 食後景이라) ‘금강산 관광을 가도 배를 채우는 것이 먼저’

#1 금강산도 식후경 뜻 #2 金剛山도 食後景 (쇠금, 굳셀 강, 뫼 산, 먹을 식, 뒤 후, 경치 경) ‘금강산(을 구경하려해도)도 먹은 후에야 경치가 보인다.’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볕/경치 경(景) 볕/경치(sunshine/view) 경 (4급 해당) 景자의 부수는 글자 상단의 해 일(日)자이다. 해 일(日)자와 서울 경(京)*자의 결합으로 해가(日) 서울(京) 땅을 따뜻하게 내려쬐자 그 경치(景)가 아주 끝내준다라고 기억해두자. 일경(一京) '10,000,000,000,000,000, 억의 1억 배, 조의 1만 배' & 일십백천만억조경해자양구간정재극 #1 京, 조(兆)의 만배 #2 일십백천만억조경해자양구간정재극 一十百千萬億兆京垓秭穰...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서울 경(京)..

척벽비보 촌음시경(尺璧非寶寸陰是競) ‘한 자의 구슬이 보배는 아니니 짧은 시간도 다투어 귀이 여겨야한다 ’

#1 척벽비보 촌음시경 #2 尺璧非寶寸陰是競 (자 척, 구슬 벽, 아닐 비, 보배 보, 마디 촌, 그늘 음, 이 시, 다툴 경) ‘한 자가 되는 구슬도 보배는 아니니, 짧은 시간을 귀하게 여겨야 한다’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다툴 경(競) 다툴(fight/compete) 경 (4급 해당) 競자의 부수는 입 구(口)자이다. 글자를 쪼개보면 立+立+兄+兄 으로 볼 수 있는데, 한날 한시에 태어난 쌍둥이 형제가 서로 키가 높게 보이도록 나란히 서서(立+立) 자기 자신이 형(兄)이라 우기며 다투는(競) 모습을 떠올리면된다. 활용 ① 경매 (競賣, 다툴 경, 팔 매 : 살 사람이 많을 때 그 중 제일 비싼 값을 부르는 사람에게 물건을 파는 것) 활용 ② 경합 (競合, 다툴 경, 합할 합 : 서로 실력이..

거동궤서동문(車同軌書同文) ‘(천하의 온)수레가 바퀴의 폭이 같고, (천하의 온) 문서의 글자가 같음’, ‘통일된 천하’를 비유하는 말

#1 거동궤서동문 #2 車同軌書同文 (수레 거, 한가지 동, 바퀴자국 궤, 글 서, 글월 문) ‘수레바퀴의 폭이 같고 문서의 글자가 같음’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수레 거/차(車) 수레(wagon) 거 (6급 해당) 車자는 글자 그 자체로 부수를 이룬다. 수레의 모양을 본 딴 상형자이므로 여러번 써서 글자에 익숙해지도록하자. 활용 ① 거재두량 (車載斗量, 수레 거, 실을 재, 말 두, 헤아릴 량 : 수레에 싣고 말로 헤아릴 수 있을 정도로 많음) 거재두량(車載斗量) ‘수레에 싣고 말로 헤아릴 수 있을 정도’ 거재두량 뜻과 유래 #1 車載斗量 #2 거재두량 뜻 거재두량(수레 거, 실을 재, 말 두, 헤아릴 량) ‘수레에 싣고 말로 헤아릴 수 있을 정도로 많음’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

경거망동(輕擧妄動) ‘가볍게 움직이고 망령되게 행동함’ & 경거망동 뜻

#1 경거망동 뜻 #2 輕擧妄動 (가벼울 경, 들 거, 망령될 망, 움직일 동) ‘가벼이 움직이고 망령되게 행동함’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가벼울 경(輕) 가벼울(light) 경 (4급 해당) 輕자의 부수는 글자 좌측의 수레 거/차(車)*이다. 수레 거(車)와 물줄기 경(巠)자의 결합으로 수레(車)에 실린 짐이 많지 않아 물줄기(巠)가 흐르듯이 가볍게(輕) 지나간다는 정도로 기억해두면 좋다. 거동궤서동문(車同軌書同文) ‘(천하의 온)수레가 바퀴의 폭이 같고, (천하의 온) 문서의 글자가 #1 거동궤서동문 #2 車同軌書同文 (수레 거, 한가지 동, 바퀴자국 궤, 글 서, 글월 문) ‘수레바퀴의 폭이 같고 문서의 글자가 같음’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수레 거/차(車) 수레(wagon) ..

固辭(고사) ‘(제의나 권유 등을)굳이 사양하다’ & 고사하다의 뜻, 고사하다 뜻

#1 고사하다의 뜻 #2 固辭 (굳을 고, 말씀 사) ‘(제의, 권유 등을) 굳이 사양함’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굳을 고(固) 굳을(FIRM) 고 (4급 해당) 固자의 부수는 큰입구몸(囗)이다. 옛 고(古)*자와 囗의 결합으로 울타리, 성벽(囗) 안에서만 교류없이 오래도록(古) 살아온 민족은 그 풍습이 굳어져서(固) 변하기 쉽지 않다는 정도로 기억해두자. 동서고금(東西古今) ‘동양과 서양, 옛날과 지금’ #1 동서고금 뜻 #2 東西古今 (동녘 동, 서녘 서, 옛 고, 이제 금) ‘동양과 서양, 옛날과 지금’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옛 고(古) 옛(old) 고 (5급 해당) 古자의 부수는 글자 아래의 입 구(口)자이다 nmd-pws.tistory.com * 옛 고(古) & 동서고금(..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