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용한자 1800자 _ 삶의 지혜

칠종칠금(七縱七擒) ‘일곱 번 놓아주고 일곱 번 잡음’

우성 2022. 8. 15. 17:58
반응형

#1 칠종칠금

#2 七縱七擒

(일곱 칠, 세로 종, 일곱 칠, 사로잡을 금)

일곱 번 놓아주고 일곱 번 잡음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일곱 칠()

일곱 (seven) (62/ 해당)

자의 부수는 하나 일()자이다. 한 번()의 새총질로 날아가는 새(=)*를 맞춘 것을 보니 행운을 나타내는 숫자 7()이 연상이 된다고 생각해두자. 아래의 숫자를 나타내는 한자어 한 일, 두 이, 석 삼, 넉 사, 다섯 오, 여섯 륙(, , , , , ) 와 함께 익혀두자.

 

* 자는 새 을()자 부수의 다른 형태이다.(자의 부수 = ,,)

 

 

독서삼도(讀書三到) ‘(송나라의 주희가 주창한) 책을 읽을 때의 3가지 방법’ & 구도, 안도, 심도

#1 독서삼도 #2 讀書三到 독서삼도(읽을 독, 글 서, 석 삼, 이를 도) ‘독서의 3가지 법’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한 일(一)/ 두 이(二)/ 석 삼(三) 한/ 두/ 석 (one/two/three) 일/ 이/ 삼 (6급2 해당) 한..

nmd-pws.tistory.com

* 한 일/두 이/석 삼 & 독서삼도(讀書三到) 참고

 

 

조삼모사 (朝三暮四) ‘(원숭이에게) 아침에는 3개, 저녁에는 4개(의 도토리를 주다)’

#1 조삼모사 뜻 #2 朝三暮四 (아침 조, 석 삼, 저물 모, 넉 사) ‘아침에는 3개, 저녁에는 4개’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넉 사(四) 넉 (four) 사 (6급2 해당) 四자의 부수는 큰입구몸(囗)이다. 큰 입구

nmd-pws.tistory.com

* 넉 사 & 조삼모사(朝三暮四) 참고

 

 

오리무중(五里霧中) ‘다섯 리나 되는 (짙은) 안개 속’

#1 오리무중 #2 五里霧中 (다섯 오, 마을 리, 안개 무, 가운데 중) ‘오 리나 되는 (짙은) 안개 속’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다섯 오(五) 다섯 (five) 오 (6급2/ 해당) 五자의 부수는 두 이(二)자이다.

nmd-pws.tistory.com

* 다섯 오 & 오리무중(五里霧中) 참고

 

 

오월비상(五月飛想), 유월비상(六月飛霜) ‘오뉴월에 서리가 내림’ & 오뉴월, 필부함원 유월비

#1 오월비상/유월비상 #2 五月飛霜/六月飛霜 (다섯 오/ 여섯 륙, 달 월, 날 비, 서리 상) ‘5월/6월 에 서리가 내림’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여섯 륙(六) 여섯 (six) 륙 (6급2/ 해당) 六자의 부수는

nmd-pws.tistory.com

* 여섯 륙 & 유월비상(六月飛霜) 참고

 

활용 칠거지악 (去之惡, 일곱 칠, 갈 거, 갈 지, 악할 악 : 유교 사회에서 아내를 내쫓을 수 있는 일곱 가지의 이유)

 

 

칠거지악(七去之惡) ‘조선시대 아내를 내쫓는 이유가 되는 일곱가지 허물’ 칠거지악 삼불거(

#1 칠거지악/ 칠거지악 삼불거 #2 七去之惡 / 七去之惡 三不去 칠거지악(일곱 칠, 갈 거, 갈 지, 악할 악) ‘일곱가지의 악한 행동’ 칠거지악 삼불거(석 삼, 아닐 불, 갈 거) ‘일곱가지의 행동을

nmd-pws.tistory.com

* 칠거지악(七去之惡) & 칠거지악 삼불거 참고

 

활용 칠년지병구삼년지애 (年之病求三年之艾, 일곱 칠, 해 년, 갈 지, 병 병, 구할 구, 석 삼, 해 년, 갈 지, 쑥 애 : 7년간 앓는 병에 3년 말린쑥을 구함)

 

 

칠년지병구삼년지애(七年之病求三年之艾) ‘칠년 된 병에 삼년 된 쑥’

#1 칠년 된 병에 삼년 된 쑥 #2 七年之病求*三年之艾 칠년지병(일곱 칠, 해 년, 어조사 지, 병 병) * 求 구할 구 삼년지애(석 삼, 해 년, 어조사 지, 쑥 애) ‘칠년 된 병을 고치려 삼년 묵은 쑥을 구한

nmd-pws.tistory.com

* 병 병() & 칠년지병구삼년지애 참고

활용 칠보지재 (步之材, 일곱 칠, 걸음 보, 갈 지, 재주 재 : 일곱 걸음 동안에 시를 짓는 재주)

 

 

칠보지재(七步之才), 칠보재(七步才) '일곱 걸음 걷는 동안 시를 짓는 재주'

#1 칠보지재 '일곱걸음을 걷는 동안 시를 짓는 재주' #2 七步才/ 七步之才 칠보재, 칠보지재(일곱 칠, 걸음 보, 갈 지, 재주 재) '일곱 걸음을 걷는 동안에 시를 짓는 재주'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nmd-pws.tistory.com

* 재주 재() & 칠보지재 참고

 

활용 사단칠정 (四端, 넉 사, 끝 단, 일곱 칠, 뜻 정 : 측은지심, 수오지심, 사양지심, 시비지심의 사단, 희노애구애오욕의 칠정)

 

 

시비지심(是非之心) ‘사단칠정(四端七情) 중 사단(四端)의 하나로, 옳고 그름을 가릴 줄 아는 마

#1 시비지심  #2 是非之心 시비지심(옳을 시, 그를 비, 갈 지, 마음 심) ‘옳고 그름을 가릴 줄 아는 마음’ #3 상용한자 1800자 쪼개기_ 옳을/이 시(是) 옳을/ 이(right/ this) 시 (3급 해당) 是 자는 글자

nmd-pws.tistory.com

* 옳을 시() & 시비지심(是非之心) & 사단칠정(四端七情) 참고 

 

#4 칠종칠금(七縱七擒)  

칠종칠금(七縱七擒)이란

일곱 번 잡았다 일곱 번 놓아준다는 뜻으로

삼국지 제갈량전에서 유래하는 말이다.


제갈량은 남만 정벌 때

남만왕이었던 맹획을 일곱 번 잡았다

일곱 번을 다시 놓아주게 된다.

맹획은 패배시마다 갖가지 핑계를 대며

자신의 패배를 인정하지 않았고

 

제갈량은 내킬 때까지 덤벼보라며 풀어준다.

결국 7번째 전투에서도 패하자

맹획은 결국 제갈량에 복종했다고 한다.

 

도덕경에서 전하는 욕금고종(欲擒故縱)이라는 말이 떠오른다.

"사로잡으려거든 짐짓 놓아주어라."

반응형